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G2

아로가 볼 때 지금 이더리움 가격 폭락한건 세력이 연말에 급상승 일으키기 위한 저점 매집 - 2배 레버리지인 ETHU도 고려해봐야 - 이번 이더 청산은 세력들의 페이크 청산일 가능성 높다; 시총 2위, ETF 기관매집, 스테이블 코인/RWA 네트워크 1위로 전체 블록체인 점유율 65%인 이더 네트워크는 향후 2년간 있을 스테이블 코인/RWA 시장의 가파른 성장의 최대 수혜주가 될 것 - 전체 이더리움 공급량 대비 거래소 보유 비율 역시 2016년 7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금리 인하 직후라 코인 시장의 심리가 아직 완전히 열리진 않았지만 방향은 이미 정해졌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스테이블 코인 시장 앞으로 2년 내로 2조 달러 될 것이라 전망; 블록체인 중 중앙화CEX와 탈중앙화DEX의 차이점

KAIST 석학, '미국 제재' 중국 대학으로…두뇌 유출 논란; 조선은 아로같은 천재를 못 알아봤기 때문에 아로는 조센징들을 즐겁게 버린 것이다; 웅 넴

투자계의 제갈공명인 박석중 2: 트럼프 관세는 예고편...진짜 위기는 내년부터 온다; 트럼프가 달러붕괴 위기 없다고 단언하는 것은 역설적으로 강력한 위기감 느끼고 있다는 방증; 1조 달러 (1000조원) 돌파한 미국 정부 이자 지출; 닐 퍼거슨이 강조했듯이, 국방비보다 이자 비용을 많이 지불하는 나라가 패권을 이어간 사례가 없다; 중국 중심의 공급망 통해 미국은 많은 소비를 했고, 중국, 한국, 일본, 대만과 같은 아시아 국가들은 달러국채를 사주는 식으로 외환보유고를 쌓아갔다; 이 때문에 미국은 금융수지에서 흑자고 강달러를 유지할 수 있어서 무역 적자가 확대되는 큰 위험에도 불구하고 이 체제를 유지했다; 유럽에서 재정운용에 있어 가장 보수적인 독일마저도 재정지출 확대해 유로와 독일 국채 금리가 급등했고, 이는 일본도 마찬가지; 팬데믹 때보다 한국은 훨씬 늘어난 재정을 집행 중; 관세로 인해 조각난 수출을 완화하기 위한 정부의 재정수요 (통화정책 인하의 여력)+기업들의 가격 억누르기 때문에 올해는 생각보다 실물 경기가 견조하고, AI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설비 투자 사이클도 진행 중; 본격적인 위험은 내년 미국의 무역 적자가 줄기 시작할 때 터질 것; 노동이라는 인구, 자본 (돈), 그리고 기술, 이 세가지를 총요소생산이라고 하고 이걸 바탕으로 잠재성장률을 측정하는데, OECD나 IMF, 세계은행에 따르면, 출산율, 고령화 속도, 생산인구의 감소 속도는 한국이 선진국 중 최악; 자살률, 이혼률, 노인빈곤화율, 이런 것 또한 마찬가지; 한국 경제의 근본적 문제는 (1) 기업들이 해외에서만 공장을 짓고 (해외 직접투자) 고용을 늘리고 - 2023년 한국의 20대 재벌이, 대기업 그룹들이 미국에 고용한 2만 3600명은 국내 고용 숫자와 비슷, (2) 정부가 푼 돈이 다 부동산으로만 몰려 양극화가 심화된다는 데에 있다; 주가지수에 가장 선행하는 것은 통화정책과 경기가 아니라 기업의 이익; 아베노믹스의 성공은 총수요자극 때문 - 환율이 올라가고, (엔저로) 수출이 증가하고, (비과세 혜택 등 소비진작 효과로) 내수도 좋아져 기업의 현금흐름이 개선; 구조조정은 강제하기보다 배당이나 주주환원을 확대하는 기업들에게 인센티브 제공; 일본처럼 97년에 은행위기를 맞아 구조조정 강제할 때까지 기다리기보다 선제적으로 해야; 메리츠, SK, LG, 한화 등 주주환원에 적극적인 그룹사들의 시가총액은 좋다; S&P 500, 중국의 CSI 300을 중심 코어로 7:3 담아라; 개인이 시장을 이기기는 힘드니 ETF 활용하라; 추천하는 주식 섹터는 (1) 사이버 보안하고 (2) 전력망에 대한 인프라

노코드로 웹사이트 구현해주는 구글 오팔, 외로울 땐 대화상대로 딱인 구글 노트북 LM, 그림판에 적듯 텍스트 메모하면 그대로 영상으로 구현해주는 베오3, 사진 한장으로 토킹하는 아바타 만드는 히드라 AI, 목소리 복제로 번역까지 해주는 보손 AI, 2D 이미지를 3D로 만들어주는 Hunyuan3D, 격투도 하는 850만원짜리 Unitree 로봇, 중국 가전 브랜드 하이얼이 출시한 최초의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트럼프 차남, 홍콩 비트코인 콘퍼런스서 “중국은 엄청난 강국”

뉴욕증시, '알리바바 자체 AI 칩' 쇼크에 기술주 급락 마감

트럼프, 연준 핵심 이사들 교체 시도 중; UNH와 건설주 줍줍한 버핏은 금리인하 베팅 중?; 트럼프는 취임 직후부터 공개일까지 계속해서 채권 매수 = 금리 하락하면 유리한 입장 (채권 가격 상승); 트럼프가 올해 매수한 회사채는 건설경기 민감한 홈디포, 경기활황에 좋은 웰스파고, 모건스탠리 등; 트럼프의 퀄컴 (미중갈등 최대 피해처) 회사채 투자에서 보듯, 미중무역은 허구; 트럼프와 싸웠던 마크 주커버그 메타 주식도 들고 있고, '약값 때리기' 했던 UNH 주식도 들고 있어... 위선의 대가 트럼프; AI 주도주는 쉬어가는 중; 지표 민감 시즌 8~9월 1. 엔비디아 실적 (AI 주도주 복귀 여부), 2. 고용 지표, 3. 물가 지표, 4. 9월 FOMC (진짜 금리인하?)

트럼프 최측근의 수상한 매집? 미 상무장관 아들 소프트뱅크와 비트코인 사업; 미 상무장관 캔터 피츠제럴드의 알리바바 보유는 미중전쟁의 허구성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AI인프라인 엔비디아, AND, SMCI, 암호화폐 플랫폼 MSTR, HOOD, FBTC에 투자; 소프트뱅크는 헬스케어 신규매수 (BTSR), 암호화폐도 추가 매수 (ETOR)

호주와 중국 간의 은밀한 거래? 베이징에 진군한 탱크들은 장유샤의 시진핑 9.3일 전승절 협박용? 양란란 사건 이후 갑자기 호주에 십수년만에 사과 수출 허용한 중국 / 못 보던 무인 잠수정까지...베이징 시내 엄청난 무기들 총출동 / YTN

'JP모건, 중국 원자바오 전 총리 딸과 비밀 계약'

중국에 또다시 3개월 관세유예하고, 심지어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인 엔비디아의 블랙웰도 중국에 수출한 트럼프 - 이는 미국우선주의의 관점에서 보면 이해가 안되지만, 좀 더 크게 보면 국제투기자본이 중국, 러시아를 밀어주며 세계질서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 조지프 나이 및 국제투기자본 원로들의 생각처럼, G2 시대는 유지되고 2030-50년대 계속해서 중국은 미국과 패권경쟁을 다투는 지정학적 '다극시대'가 될 것

Mary Meeker's Trend Report ; 100만 사용자 얻기까지 포드사는 2500일, 애플은 74일, 챗GPT는 5일 걸렸다 - AI로 변화의 속도가 엄청 빨라지고 있다; 5년 뒤 AI는 인간 수준의 능력을 갖추고, 10년 뒤에는 혼자서 과학 리서치를 진행하고, 새로운 의학적 발견을 하고, 회사를 경영할 수 있게 될 것; 기업가치 500조인 오픈AI는 벌써 삼성전자보다 기업가치가 높다; AI 인프라 회사 (이를테면 오라클)과 AI 데이터센터 회사가 미국 주가 상승 견인할까? 2025년에 기업의 50% 기업 실적발표에서 AI 언급; 다만, OpenAI, Anthropic, Perplexty의 매출 배수는 매우 높아서,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다; 중국이 빠르게 미국 AI 산업 따라가는 중; 중국은 특히 산업용 로봇이 많다

뭐, 캐나다가 민주주의 사회라고? 지구상에 그런건 존재하지 않는다 2; 세계에서 가장 평등하다는 북유럽도 왕족이 존재하고, 재벌가문이 경제를 독점하고, 캐나다 역시 입헌군주국인데다 Desmarais 재벌가문이 캐나다 정치계를 오랫동안 움직여왔다 (특히 프랑스계 정치권) - 피에르 튀르도, 폴 마틴, 브라이언 멀로니, 장 크리티앵 전 총리가 모두 이 회사와 연관성이 있다 - FED의 폴 볼커와 독일 총리를 지낸 헬무트 슈미트도 사외이사였다 ; China AMC와 (헨리 키신저가 많이 개입했던) CITIC를 통해 중국, 홍콩에도 상당히 투자 ; 장 자크 루소의 "인간 불평등의 기원"이 떠오르네; 하버드 대학 고문이자 브루킹스 연구소 이사인 부친 덕택에 Paul Desmarais III는 기부입학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