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메이지유신
엉터리 음모론자 인드라는 일본 근대화를 99% 국제투기자본 작품, 1%를 요코하마 요시와라 유곽 기생들 탓으로 두나, 이는 그의 확증편향에서 비롯된 무지와 편견일 뿐이다; 냉정히 말해 당대 일본인들이 조선인들보다 더 우수했기 때문에 근대화를 더 빨리 받아들인 것도 인정을 해야한다; 난학의 영향을 받은 에도 막부는 이미 1774년에 스기타 겐파쿠의 근대적인 해부학 도서인 '해체신서'를 펴낼 정도였다 - 사람 몸을 해부하여 탐구한다는 것은 유교국가인 조선에서는 상상도 못했을 일; 시바 료타로의 소설 "료마가 간다"에 묘사된 에피소드도 생각해봄직한데, 1853년 페리 제독이 흑선을 타고 일본에 쳐들어왔을 때, 새로운 세계에 대한 열망 때문에 애타게 동행하고 싶어하는 일본인 젊은이들이 있었고 이에 페리가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 물론 메이지유신 전까지 보수적인 존황양이파도 적지 않았지만, 영국과 미국에 쓴맛을 본 사쓰마, 조슈의 지배자들은 수구보수꼴통이 득세했던 조선보다 훨씬 더 빠르게 자신들의 무능함을 깨닫고 태세전환을 해서 서구화 개혁을 추진했던 것이다; 1868년, 1870년 두번에 걸쳐 번역된 헨리 휘턴의 "만국공법"과 1866-70년 사이 세번에 걸쳐 출간된 후쿠자와 유키치의 "서양사정"은 당대 일본의 베스트셀러였다 - 그만큼 개화기 당시 일본인들은 서구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컸고, 중국, 조선에 비해 개항에도 적극적이었던 것이다; 하여 국제투기자본은, 감히 명나라를 치기 위해 조선침략을 단행했던 역사를 지닌 그 섬나라를 아시아 대리통치의 거점으로 삼았던 것이다; 당대 조선인들이 일본인들보다 더 우수했다면, 파트너 관계는 일본이 아닌 조선이 될 가능성도 있었다 - 그러나 당대 조선은 오일장에서 보듯 상업발달이 미비했으며, 일본에 비해 비위생적이어서 한양 곳곳에는 똥무더기가 천지였으며, 서민들의 직업윤리는 나태하고 게을렀으며, 지배층은 흥선대원군과 민비, 안동김씨 가문에서 보듯, 당파싸움에 여념이 없고 보수적인 유교사상에 갇혀 있었다 - 명나라 황제를 모시는 만동묘를 애지중지하던 것이 당대 조선 선비들의 수준이었다; 정한론의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 것조차 조선이었다; 청나라 황제만 사용할 수 있는 '황'皇이나 명령을 뜻하는 '칙'勅 같은 단어를 사용했다고 메이지 정부의 사신접견을 거부했던 것이다; 물론 일본 애들이 이런 반응이 나올줄 예상하고 일부러 저런 식으로 막무가내로 나간 것이긴 하지만, 급변하던 당대 정세를 수수방관했던 조선 측 잘못도 분명 있던 것이다.
- Get link
- X
- Other Apps
왜인지 그동안 나는 '조슈-이토 히로부미-일본 육군-야마가타 아리토모-흑룡회'를 미쓰이-로스차일드 파벌에, '사쓰마-일본 해군-야마모토 곤노효에'를 미쓰비시-HSBC/베어링/자딘매디슨 파벌에 연결시켜 생각해왔으나, 좀 더 생각해보니 거꾸로 연결시킨 것이었다; 사실 그 반대의 관계가 맞다; 이를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사건이 1914년, 조슈-일본 육군 파벌의 대장격인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배후로 의심되는 지멘스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드러난 사실은 독일 지멘스가 일본 해군에 뇌물을 줬을 뿐 아니라, 로스차일드-빅커스가 미쓰이 물산 및 일본 해군과 오랜 협력관계였다는 사실이다; HSBC/베어링/자딘매디슨 세력은 미쓰비시와 조슈 5인방을 적극 활용, 1850년대부터 일본에 개입해왔고 (이토 히로부미의 경우, 영국 프리메이슨 세력이 영국유학을 시켜줬다. 이토 히로부미가 1872년 10월 14일 도쿄 신바시 요코하마를 잇는 최초의 철도 건설을 건설한 것도 Oriental Bank Corporation로부터 돈을 빌려써서), 메이지 정부 역시 영국 Oriental Bank Corporation와 HSBC 자본을 빌려써서 1894-5년 청일전쟁을 했으나, 로스차일드 자본은 1904-5년 러일전쟁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일본에 개입해서 미쓰이를 키워줬다 - 한편으로는 러일전쟁을 통해 일본 해군을 키워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미쓰이/미쓰비시/오쿠라 재벌을 통해 흑룡회를 후원하고 중화민국 장제스와 일본 육군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또 로스차일드는 동양척식주식회사와 남만주철도회사의 대주주가 되었다; 일본의 석유 수입 역시 로스차일드의 셸 컴퍼니에 절대적으로 의존했다; 그러나 이 역학구도가 완벽하게 들어맞지는 않은데, 이토 히로부미나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미쓰이/미쓰비시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기도 했고 (19세기 후반, 일본 선박의 90% 가까이 장악했던 미쓰비시 해운에서 보듯, 미쓰비시에게 더 힘을 실어줬지만), HSBC/베어링/자딘매디슨 계열의 오리엔탈 은행은 1873년 미쓰이 재벌에게 융자를 해주었으며, 미쓰비시 2대 총수 이와사키 야노스케는 1897년 로스차일드 지령으로 일본에 금본위제를 우격다짐으로 도입한 마쓰카타 마사요시와 인척 관계를 맺기도 했다; 여튼 1904-5년이 중요한 분기령이 되는 해다 - 그 이전까지는 미쓰비시-HSBC/베어링/자딘매디슨 파벌이 일본을 대리통치했고, 그 이후부터 1937년 만주사변 전까지는 미쓰이-로스차일드 파벌이 일본을 대리통치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서구식 혁명으로 반문명적 인습을 타파하려고 했다던 메이지~다이쇼 시대에도 여전히 미신이 횡행했던 사례들: 메이지가 몸소 참배한 마사카도의 간다묘진 (마사카도의 머리무덤) / 히로히토의 스토쿠 덴노에 대한 식년제 거행
- Get link
- X
- Other Apps
왜 일본어에는 적나라한 욕이 없을까? 가능성 (1) 사무라이 문화 (2) 메이지유신 이후 언어정화 운동의 영향 (3) GHQ 지배 이후 미디어의 차별적 언어사용에 대한 통제
- Get link
- X
- Other Apps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1946), 호사카 유지가 설명하는 일본인과 천황제의 역사; 일본 천황제를 없애려고 했던 인물은 일본 역사 전체를 통틀어 타이라노 마사카도나 오다 노부나가 등 극소수였다; 그 이유: (1) 야마토~가마쿠라 시대에는 지배가문의 혈통 (소가, 후지와라, 타이라, 미나모토)이 덴노가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2) 무로마치 시대까지 쇼군 통치의 정당성을 덴노에게서 찾았기 때문 (8세기에 집필된 일본서기와 고서기가 큰 역할을 했다고 본다), (3) 에도시대에는 덴노의 상징성마저 사라져서 쇼군이 금중병공가제법도를 제정해 덴노에게 이런저런 규정을 강요하는 등 사실상 하급자 취급을 받았고 덴노는 제사장 역할만 수행했다, (4) 에도시대 후기에 미토번 중심으로 국학의 발달이 일어나 존왕양이 사상이 퍼져나갔고, 결국 그것을 받아들인 사쓰마와 조슈번 중심으로 메이지유신이 일어났지만, 19세기 후반에 가서도 일반인들은 덴노의 존재조차 알지 못했다; '천황'의 명칭 단일화는 메이지 유신의 산물로, 그 이전에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일본 덴노 역사상 4명 정도가 직계혈통은 아니었지만, 방계혈통이었기 때문에 1,500년 정도 단일왕조의 역사가 이어져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덴노가의 백제계 혈통 암시한 아키히토 일왕과 고사기와 일본사기에 등장하는 한국산의 비밀
- Get link
- X
- Other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