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언어와 정신

아로가 싫어하는 조센징들 언어 표현들: 알파메일 (양키들한테서 유래했지만), 대박, 흙수저, 금수저, 존잘, 존예, 인싸, 아싸, 상위%, 상타치, 하타치, 관상은 과학이다; 이런 표현을 자주 쓰는 병쉰들은 99% 루저다; 공자의 정명 운동이 필요해

득일만사필得一萬事畢이니, 정신통일이 모든 일의 관건이다

참모총장 - '창조는 편집'이라는 에디톨로지적 개념을 보여주는 용어; 참모의 원래 뜻은 밑에서 조언하는 사람인데 그 참모들을 총괄하는 참모총장에서 군대에서 가장 높은 직책인 것은 군대 장성이 "일반"을 뜻하는 general로 불리는 것과 똑같은 이치에서 생각해볼 수 잇다

베르그송이 쓴 철학서 "웃음: 희극의 의미에 대한 에세이": 인간은 죽음에 대한 공포를 갖고 사는데, 이것이 가짜 공포임을 알게될 때 웃게된다 (찰리 채플린의 희곡처럼); 지금 웃음이 나와?🤨 웃자고 한 말에 죽자고 달려드는 한국인들? 한국인은 예측이 어긋났을 때 고통을 느끼고 분노하게 된다; 가소롭다의 '가소'는 옳을가에 웃음가를 써서 웃음을 유발하는 사람; 웃음은 한국 문화에서 부정적인 의미; 할리우드에서는 광대 케릭터가 주인공이지만, 한국 영화에서는 가벼운 역할로 메인 케릭터가 되지 못한다; 한국에서 웃음은 사회적 위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 나보다 사회적 위계가 낮은 사람이 웃으면 분노를 유발하게 된다; 루이 14세 이전의 프랑스의 문학에서 희극은 비극보다 아래였다 - 희극은 광대들만의 잔치; 미국의 표현: I will have the last laugh (내가 최후의 승자가 될 것이다); 동양의 재밌는 유머는 해석 가능하고, 언어유희가 가능한 유머; 서양은 선넘고 과장하는 것이 유머; 서양에서는 동종업계 사람들끼리 이해하는 자학적인 개그도 많이 한다;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장르는 영화는 시사적인 영화, 드라마는 가족 드라마 - 주제가 묵직할 수밖에 없다; 부정적인 이야기를 할 때 뇌가 더 집중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이야기를 자주하는 한국인들의 뇌는 급격한 산업화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한국인들의 생존본능일 수도; 또 사람들이 행복할 때와 힘들 때 언제 더 연결됨을 느끼는지 후자가 더 크다; 인생을 아름다워 (1997)와 La Grande Illusion (1937) - 나치 치하에서의 고된 삶을 웃음으로 희화화; 울다와 노래하다는 독일어 등에서 비슷하다; 한국어 장레식 울음소리도 '곡소리'라고 한다; 프랑스인의 인생관: "인생은 즐기다 가는거야" (프랑스 요리가 맛있는 이유) vs 한국/일본인의 인생관: "인생은 고난의 연속이지"; 나는 내 기억을 찍는 영화감독

박용후 관점디자이너: 부자라고 생각하면 거짓말처럼 부자가 된다 / 만족(滿足)이라는 한자의 뜻을 살펴보면. "만(滿)은 '가득하다' '차오르다' 라는 뜻이고,. 족(足)은 그냥 발이라는 뜻 - 발목까지 차올랐을 때 멈추는 게 행복 - 넘치면 과유불급 / 부자와 빈자의 차이는 내 삶의 구조, 내 비즈니스 구조를 어떻게 설계했느냐의 차이

록펠러 2세와 1953년 출간된 인디애나 대학의 킨제이 리포트의 연관성; 같은해 발간된 플레이보이와 록펠러 2세의 연관성; 록펠러 2세와 1960년대 성해방운동, 피임약-제약산업, 페미니즘과 남녀갈등, 3s 정책의 연관성; 한국말 '서방'은 남편이 집안이 아닌 집밖의 사람이라는 의미를 내포; 임자는 남성주의적인 표현으로, '내 것'이라는 뜻

외국인에게 한국말로 욕하면 욕인줄 알아들을까? 부바-키키 효과

김정운 "창조적 시선" 정리 2

김정운 “창조적 시선” 정리 1

조선 초딩들의 언어유희: 시간 빌게이츠, 시간 만수르, 타임 머스크; 머리 빈 것들이 갖다붙히는건 오지게 잘해요~

나마스테

이어령 - 영어 단어 interest의 해석

재밌는 언어유희; 총각은 모든 면에서 각이 져서 총각? 결혼이란건 모난 인간 두명이 둥글어지는 과정? / 이상적인 결혼 상대가 얼마나 통계적으로 어려운지 보여주는 사이트, Delusionmeter

일본어에서 2인칭 대명사는 사실 없다. (君키미/あなた아나타/お前오마에); 직접적으로 상대를 지칭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일본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