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사우디 아라비아

박종훈: 일본의 장기불황 저페니피케이션은 서방 경제학자들은 일본 정부의 잘못된 정책이나 일본인의 특성 때문으로 해석했으나, 2010년대 이후 일본처럼 되는 현상이 유럽으로 확산 - 이는 일본의 문제가 민족적 특성이 아니라, 청년 인구 감소로 인한 것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 종이돈은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부르나, 지난 40년 동안 인플레이션이 없었던 것은 중앙은행 시스템이나 경제학 발전 때문이 아니라, 오직 세계화 때문이었다. / 인플레이션의 재림 (1) 미국 내 공장 건설 강요와 리쇼어링 (2)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막대한 돈풀기 (3) 트럼프 정부의 감세, 관세 정책 (4) 트럼프 정부의 유가 인하 전략 with 빈살만 (5) 트럼프 정부의 인플레 통한 재정적자 줄이기 전략 (6) 이상 기후 (7) 탈세계화: 세계화가 끝나 다른 나라에 마음 놓고 투자하기 어려워졌다. (8) 원자재 무기화: 원자재 가격이 들썩이고 원자재가 무기화되는 세상으로 바뀌었다. (9) 생산가능인구 줄어들며 인건비 상승 /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돈을 빌린 사람들과 인플레이션에 대비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사람들 (실물자산와 대체자산에 투자한 사람들), 그리고 보험산업이 이득을 본다. /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유가 정책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순간이 올 수밖에 없으며, 인플레이션은 시점만 모를 뿐 재발할 확률이 매우 높다.

같은 수니파 국가로서 친한 사우디와 파키스탄 - 이번에는 상호방위조약 체결하며 동맹국 되어

Digital ID to Solve Illegal Immigration! - New World Next Week; 트럼프 사위 쿠슈너, 사우디 펀드와 함께 EA 매수

영국의 머저리 국뽕들이 찬양하는 처칠 개자식의 일대기

1-2 세비라 자주인라디오 이 빠가가 로스차일드, 록펠러, 프리메이슨을 하나로 묶어서 보고 섬세함이 없는 건, 1950~1970년대 이들 세력 간 치열한 권력암투의 역사를 몰라서 그렇다; (1) 미국 SEC 등 금융당국의 규제로 록펠러 가문이 오랫동안 유럽 진출을 못했고, 그 유일한 탈출구가 유로달러 시장이었기에, 195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로스차일드와 바클레이즈의 견제를 받으며 유로달러 시장에 진출 (데이비드 록펠러 자서전 Memoir에 나오듯, 로스차일드 은행은 록펠러에게 대놓고 협조 거부) - 1970년대가 되어 뉴욕의 록펠러 은행들이 주도권 장악 (2)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된 달러 부족 사태는, 로스차일드/CIA가 일으킨 베트남 전쟁으로 악화되었는데, 달러/금만으로 유동성 유지 및 확대에 한계가 있으니 1969년에 만들어진 것이 IMF SDR 체제 (3) 1971년의 닉슨 쇼크와 OPEC의 페트러달러 협상의 배후가 헨리 키신저고, 그 배후가 록펠러 가문인 반면, 로스차일드 가문이 1907년부터 대주주였던 로열더치셸은 페트로달러 체제로 인해 국제시장에서의 영향력이 급격히 약화 됨 (4) 데이비드 록펠러가 로스차일드/유럽 귀족들이 주축인 빌더버그 상임위원회에서 미국 대표로 일본을 넣자고 제안했다 거절당하자 1973년에 만든 게 삼극위원회 (5) 1973년 구상되어 1977년 시작된 국제 결제 메세징 시스템인 SWIFT 역시 은행간 세계화를 목표로 한, 데이비드 록펠러 작품으로 봐야 (6) 1970년대 중반까지 미국의 언론 및 FED에서 데이비드 록펠러를 집요하게 공격 - 이란 대사관 사태 (1979-1981) 때도 욕을 먹음 - 지미 카터가 미국 대통령이 되어서야 (1977-1981) 록펠러 천하가 시작되고, 1980년대 로널드 레이건 시대가 되어서는 미국 공화당도 완전히 록펠러화

쿠웨이트·바레인·카타르·UAE, 이들이 살아남은 진짜 이유

스케일의 차이: 사우디 빈살만이 한국에서 쓴 돈

What Hath God Wrought (The Media Matrix Part 2); 미디어가 하도 신기해서 영매를 뜻하는 medium으로 불리게 된 것; 최초의 telegraph전보는 What Hath God Wrought!였는데 이것이 미디어에 의해 잘못 전달되어서 What Hath God Wrought?가 됨 - 미디어의 역사는 그 시초부터 왜곡의 가능성을 안고 시작한 셈; 인쇄한 책이 처음 등장했을 때 파리인들이 악마의 소행으로 본 것처럼, 라디오 처음 등장했을 때 악마의 물건으로 본 사우디 아라비아의 무슬림들; Princeton Radio Project - 록펠러 가문이 라디오가 인간심리에 끼치는 영향을 만들기 위해 만든 연구기관으로 넬슨 록펠러의 다트머스 대학 동창인 Hadley Cantrell이 주도; 20세기 초반 라디오가 화려하게 등장한 것처럼, TV는 1950년대 미국 가정에 급속도로 퍼진다 - 원래는 1930년대부터 퍼질 수 있었으나, 대공황, 제2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늦게 퍼진 것; 닐 포스트먼: TV는 인간이 사고하는 능력을 빼앗고 뇌파를 알파파 상태, 즉 백일몽 상태로 만든다; 최면, 암시에 수동적이게 만든다

2026년 중동이 위험한 이유: 네타냐후를 갖고 논 트럼프 - 이스라엘은 결코 이란과의 전쟁을 포기할 수 없다? 트럼프의 이란 석유 중국 판매 허용은 사우디, UAE, 카타르의 대대적 반발을 불러일으킬까?

석유와 패권 2: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 금가격은 역사적으로 일정했다; 고대 로마의 금 1온스는 빵 300로프, 오늘날에도 금 1온스 (1922.62 달러)는 빵 300개 가격; 나폴리에서 금 1온스 = 양복 1벌 가격이었는데, 오늘날에도 비슷; 하지만 석유, 김치 같은 필수품은 수요/공급의 미묘한 차이에 의해 가격이 널뛰기; 미국 유노칼의 송유관 건설계획, 전후 유노칼의 석유 매니저 출신 카르자이가 아프가니스탄의 수반이 됨; 쿠웨이트, UAE, 사우디 아라비아 같은 스윙 스테이트들은 기본적으로 고유가가 이득이긴 하지만, 미국 주식에 투자한 돈이 많아서 저유가여도 미국 주식이 오르기 때문에, 미국의 입맛에 맞춰줘왔다; 미국의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침공의 빌미였던 9.11, 오사마 빈라덴 생포, 대량살상무기는 자작극; 푸틴-트럼프 중재협상 시작한건 사우디 빈살만; 러시아 중심으로 미국은 석유질서를 재편하려고 한다; 러시아의 석유 컨트롤 통해 중국을 견제하려고 한다; 러시아-독일 노드스트림에 불편함을 토로했던 도널드 트럼프는 메르켈과 만날 때 5시간이나 그를 기다리게 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때도 가스 파이프라인은 터치를 안하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게 비용을 지불했다; 푸틴은 전후 경제위기 대비해 원자력 쇄빙선을 구축하는 중, 러시아 제국의 뿌리인 모스크바 공국의 수도는 우크라이나의 키예프

석유전쟁을 지배하기 위한 빈살만 왕세자의 무시무시한 계략이 시작됐다 (박종훈의 지식한방); OPEC+사우디가 7월부터 41만 배럴 석유 증산해서 석유값 떨어뜨리려는건 미국 셰일가스 업체들의 생산력 한계를 눈치채고 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노림수?

왜 모두가 이란을 두려워하나? 이란이 깨어나면, 중동의 질서가 바뀐다; 페르시아의 후예, 중동의 지리적 중심, 희토류 등 엄청난 자원, 항공우주 등 이공계 중심, 강한 군사력과 금방 만들 수 있는 핵무기, 시아파 종주국, 서방 세계 저항의 축

마하티르의 역설 / 경제성장과 민주화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