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미학
미국의 물리학자로 하버드와 MIT대 교수를 지낸 Alan Lightman가 쓴 The Transcendent Brain: Spirituality in the Age of Science; Spiritual Materilaism: 영적 탐사에 있어서 과학을 배제할 필요는 없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양자는 서로 상호보완적일 수 있다; the Great Chain of Connection, which he relates to another of his concepts, viz., “cosmic biocentrism.” Central to the notion is “the kinship of all living things in the universe.” e writes, “The golden ratio is built into us, just as it is built into seashells and aloe plants. Our aesthetic of beauty is literally an expression of our oneness with nature.”
- Get link
- X
- Other Apps
한예종 교수: 눈에 반짝이는 아름다움도 굉장히 중요한 것일 수도 있겠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그냥 반짝거리는 것이라기보다는 마음 깊이 오랫동안 남을 수 있는 것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 것들에도 의미를 두어야하지 않나라고 생각합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신경미학neuroesthetics의 대두; 인간 뇌에서 사람의 얼굴을 볼 때 아름다움을 느끼는 부위는 욕망을 느끼는 부위와 동일; Facial Average: 평균에 가까울수록 아름답다; 한편으로는 희소성도 아름다움을 증가시킨다 = 북유럽인들이 초록색 눈을 예쁘게 생각하는 것과 비슷; 남자는 내가 평가하는 나 > 남이 평가하는 나고, 여자는 내가 평가하는 나 < 남이 평가하는 나다; 칸트는 많이 알수록 아름답게 느낀다고 했는데, 실제로 신경미학의 연구에 따르면, 지식이 없어도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분야에서는 상관없지만, 지식이 필요한 분야는 지식이 많을수록 아름다움을 더 많이 느끼게 된다; '미덕'이란 단어에서 보듯, 예쁘면 착하게 느끼는 것은 인간의 인지적 오류 - 추하면 피하고자 하는 것이 인간 본성
- Get link
- X
- Other Apps
터프남에서 미소년으로; 르몽드: 한국남자, 판타지적 남성성의 새로운 모습; K-드라마에 나오는 남자들이 미국 블록버스터에 나오는 마초적인 남성 섹스 심벌의 안티테제로서 남성의 새로운 이상을 정의하고 있다; 제1, 2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서구에서 진정한 남자는 오랫동안 군인적인 특성을 가진 남자로, 가족과 국가를 위해 자신의 아름다움을 희생하는 사람이었다; 이런 트렌드는 1980년대에도 이어져서, 가족을 난장판인 세상에서부터 지킬 수 있는 강한 남자가 선호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는 양면적인 시대기도 했으나, 1980년대 후반이 되면서 메트로섹슈얼 스타일이 등장했기 때문; 1980년대 초반의 브루스 월리스, 록키, 람보, 탑 건 스타일의 터프한 남자의 전성시대에서 1990년대~2000년대 리버 피닉스, 백스트리트 보이즈,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저스틴 팀버레이크, 데이비드 베컴 등 미소년 스타일도 각광받게 되었다; 이는 미국 제조업의 몰락과 월가의 성공, Yuppie문화의 대두와 관련이 깊다
- Get link
- X
- Other Apps
1950년대에 등장한 불변의 디자인: Simple is Better, Less is More, 가장 본질 (기능)에 충실한 디자인, 미니멀리즘, 디터 람스와 Braun사의 디자인, 소니와 애플 by 유현준
- Get link
- X
- Other Apps
우리가 아름답다고 느끼는 건 1도 아닌 2도 아닌, 1.4의 상태 (feat. 프랙탈)
- Get link
- X
- Other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