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시진핑

낮은 세금, 높은 부동산 가격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해외자본 유치했던 홍콩의 몰락; 자본은 '정치적 불확실성'을 싫어한다; 홍콩 부동산 가격 폭락 중

중국 제로 코로나 시위의 시발점이 된 중국 신장 우루무치 아파트 화재사건

시진핑 바지사장설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박종훈 기자가 놓친 것은 중국이 체면 문화에 기반해있고, 이미 화궈펑 때 '식물주석'을 역임했던 사례가 있었다는 것 - 겉보기에 시진핑이 지금 해외순방도 다니고, 트럼프랑 통화도 하고 실권을 유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미 실권은 잃어버렸을 수도 있다는 것; 대륙남이 제시하는 증거 (1) 시진핑측 군부 인사 모두 숙청 (2) 9월 3일 열병식 기사 때 이전과 다르게 시진핑을 부각시키지 않고 연사 정도로 격하시켜 등장시킴; 기사도 열병식과 시진핑을 분리하는 두 개의 기사를 가각 따로 내보냄 (3) 열병식 주관을 시진핑 휘하의 중앙군사위로 명시하지 않고, 정부부처 5개 합동으로 명시 (4) 시진핑이 실각시킨 후춘화가 왕후닝 대신 당대회를 개최하고 CCTV에서도 두번이나 클로즈업해서 내보냄 (5) 같은 날 CCTV 뉴스에서 후춘화의 티베트에서의 업적을 조명 (6) 중국 귀주성에서 시진핑 최측근 천민얼이 귀주성 당서기 시절 발탁했던 6명 관료가 동시 숙청됨 (7) 중국 방송에서 시진핑의 직접 발언이 안 나오고, 나레이션과 자료화면만 (8) 인민일보 6월 3일 리커창 기사 (10) 푸핑에 있는 시중쉰기념관이 '관중혁며익념관'으로 개명 (11) 시자쥔이자 시진핑 와이프라 직접 추천한 신장위구르 당서기 마싱루이 퇴출 (일대일로 필수적인 곳) (6) 시진핑, 브릭스 회의 최초로 불참; 9월 3일 시진핑 고별연설 할까 아니면 5년 임기 2027년까지 채우고 아름답게 퇴장할까? ; 시진핑의 실책들 (1) 한자녀 정책 너무 늦게 폐지 (2) 제로코로나 정책 (3) 빅테크 규제 (4) 성장률 위해 부동산 과잉 성장시킨 뒤 갑자기 규제

“여러분 저 아직 건재합니다”…실각설 깨고 모습 드러낸 시진핑 / '中전문가' 조영남 교수 "삼국지 시대냐…시진핑 실각설 낭설"

시진핑 최측근 또 숙청, 중국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나? (박종훈의 지식한방) / "측근 숙청된 시진핑, 위태"...미국 전직 고위급 사이서 도는 흉흉한 소문 [지금이뉴스]

장유샤는 왜 시진핑을 겨누는 칼이 됐나 [남문희의 코리아 체스판]

달러 스테이블 코인 때문에 중국 부유층에 의한 국부 유출이 일어나고, 중국 내 정권교체도 가능해질까?

세계를 놀라게 한 '깜짝 발표'..."미중, IMF 지하서 비밀리에 회담"; 프랑스 투자은행 나티시스의 알리시아 가르시아-헤레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이 먼저 물러섰다"면서 "미국은 타격을 받지 않고 거의 무한정 관세를 올릴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럴 수 있다는 건 입증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싱크탱크 민주주의수호재단의 크레이그 싱글턴은 "이번 협상이 빨리 타결돼 놀랐다"며 "양측 모두 드러난 것보다 경제적으로 더 궁지에 몰려 있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중 rebalancing의 시대 (2025-2030년대): 오건영이 말하는 중국이 미국채 못 파는 이유 (1) 중국이 팔면 세계 각국이 팔고 국채가격 헐값되어 중국도 막대한 피해 (2) 위안화 초강세가 되어 수출이 어려워진다 (3) 미국 금리가 올라 미국 내 소비가 위축되고, 중국 역시 수출이 어려워진다 (4) FED가 양적완화 카드를 쓰면 중국의 미국채 매각을 상쇄할 수도 있다 (5) 미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인 일본이 미국채를 팔지 않는다 - 미일 공조; 국제투기자본의 미중 커플링 때문에 미국과 중국은 과거 미국과 구소련 관계처럼 무조건 적대적일 수 없고, 상호침투적일 수밖에 없는 것; 하여, 앞으로의 지정학은 미국은 수출을 늘리고, 중국은 소비를 늘리는 rebalancing의 형태로 갈 수밖에 없다; 트럼프는 "Free Up China"를 외치며 중국의 금융시장 개방을 촉구하고 있고, 중국도 내수부양이 양회의 안건으로 상정되는 등 개방을 준비 중이다 - 지금이 중국 금융주 투자의 적기일수도; 중국이 금융시장 개방하면 해외 자금이 유입되고, 위안화는 절상되고, 해외에서 가지고 오는 수입액도 늘어난다; 미국은 달러 약세 유지하고 수출은 늘리되, 스테이블 코인 통해 달러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하려할 수도; 과거 1985년의 플라자 합의처럼 미국이 달러약세를 인위적으로 만들기는 어렵고, 에너지 가격 낮추고 경제규제 완화하는 식으로 국채금리를 내리고, 다른 나라 금리는 올리는 방식으로, 차이 줄여서 달러약세를 유도할 것 - 하여, 일본은 과거의 저금리, 초강력 엔화 약세의 시대로 돌아가기 쉽지 않다; 2011-12년 엔화 강세 시기, 몇개국이 공조해서 이를 조정하려 했으나 시장이 너무 커서 실패했다 / 오태민: 중국이 장기국채 던져도 미국이 단기국채 팔아서 살 수 있다

들불처럼 번지는 전 세계 ‘트럼프 반대 시위’에 꼬리 내린 트럼프; 트럼프 ‘자살골’로 중국 자신감 키워… 지지율 42%로 최저

칭화대 이사회 멤버이자 주룽지-왕치산 계파인 싱가포르 전 총리 부인, 연일 동남아 순방하는 시진핑 저격 게시물…중화권 관심 - 중국 내 권력투쟁 의식한 것인가 / 한국에는 기사 한 개도 안 떠

장유샤 vs 시진핑 권력투쟁 및 중국의 대만침공으로 제3차 세계대전 임박? 2026년은 대만침공의 해로 유력하게 국정원이 분석

BBC, WSJ, 이코노미스트: "트럼프 54% 관세는 시진핑에게 선물일 수도" [트럼프 관세] / 바이든발 신냉전 체제 대신 '미국 vs 전세계'로의 초유의 세계질서 재편 / 박종훈: 트럼프의 상호관세 폭탄이 미국의 자폭인 이유: 치솟는 인플레, 캐나다/EU 등 자존심있는 국가들의 보복관세, 중국의 부상 (중국서 생산비용이 1/5이기 때문에 관세 54% 정도로는 해외자본이 생산기지 중국 밖으로 옮기는 것 큰 메리트없다; 더군다나 베트남 46%, 인도네시아 36%, 인도 26% 관세라); 게다가 미국은 1970년대 탈제조업 정책 이후 제조업 밸류체인이 벨붕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