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인류학
잡종이 창조적이다 - hybridity잡종성의 중요성; folk/race가 중심이 아닌 아닌 individual (indivisible과 같은 어원을 공유함을 주목하라!)이 중심이 될 때 잡종이 나오고, 잡종이 나와야 창조성이 꽃피는 문화가 발전한다; 김정운 교수의 지적처럼, "창조는 편집이다. 편집이 가능하려면 편집의 재료가 다양해야한다. 미국이 여전히 강한 이유는 바로 이 편집의 재료가 아주 다양하기 때문이다. 잡종성을 포기하는 순간, 미국의 리더십은 끝난다"; 중국이 미국을 이길 수 없는 이유는 아무리 인구를 무기로 협박해도 편집의 재료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 지극히 폐쇄적인 딥시크에서 보듯 말이다; 미국과 비슷한 이민국가인 캐나다 뿐 아니라 전세계 모든 국가의 번영 역시 이러한 잡종성에 기반해있다; 일본이 또다른 예다 - 야나기 무네요시의 지적처럼, 일본은 아스카, 나라 시대에 한국 문화로부터 큰 은혜를 입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자 쇼토쿠 태자 명령으로 만들어진 호류지 역시 시텐노지와 함께 백제 목조 건축 양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일본이 수당사, 견당사를 통해 끊임없이 외국의 앞선 문물을 도입하고 자기식으로 재해석하려고 할 때, 또 1853년 페리 제독의 침략 이후 서구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자기식으로 재해석하려고 할 때, 일본의 문화는 융성하고 중국과 조선의 문화를 아득히 압도했다; 그러나 1940년대 미국과의 국력 차를 무시하고 무리하게 태평양전쟁을 일으키거나, 1980년대 버블시대에 Japan as Number One의 자만심에 도취해있을 때는 얼마 안 가 처참하게 몰락했다; 일본은 외래문화를 적극 수용하고 하이브리드가 될 때 국운이 융성하는 특성을 지닌 나라다; 이것은 또한 영국이나 일본처럼 고립된 섬나라의 운명이기도 하다; 하여, 이어령은 일본은 축소지향이 되지 않고 팽창적이 될 때 국운이 몰락한다고 경고했던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유태인들은 왜 뛰어난가? 왜 그들은 전세계 인구의 0.2%만 차지하지만, 노벨상 수상의 22% (노벨경제학상의 경우 40% 이상)를 차지하는가? 소스타인 베블런은 그 이유로 "그들이 소외된 주변인이었기 때문"이라 해석했다; 유태인, 보헤미안, 오스트리아인으로서의 3중의 정체성을 토로한 구스타프 말러처럼 말이다; 이를 창조적 회의론creative scepticism이라 한다; 불교와 검도에서 수파리(守破離)를 말하듯, 창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괴해야하고, 상식처럼 통용되는 모든 진리를 의심해야 하는 것이다 - 이러한 작업에는 인싸보다는 아싸, 즉 소외된 주변인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오랑캐 진이 중국을 통일했듯이, 변방인 조슈와 사쓰마가 명치유신을 일으켰듯이, 코르시카 출신인 나폴레옹이 프랑스 황제가 되어 전유럽을 통일했듯이, 객가 출신인 덩샤오핑이 권력을 쥐었듯, 중심은 주변부에서 창출되는 법이다; 이어령이 강조한 필록테테스의 비유처럼, 결국은 남들과는 다른 "상처받은 자"가 문명의 중심이 되어 세상을 바꾸고, 역사를 바꾸는 것이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도쿄대 연구: 일본인의 뿌리는 한반도에서 건너간 도래인들; 죠몬인과 짬뽕된 것이 오늘날 일본인의 직계조상
- Get link
- X
- Other Apps
미국에서 콘크리트 대신 목재로 집을 짓는 이유 (feat. 가격+재료 운반시간+소음)
- Get link
- X
- Other Apps
왜 미국 승무원들은 승객들에게 무례할까? 짬밥 차이와 넓은 영토, 진상 승객; 왜 미국의 가난한 빈민들은 최고급TV에 집착할까? 안에 있는 시간 많아서...
- Get link
- X
- Other Apps
유현준: 위치에너지와 시가총액의 상관관계; 조선시대 배산임수가 합리적인 이유
- Get link
- X
- Other Apps
현대 중국이 문명화가 덜 된 국가라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 아저씨들의 웃통까고 배꼽만 드러내는 방예 패션 (일명 '베이징 비키니')
- Get link
- X
- Other Apps
세계에서 가장 물가가 저렴한 나라이자, 외국인이 방문하면 사주려고 하는 방문객 환대문화가 있는 파키스탄; 물질을 맹신하는 동북아와 서구와는 다른 가치관을 지닌 나라; 유대교도들과 비슷하게도 파키스탄 현지 여성들도 (흔히 중장년층) 파키스탄의 여성차별은 이슬람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편견이라 말한다; 아로는 동의하지 않지만 (평생 가난한 나라에서 사는 사람들이 가난과 부귀가 뭔지 모르듯이, 평생 성억압적인 나라에서 사는 여성들은 그게 성억압적인 것을 모를 뿐이다), 이슬람의 오랜 역사에서 남녀 역할분담을 하여 가정은 여성이 전담하여 가사에만 전념하게 하고 (안전을 위해 외부출입은 자제) 생계는 남자 가장에게 맡기는 것도 합리적이었다면 합리적인 선택이었을지도 모른다
- Get link
- X
- Other Apps
잉카 마추픽추를 이런 얼토당토않은 곳(=단층대)에 지은 매우 과학적인 이유! (1) 균열 쉬운 지반이라 석자재 조달 용이 (2) 물이 모임 (3) 배수; 요르단 페트라 유적지도 기울기가 배수에 알맞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문화인류학자 한민: 행복지수 1위 핀란드에 간 한국인이 느낀 참담한 현실; 핀란드는 일조량이 부족한 나라고 오랜시간 밤이나 낮이 지속되서 우울증에 걸리기 쉽다; 특히 타국 사람이 오면 더 그렇다; 핀란드의 '휘게'는 이런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또한, 핀란드와 북유럽의 평등주의 사상인 '얀테의 법칙'은 미국인이나 한국인 등 경쟁심리 강한 민족 입장에서는 매우 갑갑하고 억압적으로 보일 수 있다; 각 나라별 문화적 상대성을 이해해야
- Get link
- X
- Other Apps
리처드 니스벳: "동서양 인식의 차이점" 관계에 집착하는 동양인, 규칙이 중요한 미국인; 동양인들은 서양인들보다 전체맥락을 더 잘 파악하며, 갈릴레오도 몰랐던 원심력과 밀물, 썰물의 원리를 알았다; 그러나 이를 규명한 것은 17세기의 서양 과학; 과학적 탐구정신은 동양이 아닌 서구 그리스의 발명품
- Get link
- X
- Other Apps
어쩌다 어른: 혼네와 다테마에 문화로 보는 일본의 나와 타인의 구별짓기; 구별짓고 프라이버시를 중시하지만 타인과 교감을 하고 싶기에 야동, 노조키베야, 몰래카메라 등 '엿보기' 문화가 발달했다; 일본의 야동과 한국의 먹방; 한국은 밥상 문화 - 조선시대 때보듯 밥을 엄청 많이 먹었고, '먹는다'는 표현을 다양한 관용어로 쓰며, 한국인의 흔한 인삿말도 '살인의 추억'의 그 유명한 대사처럼 밥먹었냐는 것 ㅡ 야동과 먹방의 공통점은 가장 원시적이고 내밀한 욕구이자 대인관계에서의 매개체; 연애를 할 때도 원거리에서 점차 근거리로 거리를 좁혀나가는 것이 일본 남성의 스타일; 한국의 하회탈과 일본의 노멘 ㅡ 노멘은 표현이 절제되고 고정되어 있다; 한국의 역동적이고 감정적인 다양한 욕설과 대비되는 일본의 초라한(?) 욕문화 ㅡ 심한 욕이라봤자 말과 사슴이라는 뜻의 '바가야로'와 똥을 뜻하는 '쿠소' 정도; 한국 욕은 그 표현이 다양할 뿐 아니라 다채로운 조합이 가능하다 ㅡ 개xx, 성기 (니미, 시발), 질병 (염병할), 형벌 (우라질, 육시랄, 젠장) 관련 욕이 그 예로, '젠장'은 제기+난장의 합성어로 니 아기를 마구 때리는 것을 의미; 체면과 명예를 중시하는 일본의 감추기 문화는 국가적 차원에서도 확대재생산된다 ㅡ 2019년 봉준호의 '기생충'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에 따른 대대적 언론보도 및 청와대 만찬과 대비되는 2018년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어느 가족' 황금종려상 수상과 일본의 냉대 ㅡ 일본의 치부를 드러냈기 때문; 일본인이 몽환적인 특성의 애니메이션에 빠지는 이유는 인간관계 갈등에 대한 회피심리
- Get link
- X
- Other Apps
제로 금리를 끝낸 일본의 고민; 대기업 고용비율이 OECD 최하위인 한국; 독일은 중소기업이 아니라 중견대기업이 없다; 일본 근로자의 70%는 중소기업 재직 (한국은 90%); 일본도 한국처럼 대기업-중소기업간 격차가 늘어나고 있다; 국가별 직업 위세 순위를 보면 동양은 권위, 중요성, 가치 존경 중 권위에 중점을 둬서 국회의원과 의사, 약사가 존경받는 직업인 반면, 서양은 가치, 중요성에 중점을 둬서 소방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존경받는 직업이다; 국가별 직업 위세 격차는 한국이 가장 심하다
- Get link
- X
- Other Apps
이어령의 인터페이스론(論); 앞으로 세계를 지배하는 사람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를 고민하는 자; 그레고리 베이튼슨: 인간과 기계(도구)의 경계는 무엇인가; 인간중심의 인터페이스는 인간 이외의 것들을 타자화한다; 너무 인간 친화적으로 기술이 발달하다 보면 인간의 본질적인 면까지 기술이 대치함으로써 인간 자체를 타자화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매체를 ‘전달체’라는 도구로 파악해야 하는지 ‘인간의 확장’으로 봐야 할지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올리버 그라우: 현재의 디지털 매체는 조작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사유 자체를 결정하는 도구가 됐다; 마셜 맥루한: 매체는 인간의 확장이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다큐] 한국어와 일본어는 어떤 관계는? 한국어는 세계어가 될 수 있을까? 우리말의 기원을 찾아 장대한 여행! [위대한 여정, 한국어] (KBS 2004 방송)
- Get link
- X
- Other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