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인류학
고대 춘추시대의 얘기와 구약성서 속의 해와 달을 움직인 이야기의 공통점 / 서양의 점성술이나 동양의 명리학이나 같은 출발 / 원의 내각이 360도인 이유 / 동서양의 기본적인 차이: 원의 내각을 360도로 규정한 것에서 보듯 이념적인 서양, 非(비)이념적인 동양 / 논리란 것은 기본적으로 서양의 정신
- Get link
- X
- Other Apps
왜 서양의 영웅 (ex. 베트맨)은 눈을 가리고, 동양의 영웅은 입을 가리는가? (자기표현중심의 서양문화에서는 입이 중요, 이심전심의 문화인 동양에서는 눈이 중요); 왜 서양인 눈에는 한국 중국 일본 사람이 똑같아 보일까?
- Get link
- X
- Other Apps
책과 서점의 인문학: 흰색을 좋아하는 한국인들은 돌의 함량을 많게 만들어서 종이를 만들고 이것이 두께와 무게를 늘린다 / 대형서점들이 지하에 있는 이유 / 한국 초중고교생의 책가방이 무거운 이유
- Get link
- X
- Other Apps
Sovidence: 미국에서 아시아계의 학력이 높은 이유; hyper-selectivity 담론의 문제점과 필리핀계와의 비교
- Get link
- X
- Other Apps
유럽에 화장실이 없는 이유, 그리고 유료인 이유 - 청결을 죄악시했던 중세 기독교의 영향 -> 오래된 건물이 많은 탓에 화장실 넣으면 돈많이 드는 유럽의 건축법 탓
- Get link
- X
- Other Apps
무더운 아시아에서 더운 물을 마시는 이유. 찬물을 마시는 나라와 뜨거운 물을 마시는 나라; 중국 전통의학, 장제스-마오쩌둥의 영향, 아유르베다 의학
- Get link
- X
- Other Apps
청소의 사회학; 세계에서 청소를 가장 빨리, 자주 하는 나라는? - ‘청소도 빨리빨리, 자주.’
- Get link
- X
- Other Apps
대만의 쓰레기 버리는 문화 / 대만에서는 대부분의 가정집에서 변기에 화장지를 버리는 것이 금지
- Get link
- X
- Other Apps
입식과 좌식 문화의 차이는 온도, 습도의 영향이 크다 / 아랍에선 왜 석유재벌도 비닐 한 장 깔린 바닥에서 음식을 먹을까? = 하루 5번 무릂꿇고 기도하는 이슬람 종교의 영향 (순나)
- Get link
- X
- Other Apps
해외에서 오해받는 손동작: V (영국, 호주), 따봉 (이탈리아, 그리스), 오케이 (터키, 남미), 롸커 (스페인)
- Get link
- X
- Other Apps
잡종이 창조적이다 - hybridity잡종성의 중요성; folk/race가 중심이 아닌 아닌 individual (indivisible과 같은 어원을 공유함을 주목하라!)이 중심이 될 때 잡종이 나오고, 잡종이 나와야 창조성이 꽃피는 문화가 발전한다; 김정운 교수의 지적처럼, "창조는 편집이다. 편집이 가능하려면 편집의 재료가 다양해야한다. 미국이 여전히 강한 이유는 바로 이 편집의 재료가 아주 다양하기 때문이다. 잡종성을 포기하는 순간, 미국의 리더십은 끝난다"; 중국이 미국을 이길 수 없는 이유는 아무리 인구를 무기로 협박해도 편집의 재료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 지극히 폐쇄적인 딥시크에서 보듯 말이다; 미국과 비슷한 이민국가인 캐나다 뿐 아니라 전세계 모든 국가의 번영 역시 이러한 잡종성에 기반해있다; 일본이 또다른 예다 - 야나기 무네요시의 지적처럼, 일본은 아스카, 나라 시대에 한국 문화로부터 큰 은혜를 입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자 쇼토쿠 태자 명령으로 만들어진 호류지 역시 시텐노지와 함께 백제 목조 건축 양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일본이 수당사, 견당사를 통해 끊임없이 외국의 앞선 문물을 도입하고 자기식으로 재해석하려고 할 때, 또 1853년 페리 제독의 침략 이후 서구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자기식으로 재해석하려고 할 때, 일본의 문화는 융성하고 중국과 조선의 문화를 아득히 압도했다; 그러나 1940년대 미국과의 국력 차를 무시하고 무리하게 태평양전쟁을 일으키거나, 1980년대 버블시대에 Japan as Number One의 자만심에 도취해있을 때는 얼마 안 가 처참하게 몰락했다; 일본은 외래문화를 적극 수용하고 하이브리드가 될 때 국운이 융성하는 특성을 지닌 나라다; 이것은 또한 영국이나 일본처럼 고립된 섬나라의 운명이기도 하다; 하여, 이어령은 일본은 축소지향이 되지 않고 팽창적이 될 때 국운이 몰락한다고 경고했던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유태인들은 왜 뛰어난가? 왜 그들은 전세계 인구의 0.2%만 차지하지만, 노벨상 수상의 22% (노벨경제학상의 경우 40% 이상)를 차지하는가? 소스타인 베블런은 그 이유로 "그들이 소외된 주변인이었기 때문"이라 해석했다; 유태인, 보헤미안, 오스트리아인으로서의 3중의 정체성을 토로한 구스타프 말러처럼 말이다; 이를 창조적 회의론creative scepticism이라 한다; 불교와 검도에서 수파리(守破離)를 말하듯, 창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괴해야하고, 상식처럼 통용되는 모든 진리를 의심해야 하는 것이다 - 이러한 작업에는 인싸보다는 아싸, 즉 소외된 주변인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오랑캐 진이 중국을 통일했듯이, 변방인 조슈와 사쓰마가 명치유신을 일으켰듯이, 코르시카 출신인 나폴레옹이 프랑스 황제가 되어 전유럽을 통일했듯이, 객가 출신인 덩샤오핑이 권력을 쥐었듯, 중심은 주변부에서 창출되는 법이다; 이어령이 강조한 필록테테스의 비유처럼, 결국은 남들과는 다른 "상처받은 자"가 문명의 중심이 되어 세상을 바꾸고, 역사를 바꾸는 것이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도쿄대 연구: 일본인의 뿌리는 한반도에서 건너간 도래인들; 죠몬인과 짬뽕된 것이 오늘날 일본인의 직계조상
- Get link
- X
- Other Apps
미국에서 콘크리트 대신 목재로 집을 짓는 이유 (feat. 가격+재료 운반시간+소음)
- Get link
- X
- Other Apps
왜 미국 승무원들은 승객들에게 무례할까? 짬밥 차이와 넓은 영토, 진상 승객; 왜 미국의 가난한 빈민들은 최고급TV에 집착할까? 안에 있는 시간 많아서...
- Get link
- X
- Other Apps
유현준: 위치에너지와 시가총액의 상관관계; 조선시대 배산임수가 합리적인 이유
- Get link
- X
- Other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