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부자
밝은 호걸이 2: 프린스턴 대학의 무작위 숫자 발생기 실험 (PK 실험) / 양자역학 1999년 거대 분자의 파동성 실험 / 이론적으로 사람을 포함한 이 세계의 모든 물체는 파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질량이 큰 물체(색상, 사람, 자동차)에서는 양자역학 법칙에 포함된 플랑크 상수 값이 작아 그 효과가 극도로 미미하여 직접 관측이 불가능할 뿐입니다. / 미래는 이미 존재함: 우리는 더 이상 미래를 상상하거나 희망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것은 이미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 사실과 당위의 비약: 흄은 이제(사실)에서 어(당위)는 도출될 수 없다는 명제를 통해 사실과 당위 사이에 논리적 비약이 있음을 말했다. / 시간과 공간의 조각화 (플랑크 단위): 현대 물리학에 따르면, 우리가 연속적으로 흐른다고 느끼는 시간과 공간도 그 바닥을 깊이 들여다보면 플랑크 단위라는 아주 작은 단위로 조각 나 있다 . 이는 마치 눈으로 보는 화면이 수많은 픽셀로 이루어진 것과 같으며, 현실 세계 역시 해상도가 높은 모니터 화면 같은 구조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만약 시간이 연속적 흐름이 아니라 틱(tick)처럼 깜빡이며 흐른다면, 우리의 기억은 재생되는 장면이 아닌 순간을 기억하는 한 장의 사진에 불과할 수 있다 . / 심정지 상태에서 의식 경험을 한 임사 체험 사례들과 뇌파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의식 활동을 묘사한 환자들의 증언, 그리고 죽음 직전 뇌의 감마파 활동 증가 등이 의식이 뇌를 넘어선 정보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심장이 멈춘 후에도 의식이 지속될 수 있다는 과학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이 콘텐츠는, 죽음을 단순한 소멸이 아닌 정보의 형태 변화로 재해석하는 혁신적인 관점을 제시합니다. 임사 체험 사례와 양자 물리학의 '정보 보존' 원리를 연결하여, 우리의 의식이 뇌에 갇힌 것이 아니라 우주적 정보의 일부일 수 있다는 통찰을 제공하며, 죽음에 대한 근본적인 두려움을 해소하고 현재 삶을 더욱 선명하게 살아가도록 돕는 실용적 영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공허감의 근본적인 이유는 자신이 정의한 세상 속에서 살고 있지 않기 때문임 타인의 기준(성적, 연봉, 사회적 지위)에 의해 정의된 세상에 자신의 의미를 소비하기 때문에 오류에 빠지게 됨 / 현재의 시뮬레이션: 이미 우리는 지나간 과거를 회상하거나, 게임/예술 속 가상 세계에서 현실에서 채워지지 않는 감정을 느끼려 함으로써 세상을 시뮬레이션하고 있음 / 닉 스트롬의 시뮬레이션 논증과 물리학적 근거 시뮬레이션 논증의 세 가지 전제: 닉 스트롬의 논증은 다음 세 가지 전제로 구성됨 대부분의 문명이 멸망하지 않고 기술적으로 고도화된다 그 문명이 과거 조상의 삶을 재현하는 시뮬레이션을 만든다 그 시뮬레이션은 또 다른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며 무한히 반복된다 이 세 가지가 모두 가능하다면 우리가 진짜 현실에 속할 확률은 통계적으로 거의 0에 수렴 / 착하게 사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다는 과학적 근거는? 대장균 실험: 자원 공유 집단이 안정적 증식. 이기적 유전자: 유전자가 복제 확률 극대화를 위해 이타적 행동 프로그래밍. 죄수의 딜레마: 장기적으로 상호 협력이 가장 높은 보상. 던바의 수: 150명과의 신뢰 관계가 높은 생존 효율.
- Get link
- X
- Other Apps
대기업 회장의 마인드: 시위하는 자들은 위선자들 / 걔네들도 우리 회사 제품 이용 / 시위대들 앞에 푸드트럭 세워놓으면 잘 팔릴 것
- Get link
- X
- Other Apps
논란 많았던 일론 머스크 1450조원 보상안, 주총 통; 생각의 스케일도 큰 넘이니 보상의 스케일도 큰 것
- Get link
- X
- Other Apps
페북 본사에 벽화 그린 대가로 현금 6만 달러 대신 페북 주식을 받은 남자는 최종적으로 2억 달러를 벌게 되었다 - 돈이 있을 때나 없었을 때나 하고싶은건 다 하고 살았다 - 앞으로도 그렇게 하고싶은 것을 하며 살 것이다; 오히려 2억 달러 벌어 사새오할이 없어져서 고통스럽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마이런 골든: 소시민들은 자신의 한정된 시간을 돈으로 바꿔서 살기 때문에 돈이 비싸다고 느낀다 - 게다가 감가상각이 되는 소비재 (ex. 자동차)들을 구매한다 / Ryan Pineda 쇼
- Get link
- X
- Other Apps
벌써 3대째 캐나다 최대 부호인 톰슨 가의 David Thomson은 워라벨을 강조한다: "When you try to live a more balanced life, traditional businessmen think that you are not a real man. But who is not the real man? You are telling me? You have not taken a weekend with your wife, you have no spare time that you use constructively, you do not have any hobbies, you do not know how to spell Mozart. And here you are telling me that I am weak?"
- Get link
- X
- Other Apps
워런 버핏: 당신이 5만 달러나 10만 달러로 행복하지 않다면, 5천만 달러나 1억 달러가 있어도 행복하지 않다; 엄청난 부를 가진다고 더 행복해지진 않는다. 나는 누구보다 많은 부자들을 봐왔지만 슈퍼리치라고 해서 행복해지진 않았다.
- Get link
- X
- Other Apps
통역사 횡령으로 밝혀진 오타니의 진짜 광기: 몇 년동안 자신의 200억 통장계좌를 살펴보지도 않은 오타니 쇼헤이 - 돈을 품는 그릇이 다르다 - 서민들은 푼돈이나 신경쓰며 살아가는 판국에
- Get link
- X
- Other Apps
'여유는 곳간에서 나온다'고 차선 끼어들기 하는 차들은 뒤에서 쫓아가는 차들; 의대에서도 최상위권은 베풀고 여유있지만 중~하위권, 이를테면 70등권은 비교질에 여유가 없다; 모텔의 청결도도 일본인 > 한국인 > 중국인 순이고, 또 객실 단가가 비싼 모텔일수록 깨끗한 것도 의식수준, 여유수준의 차이; 드라마의 묘사와 다르게 부자가 오히려 더 잘 베풀고, 가난한 이들이 더 경쟁적이고 이기적이다; 여기서 진정으로 해봐야할 질문은, 풍요로운 마음이 풍요로운 현실 (부자)을 창조한 것인지 (신사고운동/끌어당김의 법칙), 아니면 풍요로운 현실 (부자)이 풍요로운 마음을 창조한 것인지이다; 달걀과 닭의 관계고 둘 다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고 할까나?; 작금의 경제적 상황과 상관없이 내면이 풍요와 여유로 가득하면 언제든지 부자로 살 수 있을 것
- Get link
- X
- Other Apps
다음달 월세를 못낼 것처럼 열심히 일한다는 4조 CEO, 진짜 부자 마인드🔥
- Get link
- X
- Other Apps
말레이시아의 3대 부호인 아난다 크리슈난의 아들이 6조원 상당의 재산 상속을 포기한 이유는 '출가' - 철강재벌 아들로 태어났지만 재산을 가족들에게 다 줘버리고 철학 외길 인생을 걸었던 비트켄슈타인이 생각나네 그려
- Get link
- X
- Other Apps
UBS의 Global Wealth Report 2025를 보면 놀랍게도 한국이 코로나 기간을 포함한 2020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전세계에서 평균자산이 가장 많이 증가한 나라였다; 조선인들이 투기해서 돈 좀 많이 번 건가? - 읽어볼만한 UBS의 2025 Wealth Report
- Get link
- X
- Other Apps
아로가 좀 연구해보니 세계에서 가장 정확하게 선진국을 측정할 수 있는 통계는 OECD의 '가구당 중위 가처분 소득' (median equivalised household disposable income)과 UBS의 '성인당 중위 재산 (wealth per adult)' 순위다 2 - 1인당 GDP나 소득보다도 정확하다; 가구당 중위 가처분 소득 기준으로 보면, 2021년 기준, 세계 최상위 부자 나라는 미국,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스위스, 캐나다 순 - 한국은 놀랍게도 영국보다 더 높은 15위 수준 - 또한 OECD의 평균소득, 가구당 중위 가처분소득, UBS의 자산 순위, IMF의 1인당 GDP 등에서 한국은 일본보다 더 부자나라; 2022-3년 기준, UBS의 1인당 중위 재산 순위로 보면, 아이슬란드, 룩셈부르크, 호주, 벨기에, 홍콩, 뉴질랜드가 top.6 - 의외로 싱가포르는 일본보다도 낮은 19위 - 또 의외로, 대만이 17위로 일본 (18위)이나 한국 (21위)보다도 높다; 최종 결론: UBS의 부자 국민 순위나 OECD의 가구당 가처분소득 순위의 중위 값을 종합했을 때, '세계 최상위 부자나라' top.10은 룩셈부르크, 아이슬란드, 벨기에, 호주, 스위스, 노르웨이, 캐나다, 홍콩, 오스트리아, 덴마크 순 - 이들 국가의 공통점은 중소규모 국가+자유민주주의 국가+사회주의 복지국가(북유럽, 호주, 캐나다)+금융 강국 (룩셈부르크, 아이슬란드, 스위스, 홍콩) or/and 자원 강국 (아이슬란드, 호주, 노르웨이, 캐나다) or/and 제조업 강국 (벨기에, 오스트리아, 덴마크, 스위스); 이들 중 G7으로 GDP 규모까지 세계 10위권에 드는 나라는 캐나다가 유일; 즉, GDP (9위), 중위(가처분)소득 (5위), 중위재산 (10위)에서 모두 Top.10 안에 드는 지구상에서 가장 밸런스가 좋은 나라는 캐나다 (미국은 중위재산이 15위라 GDP, 중위소득이 캐나다보다 높지만 제외)
- Get link
- X
- Other App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