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세계화
박종훈: 일본의 장기불황 저페니피케이션은 서방 경제학자들은 일본 정부의 잘못된 정책이나 일본인의 특성 때문으로 해석했으나, 2010년대 이후 일본처럼 되는 현상이 유럽으로 확산 - 이는 일본의 문제가 민족적 특성이 아니라, 청년 인구 감소로 인한 것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 종이돈은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부르나, 지난 40년 동안 인플레이션이 없었던 것은 중앙은행 시스템이나 경제학 발전 때문이 아니라, 오직 세계화 때문이었다. / 인플레이션의 재림 (1) 미국 내 공장 건설 강요와 리쇼어링 (2)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막대한 돈풀기 (3) 트럼프 정부의 감세, 관세 정책 (4) 트럼프 정부의 유가 인하 전략 with 빈살만 (5) 트럼프 정부의 인플레 통한 재정적자 줄이기 전략 (6) 이상 기후 (7) 탈세계화: 세계화가 끝나 다른 나라에 마음 놓고 투자하기 어려워졌다. (8) 원자재 무기화: 원자재 가격이 들썩이고 원자재가 무기화되는 세상으로 바뀌었다. (9) 생산가능인구 줄어들며 인건비 상승 /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돈을 빌린 사람들과 인플레이션에 대비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사람들 (실물자산와 대체자산에 투자한 사람들), 그리고 보험산업이 이득을 본다. /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유가 정책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순간이 올 수밖에 없으며, 인플레이션은 시점만 모를 뿐 재발할 확률이 매우 높다.
- Get link
- X
- Other Apps
그런 시대는 이제 끝났다! 트럼프 명령 안 따르면 '피바람'? 미국 본토 뒤흔든 계획 '줄줄' 시동 건 이유 / SBS / 트럼프 REPLAY
- Get link
- X
- Other Apps
트럼프와 UN과의 갈등; 세계화의 시대는 가고, 각자도생의 시대가 온다; 이런걸 보고 '딥스 음모론'에 세뇌된 얼간이들은 트럼프가 딥스 세력과 맞서기 위해 세계화를 해체하는거라고 개소리를 하겠지; 내가 볼 땐 록펠러 가문 각본; 1917년 볼셰비키 혁명과 그 이후의 냉전, 그리고 양차 세계대전에서 보듯, 세계화를 하든 안하든, 대립되는 두 세력을 동시에 조종하는 것이 바로 국제투기자본 - 겉으로 세계화를 추진하든, 반세계화를 추진하든, 본질은 변하지 않는거다
- Get link
- X
- Other Apps
세계정부로 가는 길1 : 이민과 혼혈을 통한 방법; Pan-Europeanism은 일본/유럽계 혼혈 Kalergi가 만든 사상으로 이것을 1930년대 일본이 모방; 독일의 막스 워버그/로스차일드가 당시 돈으로 6만 마르크 후원; 1960년대 프랑크푸르트 학파, 신좌파, 페미니즘 등 반문화에 영향 - 스위스 ORS는 로스차일드의 바클레이즈 은행 후원으로 아프리카, 중동 난민/이민자 유럽으로 받아들여왔다; 아시아, 아프리카계 혼혈 잔뜩 만들고 자신들은 유럽계 순수혈통 (?) 유지하겠다는 사고의 산물
- Get link
- X
- Other Apps
미국의 경쟁력을 망치는 무식한 도널드 트럼프 병신색휘가 내쫓은 글로벌 초특급 인재 유치에 백지수표 내민 나라들 (박종훈의 지식한방); 일본 도호쿠대는 백지수표까지 내걸어;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 유럽 CERN 등도 인재유입 중; 미국의 진정한 힘은 이민자에서 나왔다 (테슬라 일론 머스크는 남아공, MS 사티아 나델라는 인도, 구글 순다르 피차이는 인도, 엔비디아 젠슨황은 대만, AMD 리사 수는 대만, 줌의 에릭 위안은 중국; 포브스 AI50 기업 중 60%는 이민자, 창업자 - 이 가운데 70%는 학생비자로 미국 왔다가 미국 기업으로 창업; 트럼프의 미친 감세 정책 때문에 희생양이 된 미국 교육계, 산업계 - 미국 바이오 산업 이끄는 NIH 예산 2026년부터 46% 삭감, STEM인재 양성과 AI 첨단 산업 육성의 핵심기관인 NSF예산 2026년부터 57% 삭감; 트럼프는 어쩌면 중국의 숨은 스파이?; R&D예산 삭감했던 윤석열 병쉰색희 오버랩된다
- Get link
- X
- Other Apps
유럽연합을 주도한 건 독일, 프랑스가 아닌 미국; 미국화된 유럽의 교육; 인문학의 위기와 석사, 박사를 받아도 학문의 깊이를 전혀 찾아보기 어려운 기능적 인간형이 만들어지는 이유
- Get link
- X
- Other Apps
도쿄 다이토구에 소재한 이와사키 야타로, 미쓰비시 재벌의 주택; 영국적 미를 숭상하고 표준으로 놓으면서도, 일본 전통과 서양의 건축 양식을 융합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한양 아방궁'이라 불렸던 친일재벌 윤덕영의 덕수산장 역시 프랑스 어느 귀족의 집 설계도를 따라 지어졌다
- Get link
- X
- Other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