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이스라엘

아로가 보는 제1차~4차 중동전쟁 1

국제투기자본과 이라크, 그리고 사담 후세인 1: 이라크를 지배했던 하심 왕가와 누리 알 사이드 총리는 친영, 친서방 노선을 추구했다; 영국/프랑스의 패배 및 미국/소련/이집트의 승리로 끝난 제2차 중동전쟁 발발 2년 뒤인 1958년, 이라크 군부대 장교였던 압둘카림 카심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붕괴시키고 하심 가문의 파이살 2세를 살해한다 (영국 영토였던 이라크를 빼앗기 위해 미국 록펠러-CIA가 개입한 것일 개연성이 크다); 카심이 1959년 즈음부터 소련에 붙으려고 하자 (그 전까지 이라크는 미국과 소련 사이의 완충지대buffer state였음), 1963년 CIA는 쿠데타를 통해 그를 암살시킨다; 이후 BP/벡텔 등 록펠러계 기업들이 이라크 정권에서 암약하고, CIA는 1968년 다시 한번 쿠데타를 일으켜 사담 후세인 일당에게 권력을 몰아준다; 당대 미국 정가의 기류를 보면, 린드 B. 존슨과 리처드 닉슨 정권은 반공을 표방했던 바트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손자이자 CIA 고위 간부를 지낸 Archibald Roosevelt가 그 연락책이었다; 1959년에 일어난 압둘카림 암살 미수사건을 후세인의 업적으로 포장한 이라크의 1980년 프로파간다 영화 Al-ayyam al-tawila는 뜬금없게도 007 제임스 본드 시리즈를 제작한 Terence Young가 감독을 맡았다;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미국과 CIA는 후세인에게는 인공위성 기술을 제공하고, 이란에게는 이스라엘을 통해 무기를 사들여 자금을 제공하는 등 (이란-콘트라 사건 당시 이란 팔레비 왕조와 이스라엘은 사이가 좋았다) 양면작전을 펼쳤다; 사담의 이라크는 미국 외에도 서유럽, 이집트에서 화학 무기를 수입했다; 1980년의 이란 이라크 전쟁은 보통의 중동전쟁과 다르게 유가를 올린 게 아니라 하락시켰는데, 표면적인 설명은 이란과 이라크가 재정난에 석유를 헐값에 팔아 원유 가격이 안정되었다는 것이지만 (그 덕을 한국의 전두환 정권도 본다), 실은 이라크의 석유 수출 중단에도 OPEC이 여분의 석유를 보관했기에 가능했고, 무엇보다도 1979년 소련을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과의 전쟁에 끌어들인 CIA가 소련으로 하여금 전쟁을 지속시키기 위한 유인책으로서 저유가를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1980년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몰래 개입해서 질질 끌게 만들었던 (그럼으로써 레이건 당선에 기여했던), 데이비드 록펠러의 CIA 연락책, Miles Copeland는 1980년대 중반에도 바트당이 CIA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CIA는 소련 편에 붙었던 이집트의 나세르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고 그는 밝혔다); 1990년 7월에는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 일주일 전에 아랍어가 유창한 여성인 주쿠웨이트 미국대사가 후세인과 면담하는 자리에서 "미국은 아랍의 분쟁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미국 석유회사들의 이익을 위해) 중동의 유가가 높아지기를 바란다"고 말하면서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을 유도한다; 미군은 사실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이전부터 이라크의 침공을 대비한 훈련을 하는 중이었다; 9.11 11년 전인 1990년 9월 11일, 조지 H.W. 부시는 그 유명한 '신세계질서' 연설을 한다; 국제투기자본의 후세인 제거 및 이라크 전쟁의 목적 (1) 아라비아에 미군 주둔시키기 (2) 테러리즘을 '가상 적'으로 하는 세계질서의 창조 및 자신들의 정체 위장 (3) 미 군수산업체와 공화당의 이익 증가 (4) 중동 위기를 통한 유가 조정 (주로 고유가를 통한 석유회사 이익 창출)

IAEA 사무총장과 팔란티어, CIA, 이스라엘 커넥션; The AI That Triggered a War: How Palantir and the IAEA Fueled Israel's Strike on Iran; GMO 작물이 오히려 제초제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다

2026년 중동이 위험한 이유: 네타냐후를 갖고 논 트럼프 - 이스라엘은 결코 이란과의 전쟁을 포기할 수 없다? 트럼프의 이란 석유 중국 판매 허용은 사우디, UAE, 카타르의 대대적 반발을 불러일으킬까?

8년 동안 치뤄진 승자없는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이란을 전폭적으로 지원; 지금 팔레스타인에서 제일 강력한 조직은 하마스지만, 그 전까지는 PLO였고 이라크에서 지원해줬기 때문; 이스라엘, 이라크 핵무기 모두 프랑스가 제공; 미국은 이스라엘과 공조 자세를 취하며 이란의 무기를 팔아줬고, 그 대금으로 니카라과에서 콘트라 반군을 지원했다; CIA는 콘트라 반군이 취급하던 마약을 미국 내에 유통

트럼프의 이란 폭격, 세계경제 삼키나? (박종훈의 지식한방)

다른 나라들이 핵을 못갖게 만드는 미국의 추태와 위선; 프랑스 도움으로 핵개발 성공한 이스라엘; NPT 가입하지 않은 5개 국가: 이스라엘, 북한, 수단, 인도, 파키스탄 - 반면, 이란은 NPT 가입 국가; 미국은 이란의 핵시설을 전부 이스라엘에 공유

7월달에 조정이 오나? 1. 파월은 물가상승 우려로 금리인하 쉽게 안할 것 2. 미국정부 부채한도 늘어날 것 3. 일본 금리인상으로 엔케리 트레이딩 청산 4. 4월 9일의 관세부과 90일 유예 5. 트럼프 vs 머스크? 6. 이란 vs 이스라엘?

'이스라엘 비판'이 반유대주의?…유럽인권기구, 독일에 경고; PC주의에 잠식된 독일

시오니즘과 유대교는 무관하다 - 사실 많은 유대교 랍비들이 시오니즘 및 이스라엘 창설을 반대했다; 음모론자들이 무식하니 '이스라엘=시오니즘=유대교=전통파 하레딤'을 등치시키는 것; 이와 별개로 Boda채널에 등장한 패널들의 '유태인 세계지배 음모론' 분석은 허접하기 그지없다; 유태계 금융회사가 월가에 골드만삭스와 리먼브라더스 밖에 없어서 유태인 영향력이 없다는 논리면, 유태인들이 소유한 각종 언론사들 및 로스차일드-JP모건 네트워크는 어떻게 설명할래? 로스차일드-워버그-미연방준비은행 네트워크는? 로스차일드-쉬프-일본 제국/러시아 볼셰비키 정부 네트워크는?; 탈라스 전투를 기점으로 이슬람에 의해 실크로드에게 쫓겨난 중국

2025년 이란-이스라엘 분쟁: 이스라엘이 유화적인 핵협상 대표인 이란측 미-이란 핵협상 대표 알리 샴카니를 암살한 것은 핵협상 성공 가능성을 봉쇄하기 위한 조치?; 박현도: 이스라엘 vs 이란, 최악의 경우는 이겁니다; 이스라엘의 공격에 미국 무관하다더니 "훌륭하다"며 말바꾼 도널드 트럼프; 이스라엘 역사상 최초, 세계 최대 이란 가스전까지 공격하며 너죽고 나살자 극단적 전쟁 전략 구사 - 유가 급등 신호탄 - 미국은 셰일가스 수출개발 성공해 타격이 상대적으로 적어; 조용한 '저항의 축'…이란 궁지 몰리는데 각자도생 들어가나; 이란 "가혹한 응징" 외치더니…'200발→30발' 초라한 반격 + 제3국 통해 미국에 협상의지 타결;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정보력있는 나라들의 수상한 이스라엘 대사관 대피명령; G7에서 긴급 복귀한 트럼프, 초대형 벙커버스터 지원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