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금본위제
인드라 3: 베어링은 나폴레옹 전쟁에서 나폴레옹을 지원해서 최대한 전쟁을 오래 끌려고 했다 -면직물 주요 납품처가 군대였기에 나폴레옹 전쟁이 필요했고, 그 최대 공급처는 베어링 가문이었다; 베어링은 이 시기 프랑스로 밀수했지만, 로스차일드는 유통을 해보려다 큰 손실을 입었다; 1800년 나폴레옹의 프랑스 중앙은행 설립에 관여한건 호프 가문과 베어링 가문; 1802년 네이선 로스차일드가 프리메이슨이 된 것은 인맥관리용 - 코헨 가문과 결혼한 것도 도제 수업을 받기 위함; 1803년 루이지애나 매각 대금이 베어링 중재로 나폴레옹에게 들어왔다; 1807년 스코틀랜드 롯지를 부추겨 영국의 노예무역 금지를 통해 영국의 힘을 약화시켰다 (또는 자유주의자 나폴레옹의 '역린'을 건드려 식민지 팽창전쟁 대신 유럽대륙 전쟁에만 몰두하게 했다) - 프랑스 대동방 랏지가 스코틀랜드 의식을 채택했던 것은 베어링을 지지했다는 뜻; 스코틀랜드 의식이란 솔로몬 의식인데, 이스라엘 핀켈슈타인 주장에 따르면, 이에 대한 어떤 고고학적 증거가 없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 6% 이자율 붙여 미국 국채 독점판매했던 베어링; 1810년 러시아가 대륙봉쇄령 파기한 것은 베어링 가문-나폴레옹 간 은밀한 동맹에 파열음이 난 것; 1813년 유나이티드 그랜드 롯지 오브 잉글랜드 (UGLE) 통합은 모던파+고전파 통합시킨 베어링의 작품; 1815년 2월의 나폴레옹의 엘바섬 탈출도 베어링의 후원으로?; 나폴레옹 전쟁 끝나고, 대량 납품처가 사라진 영국에서 농업공황이 온다 - 이 때 베어링이 찾은 대안이 미국 남부 노예 노동을 통한 면직물 무역; 카자르 유태인은 19세기에 가서야 유럽에 진입했고 아슈케나짐이나 세파르딤과 서로 다른 유대교 전통으로 시나고그를 따로 운영했다; 1823년 영국 영란은행 회의록에 등장한 네이선 로스차일드; 1820년대 베어링 가문은 친프랑스 스페인어권 프리메이슨 독립운동 세력을 남미 (멕시코, 브라질,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페루)에서 지원했고 (프리메이슨 볼리바르가 대표적 예), 로스차일드는 브라질 페드루 왕자 등 그 반대세력을 지원; 1825년 공황은 로스차일드의 농간에 의해 베어링이 패배한 사건
- Get link
- X
- Other Apps
미국의 기축통화 유지의 딜레마인 트리핀의 딜레마, 그리고 그 (부분적) 해결책으로 1969년에 제시된 (금본위제에 좌우되지 않는) IMF의 SDR 시스템 -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방코르에서 착안한 개념
- Get link
- X
- Other Apps
베트남 전쟁을 둘러싼 '빅터 로스차일드+황제파'와 '데이비드 록펠러+귀족파' 사이의 동상이몽 2: 빅터가 이 전쟁을 통해 (1) 냉전체제의 고착화, (2) 미국 민주당 대통령 입지 약화 및 데이비드 록펠러의 민주당을 노동당으로 대체 (공화당은 이미 장악했었음), (3) 권위주의, 제국주의 (알제리 전쟁) 책임 물어 자신에게 반기를 든 프랑스 드골 정권 입지 약화, (4)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 지지 통해 중국의 국력 약화 및 냉전 체제 고착화, (5) 반문화를 유포시켜 마약 등으로 젊은이의 노동자계급 운동으로의 투신을 차단을 노렸다면, 데이비드 록펠러+귀족파는 베트남 전쟁을 통해 드골의 금태환 요구+미국의 금 고갈+달러 가치 폭락과 재정적자를 명분삼아 제한적 통화량 발행만을 허용하는 브레튼우즈 (금본위제) 체제를 폐지하고 (닉슨 쇼크), G5+삼극위원회+OPEC을 중심으로 한 페트로달러 신자유주의 체제를 만들려고 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국제투기자본과 윈스턴 처칠, 영국 금본위제: 할애비가 프리메이슨이자 아버지, 어머니대부터 로스차일드 가문과 친하게 지냈던 윈스턴 처칠은 재무부장관 시절이던 1925년, 영국을 제1차 세계대전 시기 폐지했던 금본위제로 다시 복귀시켰는데, 이는 그 자신이 인정하듯 타의에 의해 이루어졌다 (바로 윌슨과 레이건의 금융정책이 타의에 의해 이루어졌듯이); 바로 시티 오브 런던 금융가들 (그 대표가 로스차일드), (훗날 나치를 지원했던) 영란은행 총재 몬태규 노먼, 고전적 경제학자들, 국제 금융 세력 등이 금본위제를 ‘영국의 명예’로 간주하며 압박했던 것이다; 처칠은 영국 재무부의 정치적 책임자였지만, 실질적으로는 금융 엘리트의 입장을 수용하는 입장에 가까웠다; 그는 경제 전문가가 아니었고, 주변 조언에 의존한 결정을 내렸다고 뒤늦게 고백
- Get link
- X
- Other Apps
흔히들 데이비드 록펠러가 닉슨 정부를 통해 1970년대부터 금본위제를 폐지하고 달러 독주시대를 열었다고 생각하지만, 영국 귀족들과 로스차일드 가문도 이미 대공황 시기이던 1930년대에 프랭클린 루스벨트를 통해 금본위제를 폐지한 바 있다; 목적은 세 가지 (1) 금본위제 폐지 실험, (2) 1온스당 20달러를 35달러로 평가절하하여, 해외자본이 미국에 금을 예치하게 하고 (국내에서는 금을 몰수하여 금보유를 늘리고), (3) 늘어난 금 보유랑을 바탕으로 연준이 화폐를 더 찍어내어 대공황을 타개하기 위함 - 다만, 데이비드 록펠러의 달러 기축통화 시대가 석유에 기반했듯이, 루스벨트 시대도 완전한 금본위제 해체라기 보다는 금과 달러의 가격을 지속적으로 연동시키고, 인플레이션을 막는 형태로 화폐를 찍어내 유동성을 늘리는, quasi-금본위제 형태를 유지했다고 본다 - 다만 금태환을 정지했을 뿐이다
- Get link
- X
- Other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