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IMF
IMF 거품 붕괴 공개 경고 ...뉴욕증시 금값 비트코인 " 이상 과열"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이번 AI 붐은 닷컴버블과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들은 펫츠닷컴 같은 닷컴버블 시기의 신생기업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재무적으로 훨씬 더 건전하고 자본력이 막강하다”고 했다. 미국 중앙은행(Fed) 관계자들도 AI 버블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연방은행 총재는 최근 “AI 거품은 금융 안정성에 대한 위협이 아니다”며 “경제학적으로는 ‘좋은 거품’에 가깝다”고 말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국제투기자본과 리플 2: 리플은 이더리움을 대체할까? 리플 투자의 이유들?; 아로가 분석해보니 리플은 BNP파리바, 소사이테 제네랄, 스탠다드 차타드 등 로스차일드 지분이 꽤 들어가 있네?
- Get link
- X
- Other Apps
1-1 세비라 자주인라디오 이 빠가가 로스차일드, 록펠러, 프리메이슨을 하나로 묶어서 보고 섬세함이 없는 건, 1950~1970년대 이들 세력 간 치열한 권력암투의 역사를 몰라서 그렇다; (1) 미국 SEC 등 금융당국의 규제로 록펠러 가문이 오랫동안 유럽 진출을 못했고, 그 유일한 탈출구가 유로달러 시장이었기에, 195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로스차일드와 바클레이즈의 견제를 받으며 유로달러 시장에 진출 (데이비드 록펠러 자서전 Memoir에 나오듯, 로스차일드 은행은 록펠러에게 대놓고 협조 거부) - 1970년대가 되어 뉴욕의 록펠러 은행들이 주도권 장악 (2)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된 달러 부족 사태는, 로스차일드/CIA가 일으킨 베트남 전쟁으로 악화되었는데, 달러/금만으로 유동성 유지 및 확대에 한계가 있으니 1969년에 만들어진 것이 IMF SDR 체제 (3) 1971년의 닉슨 쇼크와 OPEC의 페트러달러 협상의 배후가 헨리 키신저고, 그 배후가 록펠러 가문인 반면, 로스차일드 가문이 1907년부터 대주주였던 로열더치셸은 페트로달러 체제로 인해 국제시장에서의 영향력이 급격히 약화 됨 (4) 데이비드 록펠러가 로스차일드/유럽 귀족들이 주축인 빌더버그 상임위원회에서 미국 대표로 일본을 넣자고 제안했다 거절당하자 1973년에 만든 게 삼극위원회 (5) 1973년 구상되어 1977년 시작된 국제 결제 메세징 시스템인 SWIFT 역시 은행간 세계화를 목표로 한, 데이비드 록펠러 작품으로 봐야 (6) 1970년대 중반까지 미국의 언론 및 FED에서 데이비드 록펠러를 집요하게 공격 - 이란 대사관 사태 (1979-1981) 때도 욕을 먹음 - 지미 카터가 미국 대통령이 되어서야 (1977-1981) 록펠러 천하가 시작되고, 1980년대 로널드 레이건 시대가 되어서는 미국 공화당도 완전히 록펠러화
- Get link
- X
- Other Apps
고생만 하다 망하는 이유 – 부는 고생의 양과 비례하지 않는다 - 성실은 기본이고, 비즈니스는 방향이 더 중요 / 왜 단순한 사람이 결국 부자가 되는가 / 생각만 하면 가난해진다 | 빠르게 행동하는 사람이 부자가 되는 이유 / 행동 없는 부는 없다 – “해봤어?” 한마디의 힘 / 사람 없이 성공한 건, 성공이 아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개판인 유럽 정치, 특히 프랑스; EU 중 부채가 5위 안에 드는 프랑스; 프랑스의 IMF 구제금융 엄포 내놓은 프랑스 재무장관
- Get link
- X
- Other Apps
종금사를 통해 해외에서 저리에 달러를 빌려 막대한 부채를 쌓게된 한국 자본 / IMF 총재 캉드쉬의 고금리 강요
- Get link
- X
- Other Apps
IMF 때 유딩, 초딩이었던 사람 여기 붙어라👍| 영화 '버블패밀리' 코멘터리
- Get link
- X
- Other Apps
문창훈: 리플에 1000원만 넣어도 10억 된다; 비트코인 60만개 보유한 MicroStrategy 대주주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 모건스탠리, 뱅가드; BIS, IMF 리플 네트워크 블록체인을 ISO20022 표준으로; IMF 지불수지에 비트코인 편입; 미국 은행들 대출심사에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활용; 단 문창훈이 간과하는 것은 리플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국제기관 및 은행들에서 많이 사용한다 해서 꼭 리플 가격이 오른다고 볼 수 없다는 것 (개연성은 대단히 높지만) - 리플 코인 그 자체가 이들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게 아니기 때문
- Get link
- X
- Other Apps
1988년부터 2000년까지 12년동안 일본은 IMF의 1인당 GDP기준 세계 2~3위의 부자국가였다; 같은 기간, 1인당 GDP 1, 2위를 엎치락 뒷치락했던 룩셈부르크와 스위스는 인구가 각각 70만, 900만명도 안되었으니, 나라라고 부르기에도 민망한 수준이었는데, 인구가 1억 2000만명이 넘었던 일본이 얼마나 잘 살았는지를 알 수 있다; 일본문화의 전성기로 롱베케이션이 방영했던 1996년에도 일본의 1인당 GDP는 세계 3위 (GDP는 2위), 마지막 전성기인 2000년에도 세계 2위였다; 그랬던 일본이 2003~2005년경부터 큰 폭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2025년 현재는 1인당 GDP가 38위로, 한국과 대만보다도 뒤가 되었다; '화무십일홍'이라고 일본은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력을 12년간 유지했던 것이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미국의 기축통화 유지의 딜레마인 트리핀의 딜레마, 그리고 그 (부분적) 해결책으로 1969년에 제시된 (금본위제에 좌우되지 않는) IMF의 SDR 시스템 -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방코르에서 착안한 개념
- Get link
- X
- Other Apps
김태유: 정부지원의 중요성 / 혼합경제 (계획경제+자유경쟁) 후발산업국일 때 성장률이 가장 가파르게 오른다
- Get link
- X
- Other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