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IMF

원래 한국 대기업들이 적은 지분으로 기업 전체를 소유하기 위해 순환출자를 했다기 보다 90년대까지 지주회사 자체가 불법이라 국내 대기업들이 어쩔 수 없이 순환출자로 규모를 형성했던 것이다; 그러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순환출자의 문제가 드러나고 이 사태를 기점으로 지주회사도 합법화되면서 대부분 순환출자를 버리고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였다. 하지만 이로 인해 기업들은 경영권 방어를 위해 유보금을 쌓고 자사주를 매입하는데 돈을 많이 써 투자를 하지 않게 됐다

이재명: 보통 상속세와 근로소득세는 반비례 관계라, 일괄적으로 다른 나라와 비교 무리; 한국은 상속세 높지만 근로소득세는 비교적 낮아; 최근 개정된 상속세 법안에 따르면 600억까지는 세금 면제; 근로소득세의 함정: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않고, 누진적 비율로 세금을 낸다;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돈을 푸는 것이 아니라 긴축경제를 한 윤석열 정부; 양극화가 저성장의 원인이며, 성장-분배 모두 중요하다고 역설한 OECD, IMF, 세계은행

일본이 버블 붕괴 뒤 회복이 수 십년 세월이 걸린 이유: 고베대지진, 은행의 부실기업 좀비기업 지원, 소비세 인상, 정치인들의 포퓰리즘 도구로 전락한 농촌진흥책, 동아시아 IMF 위기, 보수적 기업문화 - 올드 스쿨 ㅡ과 완벽주의, 3차 산업혁명 대응 실패, 저출산과 고령화

자영업자 폐업 역대 최다 100만명; IMF 한국경제성장률 내년 낮춰 잡아; 텅텅 빈 서울의 상권들

인도네시아: 어떻게 동남아 GDP의 40%가 한 나라에서 나오게 되었을까? 세계 1위의 니켈 생산국이자 세계 4위 수준의 내수시장, 낮은 평균연령, 하지만 낮은 교육수준과 부패인식지수로 베트남보다 약간 더 높은 1인당 GDP 수준 /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인프라 개혁 및 정치왕조화; 싱가포르 1인당 GDP는 법인 때문에 거품이 있는가? IMF 때 83%나 통화가치가 하락한 말레이시아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전략컨설팅 회사인 ADL이 관여했다; 이 회사는 1968년 도쿄와 런던 시장을 위한 나스닥 시스템을 설계한 회사; 다만, 세계은행이나 미국 정부가 언제나 박정희 정부에 호의적이고 도와주었던 것은 아니고 적대적이기도 했다; IMF 사태 당시에는 ADL, 맥킨지&컴퍼니, 커니 등이 큰 역할을 담당했다.

사실상 IMF 관리체제에 들어간 아르헨티나; 정규재식 극단적 자유주의의 끝은 경제붕괴일 뿐... 컨트롤타워로서 정부의 규제도 중요한 법이다

칼라일과 레이건 정부 공화당 인사들 (프랭크 갈루치, 제임스 베이커), 부시 부자 네오콘, SEC 의장 Arthur Levitt, 영국 총리 존 메이저, 필리핀 대통령 피델 라모스 커넥션; 칼라일과 조지 소로스 커넥션; 칼라일과 사우디 아라비아, 오사바 빈라덴, 911 커넥션; 1997년 칼라일은 JP모건 (록펠러계)과 콘소시엄을 형성해 한국의 한미은행을 시티은행 (록펠러계)에 매각해 막대한 차익을 보았다; IMF 때 한국에 상주하던 칼라일 직원은 왕과 같은 대접을 받았다; 뉴브리지-제일은행, 칼라일-JP모건-시티은행-한미은행, 론스타-외환은행, 템플턴-국민은행, BNP파리바-신한은행 커넥션; 김앤장과 세종의 재경부, 금융위, 금감원, 미국 투기자본 커넥션; 박태준, 김병주, 이헌재, 최태원의 칼라일 커넥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