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로스차일드
국제투기자본과 이라크, 그리고 사담 후세인 3: 이라크를 지배했던 하심 왕가와 누리 알 사이드 총리는 친영, 친서방 노선을 추구했다; 영국/프랑스의 패배 및 미국/소련/이집트의 승리로 끝난 제2차 중동전쟁 발발 2년 뒤인 1958년, 이라크 군부대 장교였던 압둘카림 카심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붕괴시키고 하심 가문의 파이살 2세를 살해한다 (영국 영토였던 이라크를 빼앗기 위해 미국 록펠러-CIA가 개입한 것일 개연성이 크다); 카심이 1959년 즈음부터 소련에 붙으려고 하자 (그 전까지 이라크는 미국과 소련 사이의 완충지대buffer state였음), 1963년 CIA는 쿠데타를 통해 그를 암살시킨다; 이후 BP/벡텔 등 록펠러계 기업들이 이라크 정권에서 암약하고, CIA는 1968년 다시 한번 쿠데타를 일으켜 사담 후세인 일당에게 권력을 몰아준다; 당대 미국 정가의 기류를 보면, 린드 B. 존슨과 리처드 닉슨 정권은 반공을 표방했던 바트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손자이자 CIA 고위 간부를 지낸 Archibald Roosevelt가 그 연락책이었다; 1959년에 일어난 압둘카림 암살 미수사건을 후세인의 업적으로 포장한 이라크의 1980년 프로파간다 영화 Al-ayyam al-tawila는 뜬금없게도 007 제임스 본드 시리즈를 제작한 Terence Young가 감독을 맡았다;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미국과 CIA는 후세인에게는 인공위성 기술을 제공하고, 이란에게는 이스라엘을 통해 무기를 사들여 자금을 제공하는 등 (이란-콘트라 사건 당시 이란 팔레비 왕조와 이스라엘은 사이가 좋았다) 양면작전을 펼쳤다; 사담의 이라크는 미국 외에도 서유럽, 이집트에서 화학 무기를 수입했다; 1980년의 이란 이라크 전쟁은 보통의 중동전쟁과 다르게 유가를 올린 게 아니라 하락시켰는데, 표면적인 설명은 이란과 이라크가 재정난에 석유를 헐값에 팔아 원유 가격이 안정되었다는 것이지만 (그 덕을 한국의 전두환 정권도 본다), 실은 이라크의 석유 수출 중단에도 OPEC이 여분의 석유를 보관했기에 가능했고, 무엇보다도 1979년 소련을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과의 전쟁에 끌어들인 CIA가 소련으로 하여금 전쟁을 지속시키기 위한 유인책으로서 저유가를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1980년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몰래 개입해서 질질 끌게 만들었던 (그럼으로써 레이건 당선에 기여했던), 데이비드 록펠러의 CIA 연락책, Miles Copeland는 1980년대 중반에도 바트당이 CIA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CIA는 소련 편에 붙었던 이집트의 나세르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고 그는 밝혔다); 1990년 7월에는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 일주일 전에 아랍어가 유창한 여성인 주쿠웨이트 미국대사가 후세인과 면담하는 자리에서 "미국은 아랍의 분쟁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미국 석유회사들의 이익을 위해) 중동의 유가가 높아지기를 바란다"고 말하면서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을 유도한다; 미군은 사실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이전부터 이라크의 침공을 대비한 훈련을 하는 중이었다; 9.11 11년 전인 1990년 9월 11일, 조지 H.W. 부시는 그 유명한 '신세계질서' 연설을 한다; 국제투기자본의 후세인 제거 및 이라크 전쟁의 목적 (1) 아라비아에 미군 주둔시키기 (2) 테러리즘을 '가상 적'으로 하는 세계질서의 창조 및 자신들의 정체 위장 (3) 미 군수산업체와 공화당의 이익 증가 (4) 중동 위기를 통한 유가 조정 (주로 고유가를 통한 석유회사 이익 창출)
- Get link
- X
- Other Apps
미국을 다섯명의 개인이 움직인다고 했던 FDR과 시티 오브 런던이 영국의 치외법권 지대임을 이야기했던 영국 총리들
- Get link
- X
- Other Apps
제1차 세계대전의 전모. (5) "독일군은 낙엽이 지기 전에 고향으로 돌아오라." (독일 황제 빌헬름 2세); 영국 앨프래드 밀너 & 에드워드 그레이, 프랑스, 독일 총리/외무부 장관, 러시아 외무부 장관의 전쟁 계획
- Get link
- X
- Other Apps
자주인라디오: 영국, 폭력과 독식 문화의 기원 / 영국의 우생학과 유네스코 / 다보스포럼의 정체와 헨리 키신저 / 1892년의 로스차일드-록펠러 만남 / "프랑스 민주공화국은 유럽 최초의 민족살육 국가였다." (Luc Ferry 프랑스 교육부장관) - 미영식 여권제도 vs 프랑스식 주민등록제도
- Get link
- X
- Other Apps
1950~70년대의 쿠데타 대부분은 CIA의 작품: 한국전쟁 때 텅스텐 밀수 통해 일본 자민당 창당, 1952년 이집트 쿠데타 왕정 폐지 및 나세르 정권 수립, 1953년 이란 모사데크 축출 및 팔레비 정권 수립, 1953년 쿠바 혁명 통해 바티스타 정권 축출 및 카스트로 정권 수립, 1955-1975년 베트남 전쟁, 1960년 4.19 혁명을 통한 이승만 축출, 장면 축출 및 박정희 정부 수립, 1967년 인도네시아 수카르노 축출 및 수하르토 정부 수립, 1973년 칠레 아옌데 축출 및 피노체트 정권 수립, 1975년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침공 때 수하르토 지원, 캄보디아 크메르 루즈 정권 하 킬링필드 (1975-1979)
- Get link
- X
- Other Apps
시오니즘과 유대교는 무관하다 - 사실 많은 유대교 랍비들이 시오니즘 및 이스라엘 창설을 반대했다; 음모론자들이 무식하니 '이스라엘=시오니즘=유대교=전통파 하레딤'을 등치시키는 것; 이와 별개로 Boda채널에 등장한 패널들의 '유태인 세계지배 음모론' 분석은 허접하기 그지없다; 유태계 금융회사가 월가에 골드만삭스와 리먼브라더스 밖에 없어서 유태인 영향력이 없다는 논리면, 유태인들이 소유한 각종 언론사들 및 로스차일드-JP모건 네트워크는 어떻게 설명할래? 로스차일드-워버그-미연방준비은행 네트워크는? 로스차일드-쉬프-일본 제국/러시아 볼셰비키 정부 네트워크는?; 탈라스 전투를 기점으로 이슬람에 의해 실크로드에게 쫓겨난 중국
- Get link
- X
- Other Apps
중국 정부의 과도한 보조금 지원으로 수요보다 공급이 훨씬 커서 위기에 직면한 중국 전기차 업체/그러다 2023년 중국정부가 전기차 업체 지원 중단 선언; 전세계가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 비관세 장벽 설치; 34% 할인 치킨게임하는 BYD - 과연 버틸 수 있을까?; 자동차 가격할인 경쟁과 산업 구조조정은 1929년 세계 대공황 악화의 한 원인; 포드 vs FDR: 1929년 44개였던 미국 자동차 업체는 대공황 끝난 1939년에는 사실상 3개; 로스차일드의 포드 사 조지기는 성공했나?
- Get link
- X
- Other Apps
남아공 총독의 후임 총독이 되고, 세실 로즈의 오른팔이었던, 로스차일드 회사 드비어스 관리자 알프래드 밀너 - 나단 로스차일드가 세실 로즈의 재산을 관리; 세실 로즈가 만든 원탁회의 회원이자 세실 로즈의 오른팔이자 아프리카 뢰디지아 총독 Albert Grey의 아들, 에드워드 그레이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의 외무부 장관으로 활동; 영국이 한번만이라도 프랑스와 러시아에게 동맹의 모습을 보여주었다면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주저했을 것 - 영국 외교고문 Granville Leveson-Gower, 3rd; 프랑스 땅 주권 보장한 독일 - 반대로, 프랑스는 독일의 식민지가 된다고 위협했던 영국; 로스차일드와 사돈 집안이었던 베트만-홀베크 금융 가문의 베트만 독일 총리 - 국제법상 독일의 벨기에 침공이 잘못되었다고 자인한 장본인 - 되려 전쟁을 막으려고 돌아다녔던 빌헬름 2세; 친영 프리메이슨이자 프랑스 언론사 매수를 통해 총리 & 대통령에 당선 된 (주 파리 영국대사로부터 자금 지원) Raymond Poincare
- Get link
- X
- Other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