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석유
국제투기자본과 1917년 볼셰비키 혁명: 로스차일드가는 경제적 이득도 챙긴다. 외국인 재산 몰수 때 특혜를 받은 것이다. 석유재벌 록펠러 가문도 러시아 공산당을 돕는다. 1919년 미국 의회 속기록에 정황 증거가 나온다. 공모 대상은 레닌과 함께 혁명을 이끈 트로츠키다. 트로츠키는 도피 당시 뉴저지주 록펠러가 저택에서 공짜로 머문다. 1917년 귀국 때는 특별여권과 여비 등을 지원받는다. 러시아 공산당을 도왔던 전력이 있는 석유재벌 록펠러 가문 뇌물 약발은 공산국가 건설 이후 곧바로 나타났다. 록펠러 소유의 스탠더드 오일이 독점 혜택을 누린다. 러시아 석유를 유럽에 팔아 막대한 수익을 낸다. 러시아를 부정하는 미국 하원이 1932년 비밀거래를 지적했으나 크게 문제 되지 않았다. 정관계 곳곳에 검은돈으로 형성한 인맥 덕분이다. 러시아 지원 의혹을 처음 제기한 사람은 루이스 맥파든 의원이다. 주미 러시아 무역기구 장부를 들춰보면 전모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미국 재무부와 중앙은행이 비리에 연루됐다는 발언도 한다. 폭로는 휘발성이 컸는데도 흐지부지 끝난다. 맥파든 의원이 석연찮은 사고로 죽은 탓이다.
- Get link
- X
- Other Apps
트럼프, 베네수엘라 대규모 군대 급파; 대놓고 석유 패권 야욕 (통한 물가안정 욕구) 드러낸 트럼프
- Get link
- X
- Other Apps
아로가 지구온난화 데이터에서 간과했던 것은 (단순히 태양 활동으로 인해 지구 온도가 상승했다고 보기에는) 20세기 중반 이후 기온상승의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가파르게 올랐다는 것이다; 즉 경제위기나 제4차 산업혁명의 진행속도와 마찬가지로, 상수 중 '가속도'를 충분히 고려치 않았다; 석탄사용을 많이 했던 산업혁명기에 기온이 떨어지긴 했지만, 20세기 중반 이후 석탄사용은 (전세계적으로) 더 늘었고 이산화탄소배출도 천연가스, 석유, 벌목 등으로 증가해왔으며, 그것이 기온 상승과 연관되어 있음은 과학적으로 매우 강하게 입증되어 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국제투기자본과 이라크, 그리고 사담 후세인 1: 이라크를 지배했던 하심 왕가와 누리 알 사이드 총리는 친영, 친서방 노선을 추구했다; 영국/프랑스의 패배 및 미국/소련/이집트의 승리로 끝난 제2차 중동전쟁 발발 2년 뒤인 1958년, 이라크 군부대 장교였던 압둘카림 카심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붕괴시키고 하심 가문의 파이살 2세를 살해한다 (영국 영토였던 이라크를 빼앗기 위해 미국 록펠러-CIA가 개입한 것일 개연성이 크다); 카심이 1959년 즈음부터 소련에 붙으려고 하자 (그 전까지 이라크는 미국과 소련 사이의 완충지대buffer state였음), 1963년 CIA는 쿠데타를 통해 그를 암살시킨다; 이후 BP/벡텔 등 록펠러계 기업들이 이라크 정권에서 암약하고, CIA는 1968년 다시 한번 쿠데타를 일으켜 사담 후세인 일당에게 권력을 몰아준다; 당대 미국 정가의 기류를 보면, 린드 B. 존슨과 리처드 닉슨 정권은 반공을 표방했던 바트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손자이자 CIA 고위 간부를 지낸 Archibald Roosevelt가 그 연락책이었다; 1959년에 일어난 압둘카림 암살 미수사건을 후세인의 업적으로 포장한 이라크의 1980년 프로파간다 영화 Al-ayyam al-tawila는 뜬금없게도 007 제임스 본드 시리즈를 제작한 Terence Young가 감독을 맡았다;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미국과 CIA는 후세인에게는 인공위성 기술을 제공하고, 이란에게는 이스라엘을 통해 무기를 사들여 자금을 제공하는 등 (이란-콘트라 사건 당시 이란 팔레비 왕조와 이스라엘은 사이가 좋았다) 양면작전을 펼쳤다; 사담의 이라크는 미국 외에도 서유럽, 이집트에서 화학 무기를 수입했다; 1980년의 이란 이라크 전쟁은 보통의 중동전쟁과 다르게 유가를 올린 게 아니라 하락시켰는데, 표면적인 설명은 이란과 이라크가 재정난에 석유를 헐값에 팔아 원유 가격이 안정되었다는 것이지만 (그 덕을 한국의 전두환 정권도 본다), 실은 이라크의 석유 수출 중단에도 OPEC이 여분의 석유를 보관했기에 가능했고, 무엇보다도 1979년 소련을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과의 전쟁에 끌어들인 CIA가 소련으로 하여금 전쟁을 지속시키기 위한 유인책으로서 저유가를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1980년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몰래 개입해서 질질 끌게 만들었던 (그럼으로써 레이건 당선에 기여했던), 데이비드 록펠러의 CIA 연락책, Miles Copeland는 1980년대 중반에도 바트당이 CIA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CIA는 소련 편에 붙었던 이집트의 나세르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고 그는 밝혔다); 1990년 7월에는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 일주일 전에 아랍어가 유창한 여성인 주쿠웨이트 미국대사가 후세인과 면담하는 자리에서 "미국은 아랍의 분쟁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미국 석유회사들의 이익을 위해) 중동의 유가가 높아지기를 바란다"고 말하면서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을 유도한다; 미군은 사실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이전부터 이라크의 침공을 대비한 훈련을 하는 중이었다; 9.11 11년 전인 1990년 9월 11일, 조지 H.W. 부시는 그 유명한 '신세계질서' 연설을 한다; 국제투기자본의 후세인 제거 및 이라크 전쟁의 목적 (1) 아라비아에 미군 주둔시키기 (2) 테러리즘을 '가상 적'으로 하는 세계질서의 창조 및 자신들의 정체 위장 (3) 미 군수산업체와 공화당의 이익 증가 (4) 중동 위기를 통한 유가 조정 (주로 고유가를 통한 석유회사 이익 창출)
- Get link
- X
- Other Apps
이란과 석유 이야기 1: "전후 1989년까지 미국은 64차례 타국의 정권교체 쿠데타를 실행했다." (Lindsey A. O'Rourke) / 1909년 중동에서 페르시아만 오일 발견된 이후 중동은 국제투기자본의 놀이터가 된다; 빅터 로스차일드 케임브리지대 친구인 킴 필비의 아버지 존 필비가 BP의 부름으로 이란 석유개발에 몰두;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와 윈스턴 처칠의 승인 하에 CFR/BP 이사였던 앨런 덜레스와 월가 로펌 Sullivan & Cromwell 주도로 CIA/MI6는 석유 국유화를 노리던 모하마드 모사데크를 축출시킨다; 1954년 모사데크 축출 및 원유 컨소시엄은 세계 최대 규모의 원유 강도 사건 - 라자 팔레비는 보상금으로 석유값을 BP에 싸게 공급
- Get link
- X
- Other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