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중앙은행

일본 중앙은행이 금리를 쉽게 못 올리는 주요한 이유는 GDP 대비 빚이 230%대에 육박하기 때문: 금리 인상 → 정부 이자 부담 급증 → 재정 악화 → 경제 충격 → 금리 인상 어렵다 / 물론 금리를 인상해도 이미 발행된 국채의 이자율은 변하지 않는다. 즉, 일본은행(BOJ)이 금리를 올린다고 해서 즉시 전체 부채 이자 부담이 폭등하는 건 아니다. 다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커지는 구조적 위험이 존재

일반적으로 금리를 내리면 통화약세(화폐 가치 하락)로 이어지지만, 예외도 있다: 금리 인하와 함께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질 경우, 오히려 자본 유입 → 통화강세가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왜 일본은 GDP대비 빚이 250%인데도 일본은 아무 문제가 없는가?=빚의 대부분이 내국인, 중앙은행BOJ로부터 발생 - BOJ는 돈을 더 찍어내서 이자를 충당하면 되니 큰 문제가 없다 / 게다가 찍어낸 돈이 은행 내부에만 저장되고 시장에 유출되지 않아 인플레 우려도 없다

한미 통화스와프가 이재명 아이디어인지 미국측 아이디어인지는 모르나, 그걸 하려면 한국은행이 돈을 더 찍어내야하고 결국 환율을 올리니 망국적인 아이디어; 러시아 우크라전 때 미국이 SWIFT통해 러시아 금융자산을 동결했듯이, 한국은행이 런던과 뉴욕에 맡긴 11조원 상당의 금도 그 보관여부가 불투명한 바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다 - 프랑스와 독일의 선례도 있다

박종훈 2: 일본의 장기불황 저페니피케이션은 서방 경제학자들은 일본 정부의 잘못된 정책이나 일본인의 특성 때문으로 해석했으나, 2010년대 이후 일본처럼 되는 현상이 유럽으로 확산 - 이는 일본의 문제가 민족적 특성이 아니라, 청년 인구 감소로 인한 것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 종이돈은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부르나, 지난 40년 동안 인플레이션이 없었던 것은 중앙은행 시스템이나 경제학 발전 때문이 아니라, 오직 세계화 때문이었다. / 인플레이션의 재림 (1) 미국 내 공장 건설 강요와 리쇼어링 (2)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막대한 돈풀기 (3) 트럼프 정부의 감세, 관세 정책 (4) 트럼프 정부의 유가 인하 전략 with 빈살만 (5) 트럼프 정부의 인플레 통한 재정적자 줄이기 전략 (6) 이상 기후 (7) 탈세계화: 세계화가 끝나 다른 나라에 마음 놓고 투자하기 어려워졌다. (8) 원자재 무기화: 원자재 가격이 들썩이고 원자재가 무기화되는 세상으로 바뀌었다. (9) 생산가능인구 줄어들며 인건비 상승 /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돈을 빌린 사람들과 인플레이션에 대비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사람들 (실물자산와 대체자산에 투자한 사람들), 그리고 보험산업이 이득을 본다. /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유가 정책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순간이 올 수밖에 없으며, 인플레이션은 시점만 모를 뿐 재발할 확률이 매우 높다. / 한국은 부동산 가격을 물가 지수에서 제외하여 통계가 심하게 왜곡되어 있다. / 능력 포트폴리오의 다양성: 현재 세상에서는 한 길만 파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능력의 포트폴리오도 다양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 경제 위기가 오면 중앙은행은 돈을 풀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신용도가 낮아 돈을 빌릴 수 없으므로, 지난 20~30년간 경제 위기 때마다 부유층과 빈곤층의 차이가 점점 / 작금의 세계 경제는 대공황 직전 상황과 유사: 주가와 집값이 반토막 났을 때 돈을 빌려 자산을 살 수 있는 사람은 부유층이었으며, 미국에서는 상위 1%가 하위 90%보다 더 많은 자산을 갖게 되어 대공황을 초래했던 것과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다. / 재테크보다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시테크'가 2030세대에게 더 필요하다. / 부동산에 돈이 쏠리면서 기업의 성공, 스타트업 등장, AI 업체 발전 등에 필요한 엔젤 투자 증가와 성공 사례(엑시트)가 부족해졌다. 이는 청년들에게 희망을 잃게 하고, 재테크에만 몰두하게 만들었다. 한국은 엔젤 투자나 스타트업 지원 측면에서 유럽보다도 못한 심각한 상황이다. / 기자 시절 중위값을 발표하려 노력했지만 계산이 매우 힘들었으며, 대략 1억에서 1억 1천만 원 사이가 정확할 것으로 추정된다. / 2008년부터 2012년 사이 금값이 6배 오르자 금광 회사들이 투자를 늘렸음에도, 2016년부터 금 생산량이 오히려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는 세계화 효과와 금광 기술 혁명이 끝났기 때문이며, 2018~2019년부터 금 생산량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 상태가 되어 돈을 찍어내는 만큼 금값이 올라갈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당시 미국 주가가 반토막 났을 때, 금값은 처음에 10~20% 떨어졌으나, 미국 정부와 연준이 돈을 풀자 금값이 먼저 6배나 올랐다. / 비트코인 가격은 미국 연준이 돈을 뿌린 만큼 올라가는 시스템이다. 나스닥과 같은 방향에 투자하고 싶다면 비트코인을 사는 것이 맞다. 비트코인이 먼저 움직이고 약 일주일 뒤 나스닥이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국제투기자본과 베르사유 조약, 독일의 하이퍼 인플레이션, 그리고 나치 독일의 발흥2: 베르사유 조약에 조인한 영국 측 필립 사순, 미국 측 대표 폴 워버그 - 로스차일드계; 미국과 독일에서 각각 중앙은행장이었던 워버그 형제는 빌헬름 쿠노를 독일총리로 임명; 인플레로 똥값이 된 독일 경제 장악한 국제투기자본; 국제투기자본의 히틀러와 나치당 지원은 제2차 대전 준비용; 독일 중앙은행장 얄마르 샤흐트와 영국 중앙은행장 몬태규 노먼의 재임기간이 거의 겹치는 것은 우연이 아닌 필연; 록펠러 스탠더드 오일은 히틀러 대선자금 지원; 그 외에도 지멘스, Bosch, 티센 등이 히틀러에게 자금 지원; BIS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독일의 서방세계 자금 통로 - CIA 아버지인 앨런 덜레스도 역할; 존 포스터 덜레스, Sullivan & Cromwell, 카네기 재단, 시티 오브 런던은 독일 중앙은행 총재 샤흐트에게 30억 달러 지원; 미국 자본 I.G. 파벤이 나치 독일을 키웠고, Zyklon-B를 만들었으며, 그것으로 유태인을 학살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미국 정부도 기업도 모두 이 학살에 동참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