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북유럽

What's the dark side of Sweden?

덴마크와 북유럽의 강요 된 휘게 문화 (얀테의 법칙) + 미묘한 이민자/다른 인종 차별

김태유의 저출산, 저성장 해결책: 세계 각국에서 저출산 문제 해결위해 육아보조에 많은 지출 했지만 효과 미미; 프랑스에서는 이민자인 알제리 여성들에게만 효과 있어; 미국, 스페인, 한국에 비해 저출산에 돈 덜 썼지만 출산율 높아; 저출산은 정책 자체보다는 문화가 끼치는 영향 커; 한국 저출산의 뿌리깊은 원인은 (지독한 경쟁사회에서 자녀를 낳으면 생존할 수 없을 것이라는) 죄책감; 한국 인구밀도 세계서 가장 높아; 수도권 집중도 세계에서 가장 높아, 독일이 수도권집중도가 4%, 영국이 17%, 프랑스가 23%, 일본이 31%라면, 한국은 50% (전체면적 중 12%의 땅을 차지하는 수도권); 인구과잉, 과당경쟁, 저성장이 한국 저출산의 근본 원인; 저출산은 지구의 다이어트이자 축복; 연착륙 해서 북유럽처럼 인구 줄어들면 오히려 복지국가 모델 실현하기 좋다; 저성장 문제 해결 위해서는 1인당 생산성 높이기 위해 (1) 4차 산업혁명과 로봇을 도입하고, (2) 이모작 사회를 실현해 25-54세는 fluid intelligence가 필요한 직업들을 하게 하고 (인센티브 제공해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함), 55-75세는 crystalized intelligence가 발달했으니, 그동안의 경험을 관리, 사무, 행정 쪽에 집중하게 하는 것이 이상적; 권율 장군이 행주대첩에서 1만명 병력으로 3만명 효과를 낸 비결은 여자를 병참으로 써서 생산성을 높였기 때문

[팩트체크] 한국은 지능 강국인가…IQ 순위의 진실; 무식한 중국인, 한국인들의 지능이 세계에서 가장 높을리는 없고, IQ는 무식한 대중과 일부 무식한 학자들의 생각과 다르게 지능의 극히 일부분 (학습능력과 관련된 지능)을 측정하는 테스트일 뿐이다; 한국인들의 전반적인 독해력, 문해력, 토론 능력, 이성적 사유 능력은 (아로 기준에서) 매우 낮은 수준; 이를 전제하고 말하면, 전반적인 지식 인프라의 척도인 노벨상 top.10 국가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스웨덴, 일본, 러시아, 캐나다, 오스트리아, 스위스 순이지만 (보다 정확한 1인당 노벨상 수상자 순위는 북유럽 국가들이 석권), 학습 능력을 평가하는 IQ/PISA/Intelligence Index Ranking에서는 한국, 중국, 홍콩, 일본, 대만, 싱가포르 같은 동북아 문화권이 최상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