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는 공급과잉이라 인플레 비교적 낮고, 관세로 경기침체 유도+정부 셧다운으로 고용 날라 연준으로 하여금 금리인하 유도하는 트럼프; SVB 사태 같은 조정은 훌륭한 완화 명분이 됩니다.
https://m.youtube.com/watch?v=2PIxl6dHLT8
우린 현재 거대한 변곡점의 도입부를 지나고 있습니다. 위기와 기회는 항상 함께 옵니다. 구조적인 환경을 봐야 합니다. 재무부 TGA 잔고는 가득 차 있습니다. 연준의 대차대조표는 가장 말라 있습니다. 주도권은 넘어갔습니다. 시중 유동성 M2는 천장을 긁고 있습니다. 주식은 최고점을 찍고 있습니다. 작은 충격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가장 중요한 유가는 2026년 공급과잉입니다. 물가는 유가와 연동됩니다. 연준의 금리인하는 예정되어 있습니다. 관세로 구산업을 누릅니다. 경기침체를 유도합니다. 정부 셧다운으로 공무원을 해고합니다. 고용이 날라가고 있습니다. 물가가 안정됐고, 고용이 날라갑니다. 연준이 금리인하와 완화를 해줘야 하는 환경이 완성됩니다. 필요한건 명분입니다. SVB 사태 같은 조정은 훌륭한 완화 명분이 됩니다. 의지와 환경을 봐야합니다. 의지는 트럼프와 시진핑의 말다툼입니다. 단기적인 변동성을 낳습니다. 환경은 저유가, 저고용, 연준 대차대조표, 재무부 TGA 잔고, 중국 경기침체, 러시아 국방비축소입니다. 필연적인 선택적 유동성 공급 사이클, AI MEGA CYCLE입니다. 휩쓸리면 안됩니다. 광기와 공포 사이에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분할매수, 조정매수, 헷지전략은 안전하고 보수적인 접근방법입니다. 전 이런 투자를 합니다. 크고 안전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투자를 합니다. 결론은 간단합니다. 4분기, 변곡점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거죠. ※이 영상은 10월 13일에 촬영되었습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