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 ETF 사용에 주의해야 하는 이유 - Decay의 복리효과 때문
좋아요, 레버리지 ETF의 decay (디케이) — 이건 정말 중요한 개념이고, 많은 투자자들이 오해하는 부분이기도 해요.
아주 천천히, 비유부터 시작해서 수식까지 설명해볼게요.
💡 간단한 정의부터
**디케이(decay)**는 레버리지 ETF에서 나타나는 **"변동성 손실"**이에요.
즉, 기초 자산이 제자리거나 약간만 오르더라도,
레버리지 ETF는 손실을 볼 수 있는 구조적인 이유입니다.
🔁 핵심 원인: 일일 수익률의 리셋 (Daily Rebalancing)
레버리지 ETF는 **기초 자산의 하루 수익률을 N배 (예: 2배)**로 추종합니다.
매일매일 그날 기준으로 다시 **포지션을 조정(rebalance)**합니다.
이 "매일 리셋"이 문제를 일으켜요.
기초 자산이 오르락내리락하면, ETF는 복리 효과로 수익률이 줄어들어요.
🎲 간단한 예제 (2일짜리)
가정:
-
레버리지 ETF = 2배
-
100만 원 투자
➤ 케이스: 하루 +10%, 하루 -10% (총 수익률 0%)
🔹 기초 자산 (이더리움 등)
-
첫날: +10% → 100만 × 1.10 = 110만 원
-
둘째 날: -10% → 110만 × 0.90 = 99만 원
-
총 수익률: -1% (기초 자산 거의 제자리)
🔸 2배 레버리지 ETF
-
첫날: +20% → 100만 × 1.20 = 120만 원
-
둘째 날: -20% → 120만 × 0.80 = 96만 원
-
총 수익률: -4%
✅ 기초 자산은 거의 변하지 않았는데,
❌ 2배 ETF는 4% 손실.
➜ 이게 **디케이(decay)**입니다.
📉 왜 이런 일이 생기나?
이건 복리 효과(compounding) 때문입니다.
두 개의 숫자를 곱하는 구조에서는,
하락 후 상승이 같은 비율이어도 손실이 남습니다.
예:
-
+10% 후 -10% = 1.1 × 0.9 = 0.99
-
총 -1% 손실
레버리지 ETF는 이걸 매일 반복하니까,
조금만 가격이 출렁여도 손실이 쌓입니다.
📈 반대로, 꾸준히 오르면?
예:
-
매일 +1% 상승 → 1.01^30 ≈ +35% 상승
-
2배 ETF → 1.02^30 ≈ +81% 상승
✅ 이럴 땐 레버리지가 제대로 효과 발휘합니다.
🔄 핵심 요약표
상황 | 기초 자산 | 2배 레버리지 ETF | 디케이 발생? |
---|---|---|---|
매일 꾸준히 오름 | ▲ | ▲▲ (더 많이) | ❌ 없음 |
한 번에 급등 | ▲ | ▲▲ | ❌ 없음 |
급등 후 급락 (출렁임) | ➖ | ▼ | ✅ 있음 |
출렁이며 결국 보합 | ➖ | ▼▼ (큰 손실) | ✅ 심각함 |
🔍 비유로 정리
레버리지 ETF는 매일 달리는 자전거입니다.
-
길이 평탄하면 → 더 빠르게 갑니다 (수익률 ↑)
-
길이 울퉁불퉁하면 → 에너지가 낭비되고 나중에 지쳐서 늦습니다 (수익률 ↓)
✅ 결론
-
레버리지 ETF는 단기 추세 있을 때만 효과적
-
변동성이 큰 구간에서 장기 보유하면 손해 보기 쉬움
-
디케이는 복리와 매일 리밸런싱이 만드는 구조적 손실
필요하다면 엑셀 시뮬레이터나 그래프도 만들어드릴 수 있어요.
직접 숫자 넣어보면 더 명확해집니다. 원하시나요?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