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대의 똥군기가 불러온 폴란드 대통령 전용기 추락 사건 (2010) 교신내용; 폴란드 대통령, 공군 총사령관의 죽음은 자업자득이나 그 외 인물들은 불쌍하게 되었다; 국가 수뇌부가 이 사고로 한 방에 쓸려나갔다. 특히 폴란드군은 이 사고로 육해공 3군의 사령관과 총참모장을 한 번에 잃고 말았다. 이런 사례는 세계사에서 유일하다

 https://m.dcinside.com/board/dcbest/38720


배경설명) 카틴 학살 70주년을 맞아 폴란드 대통령 및 주요 정부요인들이 대통령 전용기를 타고 스몰렌스크 공항으로 가던 도중이었음.


그날 착륙할 공항의 상황은 가시거리 500미터, 안개 탓에 착륙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


기장은 민스크 공항으로 회항을 권유하나


이전에 대통령 전용기를 회항시켰다 대통령에게 면박을 받은바 있었던 공군사령관은 조종실 내까지 들어와 간섭하기 시작하는데...





기장 : 사령관님. 안개가 꼈습니다. 지금 상황에 착륙은 불가합니다. 접근시도는 하겠지만 의미가 없을 겁니다.


결정을 해주십시오.



공군사령관 : 계속 시도해.


기장 : 계속 시도하기에는 연료가 부족합니다. 예비 연료는 30분 이내입니다.


공군사령관 : 이거 문제구만!

기장 : 대체 공항으로 갈 수도 있습니다.


고위공직자 : 대체 공항은 어디죠?

기장 : 비쳅스크나 민스크가 있습니다.


고위공직자 : 그럼 민스크로 가면 되겠네. 사령관님 돌아가죠.



[잠깐 나감]



부기장 : 얼마나 하강할까? 600?

기장 : 아뇨. 745


부기장 : 얼마?


기장 : 745. 공군기에게 다시 물어보죠. 구름이 아직 많은지.


부기장 : 다시 연락해 볼께.



[동행한 공군기에게 상황을 체크함]



폴란드101 항법사 : 아르투르. 아직 주파수에 있습니까?

폴란드공군 044 : 네. 있습니다.


부기장 : 아르투르에게 구름이 얼마나 짙은지 물어봐.


폴란드공군 044 : 한 400, 500정도 됩니다.


항법사 : 이 방향 계속 유지합니까?


기장 : 아니.


항법사 : 400에서 500이래요.


부기장 : 구름 두께도 물어봐.


폴란드공군 044 : 주파수에 있습니까?


폴란드101 부기장 : 구름 두께가 4~500미터나 된다는 거야?

폴란드공군 044 : 500미터 높이에서도 구름 위 였어요.


폴란드101 부기장 : 아. 500미터 위에도 구름이라. 좋아. 좋아. 고마워.


기장 : 러시아 쪽이 착륙했는지도 물어봐요.


폴란드101 부기장 : 러시아 비행기는 착륙했어?

폴란드공군 044 : 일류신기가 착륙 두 번 시도하다가 회항한 것 같습니다.


폴란드101 부기장 : 그럴만 하지. 고마워.


부기장 : 들었지?


기장 : 끝내주네요.


항법사 : 불행히도 공항에 계기 착륙 설비가 없어요. 259방향. ARK 준비 완료. 오토스로틀.


폴란드101 기장 : 코르사즈. 폴란드 101입니다. 1500 유지하고 있습니다.


코르사즈 관제 : 폴란드 101. 기압은 745. 500미터로 하강하세요.


폴란드101 기장 : 기압 745. 500으로 하강.




[공군 사령관이 다시 조종석으로 들어와 한 마디 하고 나간다.]



공군사령관 : 아직 어떻게 할지 대통령님의 결정이 없네.




부기장 : 이 부분이 최악인데, 여긴 구름, 여긴 안개...


항법사 : 이런 썅. 어떻게 할지 말을 안해줬어. 왜 승객들이 제 자리에 안 있는거야?


기장 : 자, 이제 방법이 없으니 망하러 가 볼까요.


항공기관사 : 방법이 없다...


부기장 : 고문할 준비 되셨겠다?

기장 : 바로 그겁니다.



스몰렌스크 관제 : 폴란드 101. 고 어라운드 한계 고도는 백 미터입니다.



[공군사령관 다시 입갤]



공군사령관 : 중요한 건 계속 시도해야 한단 거야.


기장 : 갑시다!!


부기장 : 이런 씨발...


항법사 : 썅. 제발 그만 좀...


기장 : 300.


공군 사령관 : 예를 들어!


항법사 : 그러니까 제발!



[공군 사령관이 항법사 자리에서 직접 기체 조작을 한다.]



항법사 : 스태빌라이저!!! 으으... (울먹인다.)



공군 사령관 : 움직이지 마!!! 빨리!



항법사 : 감사합니다.


항공기관사 : 누군가 실수하는거야.


부기장 : 고 어라운드(회항) 하라네요.


기장 : 안돼요. 책임지게 될 걸요.



공군 사령관 : 생각해!!!!!!!


부기장 : 380미터.


항법사 : 300입니다.


신원불상 음성 : 정확할 필요 없어.


공군 사령관 : 과감하게 해.


항법사 : 고도 200


항공기관사 : 안될거야. 멍청이.


부기장 : 서두르지 마. 고 어라운드 합시다.


항법사 : 고도 90, 80... 70, 60


신원불상 음성 : 좋아.



코르사즈 관제 : 폴란드 101. 비행계기 확인하세요.


항법사 : 30


코르사즈 관제 : 폴란드 101. 고 어라운드 하세요.





이후 추락.


이날 폴란드 대통령, 영부인은 물론 육해공 사령관, 참모총장 및 정게의 유력인사들이 일시에 사망했다.




https://youtu.be/rDt1vCZjX_M?t=173


(조종사들의 마지막 비명소리를 담은 영상, 2분 53초부터.)




https://namu.wiki/w/%ED%8F%B4%EB%9E%80%EB%93%9C%20%EA%B3%B5%EA%B5%B0%20Tu-154%20%EC%B6%94%EB%9D%BD%20%EC%82%AC%EA%B3%A0?from=%ED%8F%B4%EB%9E%80%EB%93%9C%20%EA%B3%B5%EA%B5%B0%20Tu-154%20%EC%B6%94%EB%9D%BD%EC%82%AC%EA%B3%A0

 

1. 개요2. 사고 기체3. 사고 전개4. 사고 원인
4.1. 러시아의 테러?
5. 사고 이후6. 유사 사고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0년, 러시아스몰렌스크에서 폴란드 공군 소속의 Tu-154 여객기가 기상 악화 속에서 무리한 착륙 시도를 하다가 추락한 사고.

당시 폴란드 대통령 레흐 카친스키와 그의 영부인, 전 폴란드 대통령이자 최후의 폴란드 망명정부 대통령인 리샤르트 카초로프스키, 각 육해공군의 사령관들과 위원장들 등 폴란드 정부 각료 대부분이 사망한 사고다.

2. 사고 기체[편집]

101
external/upload....
사고 1일 전 체코 프라하 바츨라프 하벨 공항에서 촬영된 101
등록번호
101
제조사
기종
기령
19.9년
생산지

최초 비행일
최초 인도 항공사
폴란드 공군 도입일

해당 사고 기체의 정보는 Planspotter에서 참조.

해당 비행기는 기령 19년의 오래된 기체로 2009년 12월 러시아 사마라 주 아비아코르 항공정비공장에서 점검을 받은 적이 있었다. 이때 비행기 엔진을 수리하고 전자항법장비와 실내 장식을 교체해 더 대통령 전용기다운 모습을 갖추었고 콜사인은 PLF 101이었다.

3. 사고 전개[편집]


한국어 CVR
CVR 기록의 마지막 부분에 승무원의 비명소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재생하기 전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비행기의 마지막 상황은 이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레흐 카친스키 당시 폴란드 대통령카틴 학살 70주기 추모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투폴레프Tu-154에 탑승해 폴란드 바르샤바 쇼팽 공항을 떠나 러시아스몰렌스크로 가는 중이었다. 비행기에는 대통령 외에도 영부인과 비서실장, 폴란드 중앙은행 총재, 폴란드군 총참모장 및 각 군의 총사령관, 외무차관, 야당 대선 후보 2명 등 고위 관계자 다수가 탑승했다.
Będziemy próbować do skutku.
계속 시도하게.

지상 충돌 14분 36초 전, 안제이 브와시크(폴란드 공군사령관)[2]

비행기가 기지에 착륙을 준비할 당시 주위엔 안개가 자욱해 시야가 500m밖에 안 되었다. 기지에는 계기착륙장치가 없어서 아침부터 폐쇄된 상태였고 러시아 공군 관계자는 지상관제탑에서 하강속도를 줄이고 모스크바민스크로 회항하도록 계속해서 요구했으나[3] 조종사는 무시하고 대통령이라는 높으신 분이 탑승한 만큼 제대로 책임져야 한다는 중압감과 책임감[4] 때문에 4번이나 착륙을 억지로 시도했다.[5]

더군다나 카친스키 대통령은 과거 조지아를 방문할 때도 공항의 기상상태가 나쁨에도 불구하고 회항하려던 조종사에게 착륙 명령을 내린 적이 있었다. 이때 조종사는 안전을 위해 다른 공항으로 회항했고 카친스키 대통령은 자동차로 조지아를 방문해야 했는데, 이후 인터뷰에서 은근히 조종사를 비판했으며 아예 조종사를 명령불복종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도록 했다.# 선례가 있는 만큼 조종사가 느낄 중압감이 더했을 것이다. 게다가 추락 10여 분 전부터 공군 사령관이 조종석에 들어와서 착륙을 시도하라고 조종사들을 갈구며 몰아붙이고 있었다. 잘 들어 보면 사고 몇 분 전부터 계속 압박에 시달리는 조종사들이 조종석에 오면 안 되는 사람들이 왜 자꾸 오는 거냐고 말하기도 하고 나중에는 울먹이는 소리나 욕설 등도 들린다. 심지어 추락 몇 분 전에는 조종사가 자신보다 훨씬 높은 사령관과 언쟁 수준의 대화를 하기도 했다.[6] 그래서 무조건적으로 조종사의 과실이라고는 하기 힘들다. 실제로 조종사들이 압력을 받는 꼴을 듣다 못한 러시아 공군 관제사가 폴란드 공군 사령관에게 욕설을 내뱉었다. 교신 내용

관제사가 조종사에게 "기상조건이 나빠서 비행기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마지막으로 말하자 조종사는 "접근 시도 후 기상조건이 안 되면 2번째 선회 비행을 하겠다."고 답신했다. 문제는 기상조건이 굉장히 나쁜 데다 활주로 주변의 나무가 무선교신을 방해했다는 것이다. 이미 관제사가 비행기가 정상 항로보다 왼쪽으로 125m나 벗어난 상태라고 통보했고 공항 활주로 표시등의 30%가 고장나 있는 등 여러모로 착륙하기엔 힘든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도 조종사는 지상 접근 경보장치의 경고음인 TERRAINPULL UP까지 무시해 가면서 착륙을 시도했다.[7]

무리한 착륙 시도를 반복한 지 약 15분이 지난 오전 10시 56분경 비행기는 왼쪽 날개가 나무와 부딪히면서 크게 파손된 직후 공항으로부터 약 1.5km 떨어진 숲속에 그대로 추락하였다. 충돌 시점에서 러시아 관제사가 복행을 지시했는데 해당 지시를 받았을 때는 이미 항공기가 파손되던 상황이었다. 러시아 관제사가 폴란드 대통령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조금만 더 빨리 복행을 지시했다면 이것을 명분 삼아서 조종사들이 복행을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을 수도 있었겠지만 결국 항공기는 추락하고 말았고 이후 구조대가 도착해 현장을 수색하였으나 탑승자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4. 사고 원인[편집]

4.1. 러시아의 테러?[편집]

2015년 10월 폴란드에서 법과 정의(PiS)가 총선으로 집권하고 나서 재조사를 진행한 후 2018년 1월 10일에 대변인을 통하여 "항공기 사고 조사 분야 국제 전문가가 모든 자료를 검토한 결과 사고 여객기의 왼쪽 날개가 내부 폭발로 파손됐다고 확인했다."고 발표하였다. 더불어 조사위원회는 "폭발 지점이 날개와 (동체) 중앙 버팀대 두 군데였다"고 지적하면서 "지상 자작나무와 한 충돌은 일차적 날개 파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기사

이에 대해 러시아는 "정치적인 결론"이라고 비판했는데 실제로 사건 이후 폴란드에서 "러시아에서 정치적인 의도를 가장해 고의로 일으킨 사건"이라는 음모론이 적잖이 나와서 러시아도 이 사건에 대해 조금 민감하기 때문이다. 다만 CVR에서 들을 수 있는 격발성 산탄총 음성으로 의심되는 음모론성 의혹들은 밝혀진 게 없기도 하고 이 사건으로 사망한 당시 폴란드 대통령 레흐 카친스키의 형 야로스와프 카친스키가 PiS의 당수 자리에 오른 등 정치적인 요소도 많이 끼어서 이 사건은 폴란드의 오랜 떡밥이 되었다.

만약 테러였다면 굳이 착륙 시도 중 터지게 한다는 불확실한 방법을 사용하기란 비효율적이기에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8] 마침 폭탄 테러 직전에 조종실에서 군 최고위급을 상대로 욕설이 섞인 말다툼이 벌어질 정도로 비행 상황이 비정상적이었다는 우연도 테러설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결국 비행기 블랙박스 공개로 폴란드측의 무리한 시도가 드러나면서 폴란드가 주장한 음모론은 힘을 잃었다.(블랙박스의 일부 대화 내용)

심지어 2015년에는 카친스키 전 대통령의 당인 PiS가 집권하자 러시아 테러설을 소재로 한 "스몰렌스크(Smoleńsk)"[9]라는 영화가 개봉해 극장에서 장기 상영에 돌입했으나 2016년에 복원된 블랙박스가 공개되자 소리 소문 없이 사라졌다. 결국 이 사건은 정치적 갈등이 치열한 상황에 예측 불가한 사고가 터졌을 때 음모론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확산되며 프로파간다에 이용되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벌어지자 우크라이나 지원과 반러 전선의 선봉에 나선 폴란드에서는 다시 한 번 이 사고가 러시아의 암살 테러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러시아와 이 사고의 관련성이 없으며 오히려 비행기 탑승자들 쪽의 자업자득이라는 결론이 도출된 지 오래임에도 불구하고 전쟁 상황을 이용하여 반러 감정을 더 자극하여 정치적으로 유리하게 이용하려는 속내가 뻔히 보인다.

해외에는 "비행기 한 대 떨구는데 몇 명의 폴란드인들이 필요할까?(how many Poles does it take to crash an airplane?)"라는 조소가 있는데 아마 이 사건에서 유래한 듯하다.

5. 사고 이후[편집]

폴란드101잔해 폴란드 101잔해2
기장과 부기장을 포함한 승무원 전원은 물론이고 카친스키 대통령과 영부인, 여야 정치인들, 육해공군 사령관과 총참모장을 비롯한 군 장성들 모두 사망했다. 한 마디로 대통령과 영부인, 그 수행원으로 동승한 폴란드 고위급 정부인사들이 한순간에 몰살당했다. 믿을 수 없는 비보에 큰 충격을 받은 폴란드 정부는 일주일의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했다. 이 사고로 사망한 주요 인물만 따져봐도 다음과 같다.
  • 레흐 카친스키(Lech Kaczyński): 폴란드 대통령
  • 마리아 카친스카(Maria Kaczyńska): 폴란드 대통령 영부인
  • 리샤르트 카초로프스키(Ryszard Kaczorowski): 전 대통령(폴란드 망명 정부의 마지막 대통령)
  • 크지시토프 푸트라(Krzysztof Jakub Putra): 폴란드 하원 부대변인
  • 예지 슈마이진스키(Jerzy Andrzej Szmajdziński): 폴란드 하원 부의장
  • 크리스티나 보헤네크(Krystyna Maria Bochenek): 폴란드 상원 부대변인
  • 프셰미스와프 고시에프스키(Przemysław Gosiewski): 전 폴란드 부총리
  • 마치에이 프와진스키(Maciej Płażyński): 전 폴란드 하원 의장
  • 야누시 쿠르티카(Janusz Marek Kurtyka): 폴란드 국립기념원[10] 원장
  • 스와보미르 스크시페크(Sławomir Stanisław Skrzypek): 폴란드국립은행 총재
  • 그라지나 겡시츠카(Grażyna Gęsicka): 폴란드 지역개발부 장관
  • 프란치셰크 공고르(Franciszek Gągor): 폴란드군 총참모장(육군 대장)
  • 타데우시 부크(Tadeusz Jan Buk): 폴란드 육군 사령관(육군 대장)
  • 안제이 카르베타(Andrzej Karweta): 폴란드 해군 사령관(해군 대장)
  • 안제이 브와시크(Andrzej Eugeniusz Błasik): 폴란드 공군 사령관(공군 대장)[11]
  • 스타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Stanisław Jerzy Komorowski): 폴란드 국방부 차관
  • 알렉산데르 슈치그워(Aleksander Marek Szczygło): 폴란드 국가보안부[12] 부장
  • 체스와프 치빈스키(Czesław Justyn Cywiński): 폴란드 국내군병사협회 회장
  • 피오트르 누로프스키(Piotr Jan Nurowski): 폴란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 전 테니스 국가대표 선수
  • 스테판 멜라크(Stefan Melak): 폴란드 카틴위원회 의장
  • 안나 발렌티노비치(Anna Walentynowicz): 전 노동운동가(공산주의 정권 시절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 공동창립자 중 한 명)

그야말로 국가 수뇌부가 이 사고로 한 방에 쓸려나갔다. 특히 폴란드군은 이 사고로 육해공 3군의 사령관과 총참모장을 한 번에 잃고 말았다. 이런 사례는 세계사에서 드물다.[13]

공교롭게도 카틴 숲에서 학살당한 폴란드인들도 폴란드의 고급 장교와 부사관, 지식인, 기술자 등 폴란드를 이끄는 엘리트층이었다. 방법과 시기, 규모가 다르지만 카틴의 비극이 70년 후에 그대로 재연되었다는 말은 틀린 말이 절대 아니다.

법과 정의(Prawo i Sprawiedliwość) 소속 카친스키 대통령이 사망하자 당시 최대 야당이자 하원 다수당이었던 시민 연단(Platforma Obywatelska) 소속의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Bronisław Komorowski) 하원의장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으며 조기 대선을 거쳐 후임 대통령으로 취임했고 2015년까지 국정을 운영했다.

카틴 학살의 역사적 배경도 그렇고 마침 사고가 일어난 시기가 미국동유럽 MD 배치를 둘러싸고 러시아-폴란드 관계가 상당히 불편해진 때라서 러시아폴란드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해 손을 썼다는 음모론이 등장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14]은 이례적으로 사고 수습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했으며 무려 자국 방송으로 카틴 학살을 다룬 폴란드 영화 《카틴》의 방영을 지시할 정도였다. 러시아가 이렇게 전세계가 주목할 방식으로 대놓고 사고를 칠 이유는 없기도 하고 해서 음모론이 크게 번지지는 않았다. 2016년에 온전히 복구된 블랙박스 기록이 공개되자 폴란드 정부가 지원한 러시아 음모론을 다룬 프로파간다식 영화가 소리소문 없이 내려가는 등 사실상 음모론이 완전히 사장되었다.

이 사건을 통해 카틴 학살이라는 역사를 처음 알게 된 일반인도 많으며 유로 2012에서 러시아 훌리건들과 폴란드 훌리건들이 대립하면서 집단으로 난투극을 벌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2016년 재조사를 명목으로 크라쿠프 바벨성 지하묘지에 안장된 대통령 부부와 사고 사망자들의 유해 발굴에 착수했다.

2017년 12월 17일에 방영된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이 사고를 다루었다.

2019년 7월 20일 방영된 차트를 달리는 남자[15] 141회 풀리지 않는 의혹 편에서 의문의 교통사고 랭킹 1위를 차지했다.

2025년 6월 1일 서프라이즈에서 한 번 더 다루었으며 위 차트를 달리는 남자처럼 러시아 책임론을 다시 주장했다.

전술한 대로 2018년 재조사 결과 폭발이었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발표 이후 러시아에 강경 항의를 하는 등 등 폴란드의 후속 조치가 거의 없었다. 재조사 결과가 다분히 정치적일 수 있다는 방증이다. 하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갑작스럽게 러시아 배후설이라는 음모론을 꺼냈다.# 러시아는 이를 깔끔하게 무시했다.

현재로선 가장 확실한 증거는 당시의 기상상황과 블랙박스다.

6. 유사 사고[편집]

모두 조종사가 무리하게 착륙을 시도하다가 사고를 당한 케이스다.
단, 저 정도로 국가 수뇌부가 이렇게 한꺼번에 몰살당한 사례는 1986년의 사고를 제외하면 전무후무하다.[16] 푸쉬킨 Tu-104 추락 사고는 소련 해군 수뇌부가 무리한 이륙을 강요해서 몰살당한 케이스다.

7. 둘러보기[편집]

발생일
종류
사건명
국외
2009년 12월 5일
156
icon fire

2009년 11월 7일
28
icon terror

2009년 8월 17일
75
icon explosion

2009년 7월 24일
21
icon car

2009년 3월 25일
25
icon car

2008년 9월 14일
88
icon plane

2007년 3월 20일
63
icon fire

2007년 3월 19일
110
icon explosion

2006년 12월 8일 ~ 9일
46
icon fire

2006년 8월 22일
170
icon plane

2006년 5월 3일
113
icon plane

2006년 2월 23일
68
icon structure

2006년 1월 9일
125
icon plane

2005년 7월 11일
25
icon fire

2005년 3월 16일
28
icon plane

2004년 9월 1일 ~ 3일
364
icon attack

2004년 8월 24일
90
icon terror

2004년 3월 16일
58
icon explosion

2004년 2월 14일
28
icon structure

2004년 2월 6일
41
icon terror

2003년 12월 5일
46
icon terror

2003년 11월 24일
44
icon fire

2003년 4월 10일
30
icon fire

2003년 4월 7일
22
icon fire

2003년 8월 20일
20
icon plane

2002년 10월 23일 ~ 26일
171
icon attack

2002년 5월 9일
44
icon terror

2001년 11월 19일
27
icon plane

2001년 10월 4일
78
icon attack
black circle
2001년 7월 4일
145
icon plane

2000년 8월 12일
118
icon ship

발생일
사건명
발생일
사건명
2010년 4월 10일
96

발생일
사건명
1987년 5월 9일
183
1985년 2월 8일
24
1981년 6월 4일
25
1980년 10월 31일
55
1980년 8월 19일
67
1980년 3월 14일
87

발생일
사건명
1955년 5월 11일
80 ~ 120
1954년 3월 21일
58
1952년 2월 9일
150+

발생일
사건명
1939년 8월 28일
22
발생일
사건명
1926년 6월 29일
41
1925년 4월 30일
29
발생일
사건명
[1] 모스크바에서 서쪽으로 350km 정도 떨어져 있다.[2] 기장(아르카디우시 프로타시우크)이 안개 때문에 착륙하지 못한다고 보고하자 이렇게 대답했다. 상단 영상에서는 4분 59초경에 나온다.[3] 사고 당시 근처에서 착륙을 하던 일류신기도 관제사의 말을 듣고 회항하였다.[4] 이를 'VIP 증후군'이라고도 부른다. 높으신 분들이 탄 비행기라서 국가의 재정직, 행정직 전문가들이 최고의 시간적, 비용적 효율을 계산해서 비행 루트를 정했는데 자신의 판단으로 착륙지를 바꿨다가 발생할 문제의 책임을 자신이 고스란히 뒤집어쓰게 된다는 압박감 때문에 상황이 최악이 되더라도 정해진 계획에 맞춰서 움직이려고 하는 성향을 말한다. 전 세계 모든 대통령 전용기의 조종사들이 이와 같은 중압감을 받는다. 심지어 미국에어 포스 원마저 이와 비슷한 지침이 있다. NGC에서 방영된 '에어포스원, 대통령을 지켜라!'에서 미 공군 관계자들은 ''에어포스 원은 어떤 상황에서도 VIP를 목적지로 정해진 시간에 이동시킨다."며 자랑스럽게 이야기했지만 이 사고로 인해 실제로는 굉장히 위험천만한 지침임이 밝혀졌다.[5] 민간항공기는 ICAO 규정을 따르면 3번째까지 착륙에 실패할 경우 무조건 대체공항으로 회항해야 한다.[6] 다만 이건 복행해야 한다는 주제로 언쟁한 것은 아니고 공군 사령관이 하도 닦달하자 조종사가 그만 좀 하라고 계속 얘기한 것이다.[7] 착륙 상황이라도 활주로가 아닌 지형지물로의 비정상적인 착륙 상황에서는 'TERRAIN' 경보가 울린다. 즉, 이 상황 자체가 매우 무리한 착륙 시도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심지어 조종사는 2차례의 경고 이후에도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나오는 비상경고 PULL UP까지 모조리 무시하며 착륙을 시도하였다.[8] 사고에서 들리는 소리는 자동차 사고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가져와서 격발성 산탄소리라고 우겨도 비슷한 결과를 낼 수 있다.[9] 폴란드 정부가 지원했다는 설이 유력한 폴란드 측 프로파간다 영화다.[10] Instytut Pamięci Narodowej. 폴란드에서 과거사 진상규명 및 연구를 담당하는 정부기관.[11] 사고의 진상과 사고기 블랙박스 녹취록 내용에 따르면 기상과 공항 여건 등 여러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착륙을 강행하도록 명령한 이 사고의 원인 제공자나 다름없다. 물론 그 무리한 지시의 대가로 비행기가 추락하여 자신도 목숨을 잃긴 했지만. 이 사고의 원인 제공자가 공군 사령관이라는 게 아이러니라면 아이러니하다.[12] Biuro Bezpieczeństwa Narodowego.[13] 비슷한 사례로 1983년에 있었던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이 있는데 이 사고급은 아니지만 당시에도 대한민국 수뇌부가 상당수 몰살당했다. 차이점이 있다면 당시 대통령은 무사했고 군 수뇌부까지 죽진 않았다는 것과, 외부 세력의 테러냐 아니냐의 여부 정도.[14]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블라디미르 푸틴은 총리였다.[15] 유튜브 영상으로 추락 생존자들에게 총격 사살이 있었다는 러시아 책임론에 무게를 실었다. 블랙박스를 듣고도 이랬으니 이쯤 되면 제작진이 시청률에 환장한 거나 다름없다.[16] 더불어 해당 사고는 폴란드 공군 사령관이 계속해서 부기장과 기장을 압박해서 일어난 사고이기도 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