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염식이 좋다"는 억지주장을 하기 위해 이 무식한 의사놈은 그래프를 정반대로 해석하네 - 너무 무식해서 깜짝 놀랐다 - 의사 맞아?; 왜 소금 섭취가 맞은 아시아에서, 특히 일본에서 기대수명이 높은 것인지 명확한 연구는 없다

 https://www.youtube.com/watch?v=-y9ybQKSpT8
@basketmangood
1 day ago
13:04 그래프 잘못해석하셨네용..
10
@한의검 
19 hours ago
와.. 처음 소금 섭취 분포도부터 틀려서 동영상 안 봤는데.. 그래프도... 개판해석이네요 ㅎㅎ
저 사람은.. 영어도 모르나.. 쉬운 영어인데..
아... 아무래도.. 누가 대본을 다 써놓고.. 저 사람은 배우로써 그냥 읽은 듯... 싶네요..
2
@singrae
13 hours ago
진짜네요 ㅋㅋㅋㅋㅋ 사망률 건강수명 반대로 말하네 ㅋㅋㅋㅋㅋ 개웃기네

 
@cokeplay
12 hours ago
12:57 이사람 뭐하는 사람이죠........ 그래프는 소금 섭취량이 높을수록 건강하다고 하는데 왜 반대로 해석하는건지...

@StarryX2
3 hours ago (edited)
13:05 이게 뭔가요? 편집실수인지 그래프를 정반대로 설명하고 있는데. 삭제나 수정하세요.

 

 
@昻明人
23 hours ago
이 사람 논문분석 잘 못했네요.
일부러 그런건가? 아니면 무능?
13:00 에 나오는 오른쪽 그래프를 AI에 돌려보세요.
내용이 이렇습니다.
///
건강 기대 수명을 최대화하고 사망률을 낮추는 최적의 구간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 그래프에서는 대략 3-4g/day 부근으로 보입니다.



2 replies

@昻明人
23 hours ago (edited)
참고로, 나트륨 4g이면 소금 10g 입니다.
하루치로는 어마어마 많은 양입니다.

 


@disre8011
7 hours ago
13:06 뭐냐 ㅋㅋ HEALTHY LIFE EXPECTANCY AT BIRTH가 사망률이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솔직히 긴가민가하면서 보고 있었는데 이걸로 확신하고 간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s432
1 day ago
동감입니다.
병원에서 혈중염도 조사하지도 않고 무조건 소금물 수액부터 놓지요. 
1000ml 면 나트륨 9g인데 소금으로 치면 15-20g,,, 말 다르고 행동 다른 의사들


@나이많은학생
22 hours ago (edited)
아마존 열대우림의 야노마미족(Yanomami)은 자연에서 얻은 음식을 먹고,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소금 섭취량(일일 1g 미만)을 보입니다.

반면, 현대인들은 몸에 해롭다고 알려진 고열량이면서 정제되어 영양소가 부족한 음식을 먹으며, 한국인을 기준으로 나트륨 섭취량도 일일 5g 이상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2023년 기준 평균 수명은 약 83.6세로, 세계 최상위권입니다.

이에 비해, 세계에서 가장 소금 섭취량이 낮을 뿐 아니라 자연에서 직접 음식을 구해야 하므로 활동량이 많고, 가공되지 않은 영양소가 풍부한 식단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야노마미족의 평균 수명은 보통 30~40세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면에서 본다면, 가공식을 먹는 것과 소금을 많이 섭취하는 것, 또는 거의 가공되지 않은 자연식을 먹는 것과 저염식 같은 식단이 수명의 길이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michaeljung4398
1 day ago
한국, 일본에서 소금 섭취량이 높아도 발병률이 낮은 것에 대한 설명이 부족함.  

의학이나 과학 지식들이 자주 틀린 경우들이 있음.  Pure study 같은 연구 결과가 계속해서 나올 가능성이 있음.  계란이 나뿌다, 좋다 엎치락 뒤치락 했고, 커피도 좋다, 나쁘다 연구 결과가 분분함.  저염식을 하는 사람들이 건강을 해쳤다는 일화는 자주 나옵니다.  

저염식을 하는 사람들은 다른 식습관을 절제하는 사람이라서 과학이 검증한 것만 따라 해서 총체적으로 부족한 식사를 하기 때문일수도 있음.  한국 사회에서 모든 환경을 고려하면 4g의 소금 섭취량은 적정량이 될수 있음.  발병률이 치솟으면 그때 조절해도 됨.  

과학은 일부분 만을 증명했지 모든 것에 대한 완전한 답이 될수 없다.


천일염은 일반 정제 소금보다 나트륨 함량이 낮고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 미네랄 함량이 풍부합니다. 특히, 천일염에는 일반 소금에 비해 칼륨 함량이 높아서 나트륨 배출을 돕고 혈압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천일염의 나트륨 및 칼륨 함량:
나트륨:
천일염은 일반 정제 소금에 비해 나트륨 함량이 6~8% 낮습니다. 또한, 천일염은 염화나트륨 함량이 80% 정도이고, 나머지 20%는 미네랄과 수분으로 구성됩니다. 
칼륨:
천일염은 칼륨 함량이 높아 나트륨 배출을 돕고 혈압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임동근-j1l
18 hours ago
사람체질마다 틀리는듯  저도 만성위염에 좀 딱딱한변으로 고생했는데  적정량의 소금물과 염분섭취로 많이 좋아졌어요 
그동안 저염식을 했거든요



@윤창수-t2b
1 day ago
10년이상 혈압약 복용했었고
신부전증으로 저염식을 시작했어요
물론 술담배도 끊었고요
혈압이 90으로 떨어져서 현재는 의사와 상의해서
혈압약 중단 상태고요 약 중단하고 혈압 120 전후입니다
1년정도 저염식 실행중이고 특별한 다른 몸의 변화는
아침에 일어나면 몸의 붓기가 없어졌고요
일반식을 못먹는다는거죠
짜서 못먹어요
그 맛있던 김치를 짜서 못먹어요

4


Reply


3 replies

@user-ss432
1 day ago
우선은 혈압이 떨어지지만 장기적으로는 저염식이 위험합니다.
0.9% 링겔 수액 맞듯 보충한다는 개념으로 하세요.

@윤창수-t2b
21 hours ago
 @user-ss432  신부전증이 뭔지는 아시는지?
기본이 저염식사에요

@user-ss432
21 hours ago
 @윤창수-t2b  
신부전에서 완치된 사람입니다. 저염식은 칼륨을 배설을 어렵게 해서 악화될 수 있기에 조금씩 염을 증가시키면서 적응하게 해야 합니다. 요즘은 전반적으로 짜게 먹는 편인데 최근 종합검사에서 의사가 칭찬했고요 허리 두드려도 아프지 않습니다. 한방과 양방의 이론이 다르다는 걸 알면 좋습니다. 신장이 약할 때는 도리어 염을 증가시키고 알칼리성을 추가합니다. 혹시 이론이 다르시다면 제 글은 참고만 하셔도 됩니다.





@진실과정의-i7j
15 hours ago
그럼 한가지 물어봅시다
우리가.병원에가면제일 먼저하는게 링거수액을 맞는데
수액의 성분을 보면 정제염이 0.9% 들어있더라구요
그럼1L수액에 9g의소금이 들어
있다는건데 그거 위험한거 아닌가요
그리고 내아내는 싱겁게.먹는데
고혈압이라고 혈압약 먹으라고해서 약먹고.있어요
나는 일부러 짜게 먹는데 혈압정상 이건뭘얘기하는거죠




@멋진빈
20 hours ago
내용이 모순적 아닌가? 소금 섭취가 많은 아시아 국가의 고혈압 유병율이 아주 낮게 나오는데 소금  섭취를 줄이면 고협압 유병률이 떨어질거라면 고혈압과 소금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어야 하는거 아닌가?

2 replies

@임이리-w6f
14 hours ago
채소랑 해조류를 많이 먹는게 영행을 줄 수 있다잖아요. 본문을 잘 들으시길요

@swwoo1955
12 hours ago (edited)
 @임이리-w6f  그런 식이면 소금을 먹지말라고 하지 말고 해조류를 먹으라고 해야지... 소금많이 먹어도 이상이 없는데 무조건 근거없는 변명만 하고



@FMLBpark-ec6lw
1 day ago
실험자체도 믿옴이 부족하다.
인간은 동물이 아니다.
가두어서 제한된 식단을 유지한다는것이 자의적이고 추상적이다.
그리고 소금을 줄이니 2-4정도 혈압이 떨어진다.
160혈압이 157혌압이면 유의미한 변화가 없다는것이지,
또 어린이나 노인이나 같은 혈압 기준을 통일한다는것은 미친짓이다.
의사와제약사 돈벌이수단이다.




@soogang
22 hours ago
억지로 끼워 맞춘다고 고생한다 ㅋ 신장이상있는 사람아니면 좀 짜게 먹어야 한다. 고혈압은 오히려 설탕이 더 문제다.


@정용표-t6s
1 day ago
고염식도 저염식도 아닌 입맛에 맞는 간을 해서 먹는게 최고다. 여름철엔 조금 더 섭취하고 겨울철엔 덜 섭취하면 된다.









@user-ss432
23 hours ago
병원에서 혈중염도 조사하지도 않고 무조건 소금물 수액부터 놓지요. 
1000ml 면 나트륨 9g인데 소금으로 치면 15-20g





@novakim9391
23 hours ago
논문을 자기 입맛대로 ㅎㅎ
나도 의사이지만...
정제된 탄수화물, 정제된 식용유 끊고 예전 부터 먹던 음식들 먹고  소금 간감히 먹으면 됩니다.



@희망-b8l
1 day ago
앞으로 입원 환자에게 링거 맞히지 마시길.0.9%생리 식염수를 굵은 바늘을 서둘러 찔러 투입하는 게 급선무면서.아이러니합니다
100년 전까지 소금 섭취 부족해서
인류의 수명이 짧았던 모양이네요




@서민성-j7w
1 day ago
짜게 먹어도 장수한다는 말이 아니라... 우리나라가 탄수화물을 너무 많이 먹어서 당뇨와 고혈압이 생긴다는 말을 끝까지 안하네.... 고탄수에 소금물 마시거나 짜게 먹으면 안좋다는 말을 왜 안하노




@미오박
22 hours ago
☆ 소금 🧂 하루 최소 10g 섭취 필수 : 체내 염도 0.9%
1. 세포내 수분 2/3, 세포외 수분 1/3
  1) 나트륨 세포내로 수분 흡수
  2) 칼륨 세포밖으로 수분 배출
2. 나트륨 부족시
  1) 세포내 수분이 부족하여, 피부가 거칠어지고 쭈글쭈글해진다.
  2) 미토콘드리아가 ATP를 만들어도 나트륨이 부족하면 전자 이동에 장애가 발생하여 면역력이 저하된다.
  3) 위산 품질 저하로 소화력 저하
  4) 탈수로 인해 스트레스 호르몬과 혈압조절 호르몬 대폭 상승
      : 장기간 높은 수치의 아드레날린, 레닌, 알도스테론에  노출되면은 혈관 수축이 지속되어 동맥경화가 발생되고, 심근경색, 뇌경색, 뇌출혈 등 심혈관질환 발병률이 높아진다.
3. 소금의 효능
  1) 혈압조절, 수분조절, 소화력 상승, 면역력 강화, 살균, 소염, 제독, 부패 방지
  2) 만성염증 질병들의 치료와 암치료에 소금은 큰 도움을 준다.





@thesilcoin
22 hours ago
국물안먹고 김치 젓갈 안먹는다면 맞는말. 한국음식은 국물음식 많고 고염분 저장음식 많아서 나트륨섭취가 제일 높은 수준임 음식간 자체는 높은편 아님





@풀잎처럼-t2k
20 hours ago
당신 말대로 소금 섭취를 맘껏 하지 못했던 5~60년전 우리나라 평균 수명이 얼마였는지를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Paradox_solution
21 hours ago
인간 그리고 모든 육지의 동물들은 짠 바다에서 왔습니다😅

22


Reply


@user-yp7rv4dm3k
10 hours ago
소금물 마시고부터 불규칙하게 뛰던 심장이 이제는 불규칙함이 느껴지지 않아요.



@hwkang5371
14 hours ago
빵만 먹고 지내다 저혈압와서 쓰러질뻔 여러병원다니다 못고치고 소화불량 걸려서 거식증까지 갔다가 아침 저녘 구운소금물 몇달 타먹고 소화완전 잘되고 장운동 잘되고.. 낫지 않던 목통증 싹 없어짐. 거의 반년을 고통스럽게 온갖통증으로ㅜ안다닌 병원이 없구 온갖 소염제 진통제 순환제.. 다 필요없었다 비타민c 소금물로 치료했다.






@김순미-x8n
22 hours ago
오랫동안 몸이 너무 많이 부어서 저염식을 했어도 증상이 전혀 나아지지 않았는데 단식원 다니면서 소금의 중요성을 알아 수시로 소금 먹었더니 그 증상이 많이 나았습니다. 결국 소금 부족은 체액량을 줄이고 그러니 순환하는 체얙량이 줄어 붓고, 노폐물 배출도 못하는 악순환이 된거지요. 영양학을 수십년 가르쳐 온 사람으로서 소금을 수시로 먹는다는 것이 받아들이기 어려웠지만 몸이 좋아지는걸 어찌합니까? 한방에서는 이런 상황을 진액부족이라고 하나봅니다.
요즘은 건강기능식품 다 끊고 그 비용으로 좋은 소금, 좋은 기름, 좋은 식초 사는데 집중합니다.





@yoonturkey
1 day ago
의사들 말 장난에 속지 맙시다. 소금물 섭취는 적당히 먹고 있는 60대 입니다. 혈압 아주 정상입니다.  모든 음식 맛있게 소식하고  운동하면 무병장수 합니다. 과식이 적입니다.



@swwoo1955
21 hours ago (edited)
 @thesilcoin  문제는 그걸 다 먹는 문화가 아니라는거.. 우리나라는 국 반찬을 상위에 늘어놓고 밥 한숟갈에 반찬 국 조금씩 먹는 문화인데 국반찬들의 소금양을 전부 재니 문제지. 누가 밥한공기 먹으면서 상위에 김치 젓갈 혼자 다 처먹나? 나트륨 섭취가 높은편 절대 아님


@이크수크
1 day ago
건강하면 나트륨이 몸에서 재흡수 되면서 소금을 먹을 필요가 없음.
근데 소금차를 부어서 몸이 좋아진 사람들은 식이, 영양소가 망가져서 나트륨 재흡수를 못하고 있으니 급하게 소금물로 땜빵식으로 몸을 고치는 것에 불과.
건강하면 소금 많이 먹을 필요가 없고
젊은이들 과식을 하면 나트륨 재흡수가 과하게 켜져서 몸이 붓고 염증이 터짐.
그래서 저염식이 일반적으로 추천됨!
아는 만큼 보이는 법이고, 소금 쟁이들에게 세뇌되묜 답이 없음.




@bsyaqwew
1 day ago
병원 입원하면 가장먼저 하는것이 소금물(식염수) 정맥주사 하는데요?




 

천일염은 일반 정제 소금보다 나트륨 함량이 낮고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 미네랄 함량이 풍부합니다. 특히, 천일염에는 일반 소금에 비해 칼륨 함량이 높아서 나트륨 배출을 돕고 혈압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천일염의 나트륨 및 칼륨 함량:
  • 나트륨:
    천일염은 일반 정제 소금에 비해 나트륨 함량이 6~8% 낮습니다. 또한, 천일염은 염화나트륨 함량이 80% 정도이고, 나머지 20%는 미네랄과 수분으로 구성됩니다. 
  • 칼륨:
    천일염은 칼륨 함량이 높아 나트륨 배출을 돕고 혈압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본은 OECD 국가들 중 고혈압 관리 지표에서 비교적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낮고 고혈압 치료율 및 조절률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10만명당 고혈압 환자 입원율은 OECD 평균보다 낮지만, 폐동맥 고혈압 환자의 생존율은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에 속합니다. 
    고혈압 관리 지표:
    • 심혈관 질환 사망률:
      일본은 OECD 국가 중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가장 낮은 편에 속합니다. 
    • 고혈압 치료율 및 조절률:
      대한고혈압학회에 따르면, 고혈압 치료율 및 조절률도 OECD 국가들 중 상위권에 위치합니다. 
    • 고혈압 환자 입원율:
      인구 10만명당 고혈압 환자 입원율은 OECD 평균보다 낮습니다. 
    • 폐동맥 고혈압 환자 생존율:
      의료계에 따르면, 폐동맥 고혈압 환자의 3년 평균 생존율은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입니다. 
    OECD 국가 간 비교:
    • 일본은 OECD 국가 중 기대 수명이 높은 편이며, 영아 사망률과 암 사망률도 비교적 낮은 수준입니다. 
    • 반면, 뇌혈관 질환 사망률은 일부 국가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참고:
    • OECD Health at a Glance 2021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고혈압 외에도 천식으로 인한 입원율이 OECD 평균보다 높고,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인한 입원율은 OECD 평균보다 낮습니다. 
    • OECD 국가 간 보건의료 지표 비교는 OECD 보건통계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