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최측근 또 숙청, 중국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나? (박종훈의 지식한방) / "측근 숙청된 시진핑, 위태"...미국 전직 고위급 사이서 도는 흉흉한 소문 [지금이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dYKU-8AtpS4

 

 

 

"측근 숙청된 시진핑, 위태"...미국 전직 고위급 사이서 도는 흉흉한 소문 [지금이뉴스]

타이완 언론이 미국 전직 고위 관료들의 주장을 인용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실각설'을 집중 조명했습니다.

주장은 중국 인민해방군 내 고위 간부 숙청과 권력 재편 움직임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타이완 자유시보 등은 이 내용을 30일 집중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1기 행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마이클 플린 전 육군 중장은 지난 27일 소셜미디어 X에 "중국 공산당 내부에서 권력 교체가 진행 중"이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플린 전 보좌관은 최근 반중 극우 성향을 보이고 있는 인물입니다.

자유시보는 시 주석이 인민해방군 내부에서 장여우샤 중앙군사위 부주석 세력을 제거하려다 실패했다고 전했습니다.

측근인 허웨이둥과 먀오화를 각각 중앙군사위 부주석과 위원으로 임명했으나, 이들 모두 숙청되거나 해임됐으며, 현재 시 주석은 군권을 상실하고 명목상 지위만 유지하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또한 플린 전 보좌관이 공개한 사진을 토대로 딩쉐샹 국무원 부총리, 천지닝 상하이 당서기, 장여우샤 부주석이 향후 권력투쟁의 핵심 인물로 지목됐습니다.

시 주석이 스스로 물러나는 조건으로 딩쉐샹을 공산당 총서기, 천지닝을 총리, 장여우샤를 군사위 주석에 앉히는 '집단지도체제 복원'에 합의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그러나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과 원자바오 전 총리 등 일부 원로 인사들은 이 구도에 반대하며 왕양 전 정협 주석과 후춘화 부주석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왕양은 과거 온건개혁 성향의 총리 후보로 거론됐고, 후춘화는 한때 후계자로 지목됐지만 현재는 정치적 변방에 머물고 있습니다.

한편 버뮤다 주재 미국 대사와 베이징대외경제무역대학 교수를 지낸 그레고리 슬레이튼도 28일 뉴욕포스트 기고에서 "시 주석의 사임이 임박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후진타오 등 공산당 원로들이 권력을 장악했으며, 시 주석이 건강 악화를 이유로 올 8월 전체회의에서 은퇴하거나 명예직만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습니다.

슬레이튼은 ▲푸핑에 있는 시중쉰기념관이 '관중혁명기념관'으로 개명된 점 ▲시 주석이 5월 말부터 약 2주간 공식 석상에서 사라진 점 ▲인민일보가 해당 기간 시 주석 관련 기사를 전혀 싣지 않은 점 등을 '이상 징후'로 꼽았습니다.

그는 차기 지도자 후보로 왕양 전 정협 주석이 부상하고 있으며, 장여우샤와 후진타오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5/2025052909410412770c8c1c064d_1

시진핑, 후진타오 '작별 인사' 되살린다...中 정치 지형 변화 신호탄

15차 5개년 계획 앞두고 '과학적·민주적 정책결정' 강조...전임자 발언 13년 만에 재등장
2035년 미국 추월 목표 달성 불투명...당내 권력구조 변화 가능성 시사
2012년 11월 제18차 전국대표대회 폐막식에서 후진타오와 시진핑. 그날 후진타오를 내쫓았던 시진핑은 이제 전임자의 말을 되풀이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12년 11월 제18차 전국대표대회 폐막식에서 후진타오와 시진핑. 그날 후진타오를 내쫓았던 시진핑은 이제 전임자의 말을 되풀이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전임자 후진타오(胡錦濤)가 13년 전 퇴임 당시 강조했던 '과학적·민주적·법 기반 정책 결정'을 되살리면서 중국 정치 지형의 변화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고 29일(현지 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아시아가 보도했다.

시진핑 주석은 최근 2026년부터 2030년까지의 15차 5개년 계획 편성을 앞두고 정부와 당 간부들에게 "과학적이고 민주적인 방식으로, 법에 따라 중기 청사진을 작성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후진타오가 2012년 11월 제1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당 주석으로서 마지막 보고에서 강조했던 표현과 정확히 일치한다.

후진타오는 당시 "우리는 과학적이고 민주적이며 법에 기반한 정책 결정을 계속 수행해야 한다"면서 "당내 민주적·법적 감독을 강화하고 여론을 통한 감독을 강화해 인민이 권력 행사를 감독하고 권력이 투명하게 행사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진핑 주석은 후진타오의 마지막 발언과 달리 권력을 자신에게 집중시키기 위해 당의 하향식 의사결정을 강화해왔다. 2022년 10월 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전례 없는 세 번째 임기를 확보했고, 후진타오가 폐막식에서 호송되어 나가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시진핑의 이번 지시가 주목받는 이유는 2026~2030년 경제 계획이 그에게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2027년 당 제21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네 번째 임기 확보 여부가 관건이며, 2030년까지 5년간의 경제 성과는 중요한 정치적 의미를 지닐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시진핑이 2017년 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발표한 '2035년까지 사회주의 현대화 실현' 목표 달성이 불투명해지면서 정치적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 목표는 경제적·군사적으로 미국을 추월하겠다는 중국의 야망을 담고 있었지만, 부동산 거품 붕괴와 장기 코로나 봉쇄 이후 경제 성장이 크게 둔화됐다.

중국이 야심 찬 2035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시진핑의 평판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시진핑의 야망 선언에 놀라 중국에 대한 맹렬한 경제 공세를 시작했고, 조 바이든 행정부도 이를 강화했다.

후진타오가 주창한 '과학적' 정책 결정은 허황된 성과를 보여주려는 지방 관료들에 의해 부풀려지지 않고 정확한 수치에 기초해 합리적으로 정책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민주적' 정책 결정은 후진타오 시대 내내 유지된 공산당의 집단 지도력 전통에 기초한 정책 수립을 뜻한다.

시진핑은 반부패 캠페인을 통해 정적(政敵)들을 제거하며 권력을 집중시켜 왔다. 하지만 거의 15년이 지난 지금 당내 권력체계에 변화가 생겼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흥미롭게도 후춘화(胡春華)를 포함한 공산주의청년단 출신 인사들의 활동이 최근 공식 언론에서 더 많이 보도되고 있다. 후춘화는 '리틀 후'로 불리며 후진타오의 측근이었지만 제2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정치국 진입에 실패했다.

군 내부에서는 여전히 숙청이 진행되고 있으며, 표적이 된 장군급 장교들 중 다수는 이전에 시진핑의 지지를 받아 승진한 인물들이다.

시진핑이 후진타오의 마지막 말을 되풀이한 것은 정치적 스트롱맨의 성격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당내 정치 역학의 변화로 인해 선택의 여지가 없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2025년이 중국 정치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