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수니파 국가로서 친한 사우디와 파키스탄 - 이번에는 상호방위조약 체결하며 동맹국 되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8150
사우디아라비아와 파키스탄이 가까운 이유 중 하나는 두 나라 모두 수니파가 주류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관계는 종파적 공감대 외에도 지정학적·경제적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습니다.
🇸🇦🤝🇵🇰 사우디-파키스탄 관계: 왜 친한가?
✅ 1. 같은 수니파 국가
-
사우디: 수니파 중에서도 특히 **와하비즘(초보수주의)**의 본산
-
파키스탄: 수니파가 대다수 → 특히 데오반디, 브렐비 등의 수니파 학파가 존재
-
공통점: 시아파 이란에 대한 견제라는 종파적 공감대
💰 2. 경제·원조 관계
-
사우디는 파키스탄 경제의 ‘큰손’
-
석유 원조, 무이자 대출, 외환 지원 등 수십 년간 큰 규모의 원조 제공
-
파키스탄이 IMF 위기 등 겪을 때마다 사우디가 지원
-
-
파키스탄 노동자 수백만 명이 걸프 지역에서 일하면서 송금 → 파키스탄 경제에 중요한 자금원
🛡️ 3. 군사적 협력
-
사우디는 파키스탄 군에 신뢰를 보임
-
일부 파키스탄 군인들은 사우디에서 군사 자문, 훈련 제공
-
알려지지 않은 핵우산 협력 가능성도 과거에 언급된 바 있음
(일부 분석가들은 "만약 이란이 핵무기를 개발하면, 사우디는 파키스탄을 통해 균형을 맞출 수 있다"고 봄)
-
🌍 4. 이란 견제라는 지정학적 이해
-
사우디: 이란의 시아파 영향력 확대를 견제
-
파키스탄: 시아파 소수 존재하지만, 이란과의 갈등보다는 사우디와의 경제·외교 관계를 더 중시
⚠️ 단, 최근에는 살짝 거리감도 있음
-
사우디가 인도와도 경제 협력 확대 → 파키스탄 입장에선 다소 민감
-
파키스탄 내부의 종파 갈등(수니파 극단주의에 의한 시아파 공격 등) 때문에 사우디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비칠 때도 있음
요약
✅ 파키스탄과 사우디는 모두 수니파 국가이기 때문에 종파적으로 친밀감이 있으며,
✅ 경제·군사·지정학적으로도 전략적 관계를 맺고 있다.
❗ 하지만 이 관계는 단순한 종교적 유대 이상으로 복잡하게 작동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