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계속 오르는 비밀, 그리고 계속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 (feat 국민연금): 한은의 몇년동안의 엄청난 돈풀기, 바이든/트럼프 압박에 국내기업의 달러 재투자 증가, 외국인 국내증시 투자 < 한국인 외국증시 투자, 미국 재무부는 환율 보고서에 한국을 환율조작 관찰대상국으로 지정 및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헤지 중단,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증가, 한은의 외환보유고 환율방어 점차 고갈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ranto28&logNo=224068269532&categoryNo=21&proxyReferer=https:%2F%2Fmail.google.com%2F&trackingCode=external

 환율이 계속 오르는 비밀, 그리고 계속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 (feat 국민연금): 한은의 몇년동안의 엄청난 돈풀기, 바이든/트럼프 압박에 국내기업의 달러 재투자 증가, 외국인 국내증시 투자 < 한국인 외국증시 투자, 미국 재무부는 환율 보고서에 한국을 환율조작 관찰대상국으로 지정 및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헤지 중단,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증가, 한은의 외환보유고 환율방어 점차 고갈 

 


환율이 계속 오르고 있다.

환율이 변동하는 이유는 한두가지로 설명할 수 없다.

주요한 몇가지만 짚어보자.

1. 국장에서 외국인들이 며칠째 대량으로 매도를 하고 있음.

2. 11월의 코스피만 봐도, 외국인들이 5영업일간 7.3조원(50억달러)을 매도함.

3. 이들중 일부는 한국에 남았지만, 일부는 달러로 바꿔서 돌아감.

4. 아시아에서는 한국과 대만에서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 유출이 가장 크게 일어남.

5. 10월 30일부터 11월 5일사이, 한국에서 24.2억달러, 대만에서 27.3억달러가 유출되었고, 상당비중이 일본으로 유입됨.

6. 개인들의 해외투자도 계속 늘어나고 있음.

7. 11월초만 봐도, 미장주식 52억달러를 매도하고, 66억달러를 매수했으니, 4영업일(11.3~6)에 14억달러가 빠져나갔음.

8. 무역수지가 그나마 선방을 하고 있음.

9. 하지만, 삼성전자와 현대차등 무역수지 흑자 주력기업들이 무역수지 흑자로 생긴 달러를 원화로 바꾸지 않고 있음.

10. 미국에서 투자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달러가 필요한 상황임.

11. 2021년~2024년, 미국 직접투자는 연간 250~280억달러 수준이었는데, 앞으로는 이 수준을 훨씬 초과할 전망임.

12. 한미관세협상에 따라서, 매년 200억달러씩 미국에 달러를 보내줘야하는 부담도 아직 남아있음.

13. 한마디로 달러가 점점 귀해지고 있는 것임.

14. 달러와 반대로 원화는 계속 풀리고 있음.

15. 원화가 흔해지고, 달러가 귀해지는 흔싸귀비가 기본추세가 된 것임.

16. 과거에는 국민연금에 환율급등을 막는 브레이크가 있었음.

17. 국민연금의 브레이크는 전술적, 전략적 환헤지인데, 국민연금이 앞으로 브레이크를 밟을 수 있을지 의문인 상황으로 바뀜.

18. 2025년 1월 7일, 국민연금은 환헤지를 실행했고, 1,470원에서 시작한 환율이 하루만에 1,446원까지 빠졌음.

19. 1400원대를 넘어서 1500원을 위협하던 환율이 1300원대로 안정되기 시작한 것임.

20. 국민연금의 환헤지는 다음과 같이 돌아감.

21. 국민연금이 해외투자를 하려면 원화를 달러로 바꿔야 하는데, 원화를 달러로 바꾸면, 달러가 부족해서 환율이 오르게 됨.

22. 해외 투자가 종료되면 달러를 다시 원화로 바꿔 한국으로 들여오게 됨.

23. 달러를 원화로 바꿀 때 달러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는가에 따라서 환이익과 환손실이 갈리게 됨.

24. 환헤지는 환율로 투자손익이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 시점의 환율로 고정시키는 것임.

25. 국민연금의 환헤지는 민간 상업은행들과 체결할 수도 있지만, 한국은행과의 통화 Swap(교환)으로도 실행될 수 있음.

26. 한국은행이 국민연금에게 원화를 받고 한국은행이 보유한 달러를 빌려줘서, 그 돈으로 해외투자를 하는 게 통화 Swap임.

27. 일시적으로 한국은행의 외화보유고가 줄어들지만, 만기에 국민연금이 빌려간 달러를 상환하면 외화보유고가 원복이 됨.

28. 이렇게 하면, 국민연금이 시장의 달러로 해외투자를 하지 않아서, 달러를 그만큼 귀비로 만들지 않을수 있음.

※ 귀비: 흔싸귀비, 흔하면 싸지고 귀하면 비싸짐

29. 만약 1년뒤 환율이 1,471원에서 1,371원이 되었다고 가정을 해봄.

30. 국민연금이 환헤지를 하지 않았으면 100억달러로 13.71조원을 교환하게 되는데, 환헤지가 있어서 14.71조원을 받게 됨.

31. 1조원의 환이익을 국민연금이 보게 되는 것임.

32. 반대의 경우도 당연히 있음.

33. 1년뒤 환율이 1,571원이 되면, 국민연금은 반대로1조원의 환손실을 보게 됨.

34. 환헤지 만기시점의 환율에 따라서, 환헤지가 이익이 될지 손해가 될지가 결정 되는 것임.

35. 국민연금의 환헤지 전략은 전술적 환헤지와 전략적 환헤지로 나뉘어 짐.

36. 전술적 환헤지는 국민연금의 기금 운용본부에서 자체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환헤지 한도로 해외투자금의 5%임.

37. 전략적 환헤지는 국민연금의 해외투자금 5천억달러(잠정추정)의 10%까지 할 수 있어 훨씬 많은 금액을 실행할 수 있음.

38. 전략적 환헤지는 국민연금 기금 운용본부 내부 판단으로 실행하는 것이 아님.

39. 환헤지 발동 조건이 별도로 있음.

40. 전략적 환헤지 발동 조건은 다음과 같음.

'2001년부터 지금까지의 환율 분포도가 2.58 시그마(표준편차)이상, 즉 신뢰구간 99%이상 벗어나는 극단적인 상황이 5영업일 이상 지속될때 발동한다"

41. 시그마, 표준편차, 신뢰구간 등 어려운 단어가 나오니 어질어질할 것임.

42. 1,451원으로 보면 됨.(2001년부터 현재까지 24년간 평균이라 쉽게 바뀌지 않는 숫자임)

43. 위 말을 해석하면, 1,451원 이상으로 환율이 5영업일 이상 유지되면, 전략적인 환헤지가 발동된다는 말임.

44. 2025년 11월 7일의 환율은 1,456.8원으로 1,451원을 처음 넘어감.

45. 이런 환율이 5영업일(일주일)이상 유지되면, 전략적 환헤지 발동요건이 됨

46. 연초에도 1,451원 이상의 환율이 5영업일 이상 유지되면서 전략적 환헤지 요건을 충족했고, 환헤지가 실행된 것임.

47. 5백억달러 정도까지 환헤지를 할 수 있는 전략적 환헤지가 가동이 되면 달러 수급에 큰 손이 추가됨.

48. 달러에 대한 투기수요들은 전략적 환헤지가 언제든 들어올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조심스럽게 행동할 수 있음.

49. 전술적 환헤지 5%에 전략적 환헤지 10%를 합치면 해외투자금 5천억달러의 15%인 750억달러의 환헤지가 가능한 것임.

50. 7월 14일, 1400원대 환율을 다시 보게 될까? 라는 글을 씀.

1400원대 환율을 다시 보게 될까? A/S : 네이버 블로그

51. 댓글에는 1400원대 환율을 다시 볼 가능성이 절대 없다는 답변도 달렸음

이웃 A: 절대 없음.

이웃 B:모든 일이 그렇지만, 금융시장에서는 특히나 절대라는 말은 안어울리는 말이 아닐까요? ㅎㅎ

이웃 A: 그럼 높은 확률로 없음.

52. 두달도 지나지 않은 9월에 1400원대 환율이 왔고, 지금도 계속 올라가고 있음..

53. 국민연금의 환헤지에 변화가 발생한 것이 1400원대 환율을 예상한 이유중의 하나임.

54. 국민연금이 전략적 환헤지를 중단한 것임.

55. 국민연금은 1470원대에서 환헤지를 해서, 1380원내외에서 환헤지를 중단했기 때문에 짭짤한 환이익을 냈을 것임.

56. 국민연금은 짭짤한 환이익을 냈지만, 앞으로의 환율이 문제임.

57. 국민연금의 환헤지 중단은 내부적인 이유와 외부적인 이유가 각각 있음.

58. 내부적인 이유는 환율이 1300원대로 낮아지면서 전략적 환헤지 발동 조건이 해소가 된 것임.

59. 외부적인 이유는 미국임.

60. 미국 재무부는 환율 보고서에 한국을 환율조작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하면서, 국민연금의 환헤지를 다음과 같이 문제 삼았던 것임.

“국민연금이 보유한 해외 자산 총액이 지난해 4개 분기 동안 약 460억 달러 증가해 4700억 달러를 기록했다. 향후 연기금을 활용한 교역 상대국의 환율 평가절하 가능성 등을 들여다보겠다"

61. 지금까지 환율조작은 자국 통화를 약하게 하는 것에 적용을 했었는데, 국민연금이 한 것은 자국 통화를 강하게 만드는 것이었음.

62. 자국 통화를 강하게 하는 움직임까지 지적하는 미국 재무부가 한은과 국민연금을 당황시킨 것임.

63. 이런 내외부 요건이 모두 영향을 미쳐서 6월 24일경 국민연금이 신규 환헤지를 중단하게 됨.

64. 문제는 앞으로 환율이 올라도, 환헤지를 하기 힘들어 진 것임.

65. 2025년 10월 1일, 한국과 미국은 환율합의를 발표함.

한미 환율합의 발표 내용 간단 정리 : 네이버 블로그

66. 위 발표문에는 국민연금을 활용한 환헤지도 자제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67. 국민연금은 2025년 7월부터 환헤지를 하지 않고 해외투자를 하기 시작함.

68. 국민연금 연간 계획에 따르면, 하반기에 50조 원 정도의 해외투자가 예상되고, 이 정도의 달러가 해외투자에 사용될 것임.

69. 국민연금의 국내주식투자가 이미 한계에 도달한 상황이라, 해외투자는 더 늘어날 것임.

70. 2025년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자산배분 비중은 14.9% 였음.

71. 현재 17.5%까지 올라간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72. 국민연금의 초과 허용범위는 +3%p이니, 17.9%가 최대한도이고, 거의 도달한 상황임.

73. 연말까지 국민연금의 환헤지 없는 해외투자가 많아진다는 말이 됨.

74. 해외투자 확대는 달러 수요가 늘어난다는 말이고, 달러가 한동안 귀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