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과장: 2025년은 중금리ㆍ저유가ㆍ양적완화ㆍ재무부입니다. 선택적 유동성이 성장주로 꽂히는 사이클입니다. 금이나 방어주가 아닌, 팔란티어 같은 성장주에 투자해야 할 시점임. 암호화폐도 오를 것

 https://www.youtube.com/watch?v=UmlX9CmlLUg

 https://www.youtube.com/watch?app=desktop&v=kKn3c3jTngk

 

현재 시장 환경을 분석하여 성장주 투자의 적기를 포착하는 핵심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영상입니다. 낮은 유가와 물가, 그리고 연준의 금리 인하 및 양적 완화 가능성이라는 '성장주가 오르는 공식'을 과거 사례(1995년, 2015년, 2020년)와 비교하며 설명합니다. 단기 변동성 대신 구조와 사이클에 기반한 투자 전략을 세우고 싶다면, 이 영상에서 제시하는 선택적 유동성 사이클 속에서 어떻게 기회를 선점해야 하는지 명확히 배울 수 있습니다.

  • 현재 시장 상황은 금값 상승과 가치주 반등이 나타나고 있으나,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성장주임.

    • 물가 하락세와 쿠웨이트의 석유 증산 가능성 등은 시장 환경 변화의 신호임.

    • 금이나 방어주가 아닌, 성장주에 투자해야 할 시점임.

  • 성장주가 오르는 공식은 유동성 공급낮은 유가의 결합에서 비롯됨.

    • 2015년 유럽 재정위기 당시, 연준의 강력한 양적 완화로 유동성이 풀리자 가치주, 성장주, 금이 모두 상승했음.

      • 그러나 당시에는 높은 유가 때문에 성장주가 크게 오르지 못했음.

    • 2015년 셰일가스 혁명 이후 유가가 하락하자, 그동안 쌓였던 유동성이 성장주로 집중되었고, 성장주가 압도적으로 상승했음.

      • 이 시기에는 높은 기준 금리(5% 중금리 5년 유지)로 인해 달러 가치가 우상향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유가 덕분에 성장주가 강세를 보였음.

        • 낮은 유가와 높은 중금리 환경에서는 금이 바닥에 깔리고 성장주가 크게 상승하는 패턴이 나타남.

  • 주식 투자는 종목이 아닌 사이클과 환경에 의해 결정됨.

    • 현재 환경은 과거와 유사한 저유가 상황이며, 중동 국가들의 증산 기조가 이어지고 있음.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시점과는 다른 환경이며, 현재 러시아의 영향력은 과거보다 약화됨.

    • 물가 하락세가 확인되고 있으며, 관세 영향은 예상보다 크지 않다는 것이 연준의 보고서에서도 확인됨.

      • 생산자들이 관세 면제 지역인 멕시코로 빠르게 이동한 것이 그 근거임.

  • 기준 금리가 현재 투자의 가장 중요한 변수임.

    • 미국 기준 금리는 타국 대비 압도적으로 높으며, 이는 달러 강세로 이어지고 있음.

      • 미국만 채권 금리가 하락하며 유동성이 미국으로 집중되고 있음을 시사함.

    • 달러 강세로 인해 원화, 엔화, 유로화는 약세이나, 위안화는 강세를 보이며 중국의 소비 증가 및 시장 개방 준비 신호로 해석됨.

    • 가장 가치주인 프록터앤드갬블조차 실적이 좋았고, 죽어있던 태양광주도 바닥에서 올라오는 등 전반적인 기업 실적이 개선되고 있음.

  • 현재는 변곡점이며, 시장 유동성이 마른 상태에서 연준의 금리 인하 및 양적 완화가 임박했음.

    • 내년에는 민간 자금을 당기기 위한 바젤 3 엔드 게임 완화도 예정되어 있음.

    • 투자는 미래를 선점하는 행위이며, 과거(1995년, 2015년, 2020년)에도 유동성이 풀리자마자 성장주로 집중되었음.

      • 중국이 AI 산업 선점을 위해 레버리지를 당기며 채권을 발행하는 것도 이러한 흐름의 일부임.

  • 현재 사이클은 선택적 유동성 사이클임.

    • 2020년 코로나 시기는 연준 주도의 보편적 유동성 사이클이었으며, 혁신 기술주 ARK가 170% 상승했음.

    • 2025년 현재는 재무부가 주도하는 선택적 유동성 사이클로, 6개월 만에 ARK가 120% 상승하는 등 성장주에 유동성이 집중되고 있음.

  • 결론: 낮은 유가, 낮은 물가, 미중 무역 합의 준비, 그리고 연준의 금리 인하 및 양적 완화 임박이라는 환경이 조성됨.

    • 시중 유동성이 마른 이 시점에서, 단기 변동성을 피하고 장기적 시계열로 안정적인 투자를 추구해야 함.

    • 다가오는 변곡점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성장주를 매수하는 것임.

  • 성장주 상승을 위한 핵심 환경 조건

 

  • 현재 시장 환경 분석 (선택적 유동성 사이클)

구분

과거 (보편적 유동성, 2020년)

현재 (선택적 유동성, 2025년)

주도 세력

연준 (Fed)

재무부 (Treasury)

유동성 공급

보편적

선택적

대표 지표 (ARK)

170% 상승

120% 상승 (6개월)

투자 방향

전반적 상승

성장주 집중


 

트럼프와 시진핑은 화해를 했습니다. 다음 미래는 명확합니다. 어려운 게임이 아닙니다. 단기 시계열은 안됩니다. 장기 시계열이 맞습니다. 충분히 할 수 있는 게임입니다. 공식은 간단합니다. 금리는 달러의 가치입니다. 금리는 앞으로도 높게 유지될 겁니다. 달러의 가치는 올라갑니다. 금의 가치는 내려갑니다. 유가는 마진을 제한합니다. 중동이 증산을 합니다. 러시아는 약해졌습니다. 유가가 낮습니다. 마진이 높습니다. 재무부가 유동성을 통제합니다. 연준은 완화를 준비합니다. 1995년은 중금리ㆍ저유가ㆍ성장주였습니다. 2015년은 저금리ㆍ저유가ㆍ성장주였습니다. 2020년은 저금리ㆍ저유가ㆍ성장주였습니다. 주식은 사이클로 결정됩니다. 2025년은 중금리ㆍ저유가ㆍ양적완화ㆍ재무부입니다. 선택적 유동성이 성장주로 꽂히는 사이클입니다. 결론은 간단합니다. 단기 시계열로 접근하면 위기입니다. 장기 시계열로 접근하면 기회입니다. 우린 성장주를 사야 한다는거죠. ※이 영상은 10월 27일 촬영되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