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나스닥, 비트코인, 이더리움 체감 폭락크기 비교

 

하루에 이더리움 -18.39%, **비트코인 -10.11%**이면,
이건 단순한 조정 수준이 아니라 “역사적 폭락 (Crash)” 범주입니다.
📉 아래는 역사적 비교와 통계적 위치를 근거로 설명드릴게요 👇


🟥 ① 이더리움 -18.39%

  • 일평균 변동성: 약 ±4~5%

  • -18% 이상 급락 빈도:
    → 1년에 1~2회 이하 (즉, 상위 0.5% 이내의 극단적 이벤트)

  • 역사적 선례:

    시기하락률주요 원인
    2022.5.12약 -22%Terra·Luna 붕괴
    2021.5.19약 -20%중국 채굴 금지 발표
    2020.3.12약 -33%코로나 세계적 공황

 

 

 

지금 제시하신 수치(S&P500 -2.71%, 나스닥 -3.56%, 비트코인 -4.86%, 이더리움 -9.35%)은 단 하루 동안 발생한 변동으로 보기엔 상당히 드문 대형 이벤트급 하락이에요.
자산군별 역사적 변동성, 빈도, 대표적 과거 사례를 근거로 단계별로 비교해드릴게요 👇


🟥 ① S&P500 -2.71%

  • 평균 일간 변동성: 약 ±1%

  • -2.7% 이상 하락 빈도:
    → 과거 10년 기준 연평균 5회 내외 (약 거의 두 달에 한 번 수준)

  • 역사적 선례:

    • 2020년 3월 팬데믹 초입 (-7~10%)

    • 2022년 6월 CPI 쇼크 때 (-3.25%)

    • 2018년 12월 연준 금리인상기 (-2.7%)

  • 판단:
    🔻 “아주 큰 폭의 하락”
    → S&P가 하루 -2.7%면 거의 전 세계 증시 뉴스 헤드라인급 이벤트
    → “폭락(major selloff)”으로 분류 가능


🟥 ② 나스닥 -3.56%

  • 평균 일간 변동성: 약 ±1.5~2%

  • -3.5% 이상 하락 빈도:
    → 연평균 5회 이하 (거의 분기 한두 번 정도)

  • 역사적 선례:

    • 2022년 9월 CPI 쇼크

    • 2022년 5월 테크주 붕괴

    • 2020년 3월 코로나 셧다운

  • 판단:
    🔻 “대폭락 수준” (Top 1~2%급 하락)
    → 나스닥은 변동성이 크지만, 하루 -3.5%는 확실히 “위기급 조정”
    → 보통 주요 빅테크(애플·엔비디아·MS)가 4~6%씩 빠질 때


🟧 ③ 비트코인 -4.86%

  • 평균 일간 변동성: 약 ±3~4%

  • -4.8% 이상 하락 빈도:
    → 거의 주 1회 수준 (2021~2023년 기준)

  • 역사적 선례:

    • 2023년 8월 SpaceX 매도 루머 (-8%)

    • 2022년 FTX 사태 (-15%)

    • 2021년 중국 채굴 금지 (-10%)

  • 판단:
    🟧 “상당한 하락이지만 폭락은 아님”
    → 비트코인에선 하루 -5%면 “조정장”,
    -10% 이상이어야 “폭락장”으로 분류됨.


🟥 ④ 이더리움 -9.35%

  • 평균 일간 변동성: 약 ±4~5%

  • -9% 이상 하락 빈도:
    한 달에 1~2회 이하 수준 (즉, 상위 5% 변동)

  • 역사적 선례:

    • 2022년 Terra 붕괴 (-15~20%)

    • 2021년 5월 중국 규제 쇼크 (-12%)

  • 판단:
    🔻 “대폭락” (Top 1~2% 수준의 낙폭)
    → ETH가 하루 -9%면 거의 전 시장이 붕괴 중인 날.


📉 종합 비교 요약

자산일간 하락률역사적 위치체감 수준평가
S&P500-2.71%상위 1~2%매우 드문 대폭락🟥 폭락 (매우 큼)
나스닥-3.56%상위 1%분기급 위기🟥 폭락 (매우 큼)
비트코인-4.86%상위 15~20%흔한 조정🟧 중간~큰 하락
이더리움-9.35%상위 2~3%드문 폭락🟥 폭락 (대형 이벤트급)

 

-- 

이건 “체감 폭락 크기”를 서로 다른 자산군 간에 비교하는 아주 좋은 질문이에요.
지금 제시한 수치는 모두 하루(-1일 기준) 변동이라고 가정하고,
각 자산의 역사적 평균 일간 변동성(σ)과거 사례 빈도를 기준으로 비교해드릴게요.


📊 ① S&P500 -2.29%

  • 평균 일간 변동성: 약 ±1%

  • -2% 이상 하락 빈도: 연평균 10회 미만 (즉, 한 달에 한 번 꼴 이하)

  • 역사적 선례:

    • 금리인상기(2022년) 중에도 하루 -2.3% 이상 하락은 시장 전체가 “리스크오프”로 돌아설 때 발생

    •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초기에 하루 -7~10% 폭락일도 있었지만, 그건 극단적 케이스

  • 판단:
    🔻 “상당히 큰 하락” (Top 5~10%급 변동)
    → “폭락”까지는 아니지만, 명확히 뉴스에 나오는 하락입니다.


📈 ② 나스닥 -3.03%

  • 평균 일간 변동성: 약 ±1.5~2%

  • -3% 이상 하락 빈도: 2022~2023년 기준 연 10~15회 정도 (즉, 한 달 1~2회 수준)

  • 역사적 선례:

    • 2022년 5월·9월 등 금리 쇼크 때 자주 관측됨

    • 장중 -3%는 기술주 중심으로 ‘중간급 공포’

  • 판단:
    🔻 “큰 폭 하락” (Top 10~15%급)
    →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오늘 나스닥 많이 빠졌네” 정도.
    → “대폭락”은 아니지만 뚜렷한 리스크오프 신호.


₿ ③ 비트코인 -3.70%

  • 평균 일간 변동성: 약 ±3~4%

  • -3.7% 하락 빈도: 거의 “매주 2~3회” 수준

  • 역사적 선례:

    • BTC는 하루 -5~10%도 흔한 편

    • 2021년, 2022년엔 하루 -15%도 드물지 않았음

  • 판단:
    “보통 수준의 일상 변동”
    → 전혀 폭락 아님.
    → 크립토 시장에서 이 정도는 “살짝 하락장” 수준.


🪙 ④ 이더리움 -7.52%

  • 평균 일간 변동성: 약 ±4~5%

  • -7.5% 하락 빈도: 한 달에 1~2번 정도

  • 역사적 선례:

    • 2022년 Terra 붕괴·FTX 사태 시기엔 하루 -20%도 있었음

  • 판단:
    🟧 “큰 하락, 하지만 특이하지 않음”
    → ETH 시장에서는 꽤 크게 빠진 날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자주 있는 수준.


📉 정리 비교표

자산하락폭역사적 체감 수준빈도(대략)평가
S&P500-2.29%상당히 큰 하락한 달에 1번 이하🟥 시장 전반이 흔들리는 날
나스닥-3.03%큰 폭 하락한 달에 1~2번🟧 기술주 약세, 공포 확대
비트코인-3.70%보통 수준일주일에 여러 번🟨 일상 변동
이더리움-7.52%꽤 큰 하락한 달에 1~2번🟧 크립토 단기 급락 수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