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송이 만든 선물환 포지션 규제

 

"신현송이 만든 선물환 포지션 규제"는 한국의 외환시장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정책 중 하나로, **2010년에 도입된 '선물환 포지션 한도 규제'**를 말합니다.
이 정책은 **신현송 당시 청와대 국제경제보좌관(후에 BIS 수석 경제자문관)**이 중심적으로 설계·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배경: 왜 이 규제가 도입되었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 외국계 은행들이 **한국 외환시장에서 선물환 거래(특히 단기 외화 차입)**를 과도하게 늘려

  • 급격한 자본 유출입과 환율 변동성 확대,

  • 단기 외채 증가, 외환위기 재현 우려 등을 야기함

⚠️ 당시 한국은 "외환 부족" 리스크를 크게 경험했음


📌 신현송 보좌관 주도로 만든 규제:

👉 "선물환 포지션 한도 규제" (2010년 6월 시행)

핵심 내용:

은행들이 보유할 수 있는 선물환(외환 파생상품) 포지션에 상한을 두는 규제

구체적으로:

구분한도
외국계 은행 지점**자기자본의 200%**까지 선물환 포지션 가능
국내 은행**자기자본의 40%**까지 가능 (후에 일부 완화됨)

※ 이 비율은 총 외환포지션(선물환·통화스와프 등 포함) 기준이며,
단기 외화차입을 통한 공격적 거래를 제한하기 위한 조치였음.


🎯 목적

  • 외환시장 안정화

  • 단기 외채 증가 억제

  • 급격한 자본 유출입 완화

  • 환율의 급변 가능성 차단

즉, 투기적 성격이 강한 선물환 거래의 레버리지(지렛대 효과)를 제한하려는 목적이었습니다.


📈 효과

  • 단기 외화차입 축소 → 외환건전성 강화

  •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 한국 외환시장의 위험노출(특히 외화유동성 리스크) 감소

국제적으로도 IMF, BIS, G20 등에서 한국의 자본유출입 관리 정책으로 모범 사례로 평가되기도 했습니다.


👨‍🏫 신현송의 역할

  • 당시 글로벌 금융시장의 구조를 잘 이해하고 있었던 국제금융 전문가

  • **"단기 외채와 외환 파생상품이 금융위기의 핵심 위험요소"**라는 판단 아래 정책 설계 주도

  • 이 규제는 단순한 통제보다도, 시장친화적이면서 효과적인 자본유출입 관리라는 점에서 주목받음


✅ 요약 정리

항목설명
정책명선물환 포지션 한도 규제 (2010년 도입)
설계자신현송 당시 청와대 국제경제보좌관
대상은행들의 선물환·외환 파생상품 보유 규모 제한
주요 규제 내용외국계 은행 200%, 국내 은행 40% (자기자본 대비)
목적외환시장 안정화, 단기외채 억제, 금융위험 완화
평가국제적으로도 모범적인 자본유출입 관리 수단으로 인정받음

더 궁금하시면 관련된 정책들인 외화건전성 부담금, LCR 규제, 자본 유출입 관리 정책의 국제 추세 등도 함께 정리해 드릴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