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의 복리효과: 배당금 재투자+상승분 수익 재투자 효과

 

 

ETF(특히 인덱스 펀드 ETF)에서 말하는 **복리효과(compounding effect)**는 단순히 "이자가 붙는 구조"보다 훨씬 넓은 개념이에요.
쉽게 말하면,

“투자한 ETF가 내는 수익(배당·가격상승 등)을 다시 투자함으로써, 시간이 지날수록 수익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효과”
를 의미합니다.


🧮 1️⃣ 복리효과의 기본 원리

  • 단리(simple interest)는
    👉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음.

  • 복리(compound interest)는
    👉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입니다.

ETF에서도 같은 원리가 작동합니다.
ETF의 배당금이든, 주가 상승이든 그 수익을 재투자하면, 그 수익이 다시 새로운 수익을 만들어내죠.


📈 2️⃣ 인덱스 ETF에서 복리효과가 생기는 이유

인덱스 ETF(예: S&P500 추종 ETF, 나스닥100 추종 ETF 등)는
시간이 지날수록 기업의 성장과 주가 상승, 배당 재투자 효과가 누적됩니다.

예를 들어:

구분단리 투자복리 투자 (재투자)
연 10% 수익매년 100만원 이익첫해 10%, 다음해는 (원금+이익)에 10%
5년 후 수익500만원약 610만원

➡️ 차이가 점점 벌어지죠.
이게 바로 복리효과입니다.


💰 3️⃣ ETF에서 복리효과가 나타나는 실제 방식

ETF에서는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복리가 작동합니다.

구분내용복리효과 발생 이유
① 배당 재투자배당금을 다시 같은 ETF를 사는 데 사용배당으로 산 추가 ETF가 다시 배당·수익을 냄
② 주가 상승 누적ETF 내 기업들이 성장하면서 주가가 꾸준히 오름상승분이 계속 누적되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 4️⃣ 예시 — S&P500 인덱스 ETF

  • 1980년대부터 S&P500 ETF를 단순 보유만 했다면(배당 미재투자)
    → 수익률 약 50~60배 정도.

  • 하지만 배당까지 재투자(복리효과) 했다면
    → 수익률 약 100배 이상으로 뛰어납니다.
    즉, 거의 2배 차이가 나는 거예요.


⚠️ 5️⃣ 복리효과를 극대화하려면

  1. 장기보유:
    단기간엔 효과가 작지만, 10년 이상이 되면 기하급수적으로 커짐.

  2. 배당 재투자:
    배당금 그대로 두지 말고 자동 재투자형 ETF(Accumulating Type) 선택.

  3. 중간매도 피하기:
    팔았다 다시 사면 복리의 흐름이 끊김.


📘 요약

포인트설명
복리효과란수익이 다시 수익을 만드는 구조
ETF에서 발생 이유배당 재투자 + 주가상승 누적
장기보유 시 효과시간이 지날수록 눈덩이처럼 커짐
극대화 방법자동재투자형 ETF, 장기보유

 

 

 

아주 날카로운 질문이에요 👏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부분이에요 — “장기투자를 하는데 주가 상승분을 재투자한다는 게 무슨 뜻이냐?”

결론부터 말하면,
👉 주가상승 자체를 재투자하는 건 아니고, “상승한 가치가 계속 불어나는 구조”를 말하는 겁니다.
즉, ‘재투자’라는 표현이 꼭 ‘ETF를 다시 사는 행위’를 뜻하진 않아요.


🔹 비유로 설명해볼게요

예를 들어,
당신이 S&P500 ETF를 1,000만 원어치 샀다고 합시다.
1년 뒤에 주가가 10% 올라서 1,100만 원이 됐어요.

이때 당신이 팔지 않고 그대로 두면,
다음 해 10% 상승은 “1,000만 원이 아니라 1,100만 원 기준으로 계산”돼요.

✅ 첫해: 1,000만 원 → 1,100만 원
✅ 둘째 해: 1,100만 원 × 1.1 = 1,210만 원
✅ 셋째 해: 1,210만 원 × 1.1 = 1,331만 원

이렇게 상승분(이익) 위에 또 이익이 붙는 게
“복리효과” = 주가상승의 재투자효과예요.
직접 다시 사지 않아도,
ETF 안의 기업 가치가 상승한 만큼 그게 자동으로 재투자된 것처럼 작동하는 거죠.


🔹 배당 재투자 vs 주가상승 복리 차이

구분배당 재투자형 복리주가상승 복리
재투자 행위실제로 배당금을 ETF 추가 매수에 사용없음 (그냥 보유)
원리배당금이 새 수익을 냄주가 상승분 위에 또 상승이 누적
공통점시간이 지날수록 수익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짐복리효과 발생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