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첫 부동산 대책, 文때보다 집값 더 빠르게 올렸다; 아로는 집값 안정화하고 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는 이재명 말 믿지 않아; 역사적으로 민주당 정권이 집권하면 항상 부동산 가격이 올랐다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89245
2017년 첫 대책 이후 13주간 1.19% ↑
6·27대책은 2.668% 올라…강남 평균 18억원 넘기도
![문재인 전 대통령.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4/news-p.v1.20250128.6480d64b76784b9a97b2752e5cc40e85_P1.jpg)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이재명 정부의 첫 부동산 규제책인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아파트 가격 상승 속도가 문재인 전 정부의 첫 대책인 ‘6·19 대책’ 때보다 더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6·27 대책은 지난 문재인 정부 때 28번 이어진 부동산 대책의 대출 규제를 모두 합한 것만큼 강력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럼에도 서울 내 ‘똘똘한 한 채’의 기조가 심화하면서 아파트 가격은 더 빠르게 상승 중인 것이다.
2017년 6·19 대책 vs 2025년 6·27 대책 비교해 보니
13일 KB부동산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 6·27 대책이 발표된 지 13주가 지난 지난주(29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00.302로 대책이 발표됐던 당시(30일)보다 2.668% 상승했다.
이는 2017년 당시 문재인 정부가 취임 후 처음으로 발표한 6·19 대책 때보다 훨씬 가파른 상승세다. 6·19 대책 당시 62.629였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당시 13주 후(2017년 9월 25일)에 63.828까지 올랐다. 상승 폭은 1.199% 수준으로, 6·27 대책의 절반도 안 된다.
6·19 대책은 문재인 정부가 성립된 이후 부동산 시장이 폭등세를 타자 가격을 잡기 위해 처음으로 내놓은 정책이었다. 조정대상지역의 대출을 옥죄기 위해 총부채상환비율(DTI)과 담보인정비율(LTV)을 10%씩 강화했으며, 경기도 광명시·부산 기장군·부산진구 등을 조정대상지역에 포함시켰다. 기존에는 강남3구와 강동구에서만 소유권 이전 등기시까지 분양권 전매가 금지됐으나 당시 대책으로 서울시와 경기도 광명시 전역에서 분양권 전매가 금지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11차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4/news-p.v1.20250923.ee5115ce3e0c4029ae82dae033ac663b_P1.png)
6·27 대책처럼 수도권 전역을 광범위하게 규제하는 방안이 아닌 소위 ‘오르는 곳’만 미세하게 규제한 핀셋규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반면 6·27 대책은 수도권 전역에서 조달할 수 있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액을 6억원으로 제한했으며, 갭투자(세를 끼고 매매)·생애첫주택 등까지 모두 제한하는 광범위한 종합대책이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서울의 부동산 시장은 과거보다 더 가파르게 가격이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강남을 떼어놓고 보면 그 상승세는 더 거세다. 지난 2017년에는 첫 대책 발표 후 13주간 강남 11개 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62.781에서 63.973으로 1.192% 오른 반면, 이번 이재명 정부의 첫 대책 이후에는 같은 기간 103.021에서 106.433으로 3.412% 올랐다. 강남 11개 자치구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 주(15일) 통계 이래 처음으로 18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李 정부 추가 대책 내나…“영향 떨어져” 지적도

더 이상 정부에서 발표하는 부동산 대책이 시장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국은행은 최근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수도권 주택시장은 6·27대책 발표 직전에 비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축소되고 거래량도 줄었지만 가격 상승 폭 둔화 정도는 과거 대책에 비해 제한적인 모습”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런 세간의 평가와 달리 정부는 투기과열지구의 LTV를 더 축소하고, 전세대출까지 조이는 등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에 추가적인 규제책을 담았다. 다만 이 역시 전혀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총 28번의 부동산 대책을 낸 문재인 정부처럼 향후 더 강한 대출규제가 나올 거라는 예측이 지배적인 이유다. 문재인 정부의 경우 6·19 대책에도 부동산 급등세가 잡히지 않자 결국 40여 일 뒤 추가 대책을 내놨다.
단 과거처럼 산발적인 대책 발표는 없을 거라는 게 현 정부의 입장이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최근 30일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추석 전에도 대응이 필요한 거 아니냐는 의견도 (내부에서) 있었다”며 “전전 정부(문재인 정부)가 단발적 대응을 발 빠르게 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했다. 발 빠른 대응을 하지 않겠다는 건 아니지만 큰 틀의 입장은 종합대책을 기본으로 가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수시로 핀셋규제를 발표하기 보다는 타 부처와 협력해 대응하는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