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빅터 로스차일드 vs 데이비드 록펠러발 오일쇼크 전쟁 이전에 벌써 미국은 베트남 전쟁과 존슨 정부의 재정확대 정책으로 인플레가 3.8%로 치솟았고, 이에 미국 연준은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1969-70년부터 시작되는 미국에서의 불황응 1968년 fed가 3.8퍼센트에 달하는 인플레를 잡기위해 금리인상 등 긴축경제를 해서야?

ChatGPT said:

좋은 질문이에요. 요약하면 **1969~70년 미국 불황(리세션)**은 1968년에 시작된 연준(Fed)의 긴축정책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맞습니다.
아래에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 배경 요약

시기: 1969년 말 ~ 1970년 중반
공식 리세션 기간: 1969년 12월 ~ 1970년 11월 (NBER 기준)


💥 원인 1: 인플레이션 상승 (1965~1968)

  • 배경:

    • 존슨 행정부의 ‘Great Society’ 복지 프로그램 + 베트남 전쟁 지출이 동시에 늘어나면서,

    • 정부 재정이 팽창하고 물가 압력이 높아짐.

  • 결과:

    • 소비와 정부지출이 과열 → **1968년 인플레이션율 약 4% (3.8%)**로 상승.

    • 이는 1960년대 초반 1~2% 수준에서 크게 뛴 수치.


💸 원인 2: 연준의 긴축 정책 (1968~1969)

  • 당시 연준 의장: William McChesney Martin → 1970년에 Arthur Burns로 교체.

  • 1968년부터 연준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 인상과 통화량 축소를 단행.

  • **연방기금금리(Fed Funds Rate)**는
    → 1967년 약 4%대 → 1969년 중반에는 9% 수준까지 상승.

  • 기업 대출 비용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급등 → 경기 급랭.


📉 결과: 1969~70년 불황

  • 실업률: 3.4% → 6% 이상으로 상승.

  • 산업생산: 1969년 중반부터 하락세.

  • 자동차·주택 산업 등 금리 민감 산업이 특히 타격.

  • 정부 지출 축소 + 긴축 통화정책이 겹치며 경기침체로 전환.


⚙️ 정리하면

✅ 맞습니다.
1968년에 인플레이션(3.8%)을 잡기 위해 연준이 금리인상 및 통화긴축을 시작했고,
그 긴축의 여파로 1969~70년 미국 경기침체가 발생했습니다.


원하신다면 제가 이 시기의 금리·인플레이션·GDP 성장률 그래프(1965~1972년) 도 그려드릴 수 있어요.
그래프로 보면 긴축–침체–완화의 흐름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해드릴까요?

You said:
1968-1979년 미국 주식시장 수익률은 마이너스?
ChatGPT said:

아주 좋은 질문이에요.
정확히 말하면 1968~1979년 동안 미국 주식시장은 “명목상으로는 거의 제자리였지만, 실질(물가 반영) 기준으로는 마이너스”였습니다.
즉, 인플레이션 때문에 실질 수익률은 음(-)이었습니다.


📊 주요 지표 요약 (1968~1979)

| 항목 | 1968 | 1979 | 변화 | 비고 |
|------|------|------|------|
S&P 500 지수 | 약 103 | 약 107 | +4% (11년간) | 명목 기준 |
CPI 인플레이션 누적 | 100 | 약 184 | +84% 물가 상승 | 연평균 약 6%대 |
실질 수익률 (인플레 조정) | — | — | 약 -40% 내외 | 구매력 기준 손실 |


📉 해석

  • 명목상 주가:
    11년 동안 거의 오르지 않음. (중간에 여러 번 급등락)

  • 물가상승률:
    1970년대 중반 오일쇼크로 인해 물가 급등 (특히 1973~75, 1979년).

  • 결과:
    주가가 제자리여도 물가가 80% 오르니까, 실질 가치로는 주식 자산이 반토막 수준이 된 셈.


💥 원인 요약

  1. 1968~70년: 연준 긴축 → 경기침체

  2. 1973~75년: 제1차 오일쇼크 + 닉슨의 금태환 중단 → 스태그플레이션

  3. 1977~79년: 제2차 오일쇼크, 인플레 재가속

  4. 금리 급등, 실질 성장 둔화, 투자심리 악화


💡 핵심 정리

🔹 명목수익률: 약 +4% (거의 제자리)
🔹 실질수익률: 약 –40% (마이너스)
🔹 원인: 인플레이션 + 경기침체 + 스태그플레이션


참고로, 이후 **폴 볼커(Fed 의장)**가 1979~82년 초고금리 정책으로 인플레를 잡고 나서야,
**1982년부터 미국 주식시장의 대세 상승(“Great Bull Market”)**이 시작됐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