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빈 토플러 - 프로슈머


제품, 서비스 또는 경험을 화폐 경제 안에서 팔고자 하는 사람들을 ‘생산자’라고 부르며 그 과정은 ‘생산’이라 칭한다. 그러나 비공식 경제, 즉 비화폐 경제 안에서 벌어지는 활동에 해당하는 단어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제3물결The Third Wave》 에서 판매나 교환을 위해서라기보다 자신의 사용이나 만족을 위해 제품, 서비스 또는 경험을 생산하는 이들을 가리켜 ‘프로슈머pro\-sumer’라는 신조어로 지칭했다. 개인 또는 집단이 스스로 생산PROduce하면서 동시에 소비conSUME하는 행위를 ‘프로슈밍prosuming’이라고 한다.
---「6부 프로슈밍」중에서

 

  앨빈 토플러는 보이지 않는 경제인 비화폐 경제에도 집중한다. 그는 자신의 사용이나 만족을 위해 서비스 제품, 혹은 경험을 생산하는 이들을 지칭하는 ‘프로슈머’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현재 이 용어는 우리 사회를 설명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공용어로 자리 잡았다. 인생을 살면서 사람은 누구나 한 번쯤 프로슈머가 된다. 또한 어떤 경제도 프로슈머 없이 작용하지 않는다. 개인의 필요나 욕구를 시장에서 모두 충족시켜줄 수 없기 때문이다. 나아가 사람들이 프로슈밍 자체를 사실상 즐기고 있으며, 때로는 프로슈밍이 반드시 필요한 절박한 상황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앨빈 토플러 부의 미래》에 추천사를 남긴 고(故)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또한 이러한 대목에 집중했다.

물질을 통해 부를 쌓는 시대는 끝났다. 부의 진정한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모든 영역에서 불확실성에 대해 논하고 있기에 더욱 그렇다. 자본주의의 허점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으로 사회의 체계가 흔들리고, 긴밀히 연결된 세계의 경제를 주축으로 외교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세계의 중요성이 더욱 주목받아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공존하는 디지로그digilog의 개념이 만연한 사회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여느 때보다 부의 흐름을 파악하는 지혜가 중요한 시기다. 지식과 기술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게 된 이 사회에서, 미래를 대비하려는 발 빠른 이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담은 이 책은 부가 어디서 창출되고, 어디로 흘러가는지 폭넓게 이해하는 데 좋은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다.
_ 고(故)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그의 언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 ‘물질을 통해 부를 쌓는 시대는 끝났다’. 우리는 화폐 경제에서 나아가 무한한 형태로 끝없이 발전하고 있는 프로슈밍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세계의 중요성이 더욱 주목받아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공존하는 디지로그의 개념이 만연한 사회에 이르렀’기에 지금의 프로슈밍은 규모가 더 거대해졌으며, 그 형태는 더 다양해졌다. 소프트웨어 샘플을 제작하는 일, 학교 기금 마련을 위해 자원봉사를 하는 일, 지진 피해자를 구출하는 일, 우주의 생물체를 찾는 일. 이 모든 것이 프로슈밍이다. 망치와 못과 같은 역사가 깊은 도구를 활용할 수도 있고, 끝없이 발전을 거듭하는 전자 기기와 가상 공간을 통해 프로슈머 활동을 실행할 수도 있다.
앨빈 토플러는 역사적 변환을 가져온 다양한 프로슈머의 사례를 언급하며 프로슈밍이 시장과 세계 경제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논한다. 이러한 통찰을 기반으로 우리는 현재의 비화폐 경제가 어떻게 구축되었는지를 상세히 이해할 수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