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인들이 비영어권 중 세계에서 제일 영어를 잘하는 이유 4가지

 https://www.reddit.com/r/Norway/comments/1120y74/how_often_do_you_guys_speak_english_all_the/?tl=ko

 


LordMoriar

3년 전
우리는 이제 유치원에서도 3-4살부터 영어를 배우기 시작해. 6살부터는 학교에서 매년 11년 동안 배우지. 고등학교 1학년 끝나고 선택할 수 있고.

근데 발음이랑 일상 대화에서 영어를 쓰는 능력에 제일 큰 영향을 주는 건 (내 생각엔) 아마 텔레비전이랑 음악일 거야. 노르웨이에서는 TV 프로그램 거의 더빙 안 하고, 어릴 때부터 자막이랑 같이 영어 소리를 계속 듣잖아.


Excludos

3년 전
ㅇㅇ 맞음. 영어 90%는 드라마, 영화, 비디오 게임, 그리고 물론 유럽 각지에서 온 게임 친구들이랑 얘기하면서 배웠어



u/Ok_Chard2094 님의 아바타입니다
Ok_Chard2094

3년 전
(어릴 때) 십 대 쯤 되면 자막 대신 영어 대사를 따라 하게 돼. 자막이 사라져도 눈치 못 채면 잘하고 있다는 증거지.

 


NilsTillander

3년 전
영어를 잘하는 건 노르웨이가 미디어에 있어서 자급자족이 안 돼서 그래. 그래서 영국이랑 미국 미디어가 엄청 많은데, 그걸 다 더빙하려면 돈이 너무 많이 들어서 그냥 원어 오디오로 내보내거든. 이게 수십 년 동안 계속돼서, 스스로 강화되는 사이클이 된 거지: 영어가 더 많아지고, 문해력도 높아지고, 영어 미디어 수입도 더 쉬워지고.. 

 

 

✅ 북유럽인이 영어를 잘하는 4가지 이유

1. 언어학적으로 영어와 매우 비슷함

  • 영어와 **북유럽 언어(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아이슬란드어 등)**는 모두 게르만어족에 속해요.

  • 단어, 문법 구조, 어순, 어근 등에서 유사성이 많음
     → 예: 영어 “house” ↔ 노르웨이어 “hus” / 영어 “mother” ↔ 스웨덴어 “moder”

  • 그래서 영어를 배우는 데 언어적 장벽이 낮음

2. 어릴 때부터 영어 노출이 많음 (교육 + 미디어)

  • 대부분의 북유럽 국가는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영어를 정식 과목으로 학습

  • 영어로 된 TV, 영화, 유튜브, 게임 등을 자막 없이 접함
     → 북유럽은 더빙 문화가 거의 없어서 영어 원음을 그대로 들으며 자람
     → 자막 보면서 듣는 훈련 = 듣기 + 독해 능력 자연 습득

3. 영어가 생활 속에서 ‘실용 언어’로 자리 잡음

  • 작은 언어권이기 때문에, 국제 사회와 연결되려면 영어가 필수

  • 대학 교육, 직장, 여행, 인터넷 거의 모든 영역에서 영어 사용 빈도 높음

  • 특히 덴마크·스웨덴·노르웨이는 일부 대학 학위도 영어 과정으로 제공

4. 영어를 배우는 데 심리적 장벽이 낮음

  • 영어를 잘하면 "잘난 체한다"는 시선이 적음 → 오히려 사회적으로 인정

  • 발음이나 문법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음 → 자신감 있고 유연한 학습 태도

  • 영어를 실용적 도구로 인식
     → “잘 말하려는” 것보다 “의사소통하려는” 의지가 큼


🇸🇪 예: 스웨덴의 경우

  • 영어 능력 지수 세계 1~3위권 (EF English Proficiency Index 기준)

  •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 필수

  • 자막 정책 덕분에 영어 원어민처럼 발음 구사하는 사람도 많음


🔍 정리하면…

북유럽 사람들이 영어를 잘하는 건
언어가 비슷해서 배우기 쉬움
어릴 때부터 자주 접하고, 자연스럽게 습득할 환경이 조성되어 있고
교육 시스템과 사회 분위기가 그걸 장려하기 때문이에요.

 

 

 

북유럽에서 말하는 "자막 정책(subtitle policy)"은 자막을 사용하는 방식이 나라별로 다르다는 걸 의미하는데, 북유럽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요:


✅ 북유럽의 자막 정책:

👉 "더빙 없이, 원어 그대로 + 자국어 자막만 제공"

예를 들어:

  • 영어로 된 영화나 TV 프로그램을 보면,

    • **더빙(dubbing)**을 하지 않고,

    • 영어 음성 그대로 재생 + 스웨덴어/노르웨이어/덴마크어 자막만 나와요.

즉, 듣기는 영어, 읽기는 자국어
→ 이게 반복되면서 영어 청취 & 어휘력이 자연스럽게 쌓이는 구조죠.


🔁 반대로, 더빙을 주로 하는 나라들

  •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은 영어 콘텐츠를 자국어로 더빙

    • 예: 영어 영화 → 독일어 성우가 더빙함

    • 이런 경우 영어 음성을 거의 접할 기회가 줄어듦


📌 그래서 “자막 정책”이 중요한 이유

방식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원어 음성 + 자국어 자막✅ 청취력 & 어휘력 향상
자국어 더빙❌ 영어 노출 줄어듦 → 언어 습득에 불리

🇸🇪 북유럽의 실제 사례

  •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모두 자국어 더빙 거의 없음

  • 어린이용 프로그램만 예외적으로 더빙, 나머지는 대부분 원어 그대로 방영

  • 그 결과:

    • 아이들도 어릴 때부터 영어에 귀가 트임

    • 실생활에서도 영어 발음이 훨씬 자연스러움


✅ 결론

  • 네, 맞습니다!

  • 북유럽의 “자막 정책”이란 자막은 제공하되, 더빙은 하지 않고 원어 그대로 방송하는 걸 뜻해요.

  • 이 방식이 영어 실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에 북유럽 사람들이 영어를 잘하게 되는 큰 이유 중 하나예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