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는 정치관료의 47%는 외교적 위장을 받아 일하는 정보관, 즉 스파이입니다.” 백악관 고위보좌관이었던 아서 슐레진저 주니어는 1961년 1월20일 케네디 대통령 취임 날 보고했다. 또 “외교관으로 기재된 123명은 사실 미 중앙정보국(CIA) 요원”이라고도 보고한 기록도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19일 전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187907.html

 

“미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는 정치관료의 47%는 외교적 위장을 받아 일하는 정보관, 즉 스파이입니다.” 백악관 고위보좌관이었던 아서 슐레진저 주니어는 1961년 1월20일 케네디 대통령 취임 날 보고했다. 또 “외교관으로 기재된 123명은 사실 미 중앙정보국(CIA) 요원”이라고도 보고한 기록도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19일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시로 18일 ‘케네디 파일’ 미공개 잔여분이 공개된 뒤, 역사학자들이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거나 과거 공개됐더라도 일부 검열 삭제된 부분을 대조하고 있지만 새롭게 드러나는 것은 주로 냉전 시기 미국 정보당국의 첩보 활동과 관련된 내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왜 이번 정보 공개를 밀어붙인 걸까. 첫째로 60년이나 세월이 흘러 더 이상 국가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는 점이 꼽힌다. 관련 인물 대부분이 사망했고, 국제 동맹도 바뀌어 기밀을 유지할 필요성이 줄었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트럼프 지지층이 신봉하는 음모론을 강화하는 부수적 효과다. 뉴욕타임스는 “어떤 식으로 읽으면, 트럼프 지지자들을 움직이는 또다른 이론인 ‘딥스테이트’(그림자 정부)의 존재에 대한 생각을 강화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비꼬았다. 딥스테이트는 막후의 비선 실세가 실질적인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고 믿는 정치 음모론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