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부터 시키는 일본 교통사고 안전교육
https://m.youtube.com/shorts/A5w-mU0SUl8
일본의 충격요법 안전교육 영상에 나온 교육은 일본의 "스케어드-스트레이트 방식"의 교통안전 수업이다. 전문 스턴트팀이 학교 운동장이나 체육관에서 자동차-자전거·보행자 충돌 을 실제처럼 실감나게 연출한다. 지자체 안내문에는 이 프로그램을 스턴트맨에 의한リアル(실감) 사고재현 라고 쓰여있다. 구체적인 시나리오는 이렇다 1. 시속 30km 차량의 자전거 충돌 재현 2. 자전거 라이딩의 "나쁜 예" 시범 후 위반 찾기 3. 대형차 좌회전 시, 말려드는 자전거 사고 재현 4. 사각 지대에서의 충돌 사고 재현 실제로 촬영된 영상을 보면 자전거 보행자와 차량이 부딪히는 장면, 차 보닛 위로 사람이 날라가는 장면 등 강렬한 임팩트의 연출이 많다. 이 프로그램은 목적 자체가 무서움과 공포를 아이들이 직접 체감하여 안전수칙을 몸으로 기억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급정거 소리나 충돌음, 넘어짐과 비명 소리를 직관하게 하며 헬멧 미착용의 위험 을 두부 모형을 사용하여 보여준다. 이를 본 학생들은 놀라서 비명과 탄성을 지르기도 한다. 다만 스턴트팀은 안전 설비와 보호구를 착용하여 안전하다고 한다. 교육의 결과, 일본 교통사고 통계 그래서 이렇게 교육하면 교통사고 발생률이 감소할까? 궁금해진 철멈뭄은 검색해봤다. 일본의 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는 2,663명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은 약 2.1명 대한민국의 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는 2,521명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은 약 4.9명 절대치로 보면 우리나라와 일본 모두 최저권 수준으로 감소세다. 사망률로 따지면 일본이 한국보다 좀 더 낮다. 충격 요법의 효과가 있는걸까? 이 방식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 댓글로 토론해보자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