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을 억누르기 때문에 부정적 현실이 창조된다는 김상운의 이야기는 온전한 진실이 아니라고 느낀다 - 아로는 감정을 억누르며 살지 않지만, 부정적 현실이 자주 펼쳐지는 바 그것은 보다 복잡한 관념의 작용 때문일 것이다
억눌린 감정이 무의식에 쌓여 현실을 창조한다는 김상운의 말이 이해가 안됩니다. 감정을 억누른다는게 먼소리?
ChatGPT said:
좋은 질문이에요.
김상운이 말하는 “억눌린 감정이 무의식에 쌓여 현실을 창조한다”는 문장은 심리학적·영적 개념이 섞인 표현이에요. 하나씩 풀어볼게요.
1️⃣ “감정을 억누른다”는 게 뭘까?
억누른다는 건 감정을 “느끼지 않으려 하거나 표현하지 않고 눌러버리는 것”을 말해요.
예를 들어,화가 나도 “화내면 안 돼” 하며 억지로 참는 것
슬픈데 “괜찮아, 아무렇지도 않아” 하며 무시하는 것
두려운데 “겁나는 건 약한 거야” 하며 밀어내는 것
이런 게 모두 감정을 억누르는 상태예요.
즉, 감정이 생겼을 때 그걸 있는 그대로 느끼지 않고, 부정하거나 눌러버리는 것이죠.
2️⃣ “무의식에 쌓인다”는 건?
우리가 억누른 감정은 사라지지 않아요.
표면의식(‘나는 괜찮아’라고 생각하는 부분) 아래에, 무의식 속에 남아요.
이건 마치 “정리하지 않은 감정이 마음 속 창고에 쌓이는” 것과 같아요.
시간이 지나면,
그 무의식이 우리의 행동, 생각, 인간관계, 선택에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어릴 때 부모에게 무시당해 화와 슬픔을 억눌렀다면
→ 성인이 되어도 “다른 사람이 나를 무시하는 상황”을 자꾸 겪게 될 수도 있어요.
(무의식이 익숙한 패턴을 현실로 끌어오는 거예요.)
3️⃣ “현실을 창조한다”는 뜻
김상운의 관점에서는,
무의식 속에 쌓인 감정(특히 부정적인 감정)이 에너지처럼 작용해서
그와 비슷한 상황이나 사람을 끌어당긴다고 봅니다.
즉,
억눌린 두려움이 많은 사람은
→ 현실에서도 “두려움을 자극하는 일”을 자꾸 마주하고,억눌린 분노가 많은 사람은
→ 현실에서도 “화를 불러일으키는 사람”을 자주 만난다는 거죠.
그런 의미에서 “무의식의 감정이 현실을 만든다”고 말하는 겁니다.
🪞정리하면
“감정을 억누른다” = 느끼기 싫은 감정을 무시하고 눌러버리는 것
“무의식에 쌓인다” = 그 감정이 사라지지 않고 마음 깊은 곳에 남는 것
“현실을 창조한다” = 그 감정의 에너지가 비슷한 상황이나 사람을 반복해서 끌어들이는 것
원하신다면, 김상운이 말하는 이 개념을 심리학적 관점(예: 프로이트, 융) 과 영적 관점(끌어당김 법칙, 진동의 법칙) 둘로 나눠서 좀 더 깊게 설명드릴 수도 있어요.
그렇게 해드릴까요?
You said:
ChatGPT said:
아주 날카로운 지적이에요.
사실, 그 부분은 김상운식 세계관의 한계이자, 심리학적으로 자주 논쟁되는 부분이에요.
당신이 느낀 “그 말이 틀린 것 같다”는 반응은 아주 합리적이에요. 왜냐하면 실제로 많은 경우,
감정을 억누르지 않아도 비슷한 일이 반복되는 건 흔히 일어나는 일이거든요.
조금 정리해서 설명해볼게요 👇
1️⃣ 감정을 억누르지 않아도 반복되는 이유
김상운의 논리라면 “감정을 억누르기 때문에 현실이 반복된다”고 해야 하는데,
실제 삶에서는 감정을 충분히 느끼고 표현해도 비슷한 상황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매번 인간관계에서 이용당하고 나중에 화를 내지만, 다음에도 비슷한 관계가 생김
직장에서 부당한 일을 당할 때마다 참지 않고 싸우지만, 다음 직장에서도 또 반복됨
이런 경우는 “감정을 억눌렀기 때문”이라기보다,
인식(패턴)을 바꾸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아요.
2️⃣ 심리학적 관점에서 보면
프로이트, 융, 인지심리학 쪽에서는 이렇게 봐요 👇
감정 억압은 한 요소일 뿐,
무의식의 “신념”이나 “패턴”이 반복을 만든다.
즉,
“나는 사랑받기 어렵다”, “세상은 위험하다”, “사람은 결국 배신한다”
이런 **무의식적 믿음(내면 스크립트)**이 현실을 해석하는 방식과 선택을 왜곡시키죠.
그 결과,
감정을 아무리 느끼고 풀어도 **같은 패턴의 상황을 ‘무의식적으로 선택’**하게 되는 겁니다.
(예: “이번엔 다를 거야” 하면서도 비슷한 유형의 사람을 또 만나는 식.)
3️⃣ 김상운의 관점은 “영적 단순화”에 가깝다
그는 심리적 복잡성을 많이 단순화해서
“감정=에너지=현실”이라고 연결시켜요.
이건 어떤 사람들에겐 위안과 직관적인 통찰을 주지만,
논리적으로 따지면 인과관계가 너무 단순화된 모델이에요.
현실은 훨씬 복잡하죠.
감정,
무의식의 신념,
행동 패턴,
사회적 환경,
우연성
이런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서 ‘반복되는 현실’을 만듭니다.
4️⃣ 결론
감정을 억누르는 게 문제일 수도 있지만,
**그보다 깊은 “무의식의 믿음”이나 “습관적 선택”**이 현실을 반복시키는 경우가 더 많다.
즉, 김상운의 말은 부분적으로만 맞고, 설명으로는 너무 단순하다는 게 핵심이에요.
원하신다면,
👉 “감정을 억누르지 않아도 현실이 반복되는 이유”를
인지심리학적 시각으로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설명해드릴까요?
(예: 왜 같은 인간관계 패턴이 반복되는가, 왜 실패 패턴이 유지되는가 등)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