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차일드가 그리스 왕국 설립 통해 독일계 오톤왕 (재위: 1832년 2월 6일 ~ 1862년 10월 23일) 임명한 이유 + 크림전쟁 (1853-56) + 1896년 아테네 올림픽으로 얻은 이점
그리스 투자로 로스차일드가 확보한 핵심 이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히 그리스-이집트-인도를 연결하는 회로에서, 그리스는 ‘첫 관문’이었기 때문에,
로스차일드는 이곳을 장악함으로써 이후의 수에즈 운하, 홍콩, 상하이로 이어지는 세계 유통 네트워크에 직·간접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습니다.
[출처] 로스차일드 가문은 왜 독일귀족 오토 1세를 그리스왕으로 임명하고 그리스 올림픽을 주도했나;그리스 로스차일드 VS 오스만 베어링;국제시장경제사론 168;국제유통자본 410|작성자 인드라
4. 올림픽 후원: Φ-commerce와 Λ-network 강화
19세기 후반 그리스가 올림픽을 후원하고, 로스차일드가 이에 관여한 이유는 단순한 문화 후원이 아니라 유통 네트워크 활성화 전략이었습니다.
Φ-commerce (상업 활성화 변수)
올림픽은 단순 스포츠 행사가 아니라, 지중해 상업 네트워크의 ‘국제 박람회’ 역할.
상업 친화적 정책, 국제 화폐 신뢰성, 항만 활성화 등으로 연결되며, 관광·운송·무역이 급증.
그리스 경제가 농업에서 상업 중심으로 전환되는 계기.
Λ-network (연결망 변수)
올림픽을 통해 도로, 철도, 항만 등 물리적 인프라 확충.
특히 아테네-피레우스 항만 라인이 국제 해상 회로와 연결.
이는 로스차일드의 해운 보험·금융 회로와 직결됨.
비유:
올림픽은 단순 스포츠 행사가 아니라,
“국제 유통 회로에 전기를 흘려 보내는 스위치” 역할을 했음.
로스차일드는 그 스위치를 자신이 쥐기 위해 후원에 나섰던 것임.
[출처] 로스차일드 가문은 왜 독일귀족 오토 1세를 그리스왕으로 임명하고 그리스 올림픽을 주도했나;그리스 로스차일드 VS 오스만 베어링;국제시장경제사론 168;국제유통자본 410|작성자 인드라
1. 배경: 로스차일드의 그리스 vs 베어링의 오스만
로스차일드의 선점 (1830~1840년대)
1830년 런던 의정서로 그리스 독립 확정 → 로스차일드가 독립채권 발행 주도.
1832년 오토 1세 임명 → 로스차일드가 그리스 국가 회로 안정화에 직접 개입.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의 서쪽 유통 관문으로, 로스차일드의 해상-금융 회로와 직결.
Δ-proximity (중심 접근성):
그리스가 ‘사건 중심지’가 되면,
오스만 제국은 ‘주변부’로 밀려날 수밖에 없는 구조.
① 1850~1860년대: 로스차일드 견제 중심
직접적 동기:
로스차일드가 이미 그리스를 통해 서쪽 지중해 회로를 장악했기 때문에,
베어링은 오스만 제국을 통해 동쪽 지중해의 금융 중심지를 확보하려고 함.
즉, 크림전쟁 당시 베어링의 투자는 단순 군수 금융이 아니라,
“로스차일드가 그리스를 통해 장악하려는 동지중해 회로의 ‘동쪽 끝’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 후속 전략”이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전쟁에서 영국·프랑스의 직접적 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베어링은 영국 정부의 외교 라인과 정치-금융 협력을 통해 진입할 수 있었음.
→ 이는 로스차일드가 영국 정부와 일정 거리를 두며 독자 노선을 걷는 것과 차별화됨.
② 1870년대 이후: 오스만의 성장 기대 중심
크림전쟁 이후에도 오스만 제국은 계속 서구 차관에 의존.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정학적 가치가 급상승.
영국-인도 간 해상 회로에서 이스탄불과 보스포루스 해협이 중간 거점 역할.
수에즈 운하, 콘스탄티노플, 지중해를 연결하는 삼각 네트워크 완성.
베어링의 장기적 기대:
오스만 제국이 근대화에 성공한다면,
이는 단순한 채권 수익이 아니라 **동지중해 상업-금융 네트워크의 ‘코어’**로 성장할 수 있음.
Φ-commerce (상업 활성화 변수)
오스만 제국은 해운, 항만, 세금 개혁 등 상업 친화적 개혁을 진행 중.
1870년대 이스탄불은 국제 무역의 중계항으로 급성장.
Λ-network (연결망 변수)
다뉴브강, 보스포루스 해협, 철도망 확충 → 발칸 반도와 중앙아시아로 확장 가능성.
이 시기부터는 베어링의 투자가 단순 견제를 넘어,
“로스차일드가 그리스를 통해 확보한 서쪽 지중해와 균형을 이루는 동쪽 지중해 금융 중심지”라는 구도를 형성하게 됨.
3. 오스만 채무 위기와 베어링의 딜레마 (1875~1881)
1875년 오스만 제국이 채무 불이행(디폴트) 선언.
1881년 오스만 공채관리국(Düyun-u Umumiye) 설립 → 영국, 프랑스, 독일 채권단이 직접 세금 징수.
이 과정에서 베어링과 로스차일드가 다시 충돌:
로스차일드는 그리스-이집트-수에즈 라인에 집중하며 오스만에 소극적 개입.
베어링은 콘스탄티노플 직접 개입을 확대.
4. 두 가문 전략의 비교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