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미국인들이니깐 관세가 지들이 내는건지도 몰랐을 확률이 99.99%다

주식 보유액 & 투자수익 역대 최고치 갱신 2

UFO 기체회수 구체적인 증언 나왔다? - 미공군 베테랑 조종사 Jacob Barber의 정체?

남들과 다른 대답을 하면 처벌하고, 정해진 답만을 말해야 보상하는 미개한 한국의 교육, 군대, 직장 문화 / 유독 한국사람들이 말을 잘 듣는 이유

설사가 나오는 과정 애니메이션/Why Diarrhea Happens | Digestive System Explained

레이 달리오의 빅 사이클 3분 설명 / 정부부채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나면 경제적, 정치적 양극화가 심해지고 시스템이 붕괴된다 - 마지막 사이클은 1945년이었다

15년 뒤인 2040년 비트코인 가격은 최소 30억? 그 근거: 반감기 4년마다 2배씩 상승 (반감기 4번x2x현재 BTC 가격) + 수요 + 가팔라지는 함수

The US now accounts for 20 of the world’s 25 most valuable companies — Europe only has one

Jason Lee가 말하는 성공의 비결: Subtraction, Not Addition

암울했던 광해군의 말년

텔레그램 창업자 파벨 두로프가 말하는 자신이 부자가 된 비결: 텔레그램 창업 때문이 아니라 2013년부터 비트코인에 투자했기 때문

빌더버그 단골멤버인 에릭 슈미트 같은 녀석이 서구의 전통적 가치관에 기반한 민주주의가 옳고 중국 (동양)보다 우월하다고 말하며,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것이 코미디; 미래의 전쟁은 드론간 전쟁이 될 것이며, 옵티머스 같은 로봇간 전쟁은 훨씬 먼 미래의 이야기가 될 것 - 그 이유는 (1) 다른 무기 대비 비용대비 효율적 (2) AI통한 학습 가능

박종훈: 일본의 장기불황 저페니피케이션은 서방 경제학자들은 일본 정부의 잘못된 정책이나 일본인의 특성 때문으로 해석했으나, 2010년대 이후 일본처럼 되는 현상이 유럽으로 확산 - 이는 일본의 문제가 민족적 특성이 아니라, 청년 인구 감소로 인한 것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 종이돈은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부르나, 지난 40년 동안 인플레이션이 없었던 것은 중앙은행 시스템이나 경제학 발전 때문이 아니라, 오직 세계화 때문이었다. / 인플레이션의 재림 (1) 미국 내 공장 건설 강요와 리쇼어링 (2)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막대한 돈풀기 (3) 트럼프 정부의 감세, 관세 정책 (4) 트럼프 정부의 유가 인하 전략 with 빈살만 (5) 트럼프 정부의 인플레 통한 재정적자 줄이기 전략 (6) 이상 기후 (7) 탈세계화: 세계화가 끝나 다른 나라에 마음 놓고 투자하기 어려워졌다. (8) 원자재 무기화: 원자재 가격이 들썩이고 원자재가 무기화되는 세상으로 바뀌었다. (9) 생산가능인구 줄어들며 인건비 상승 /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돈을 빌린 사람들과 인플레이션에 대비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사람들 (실물자산와 대체자산에 투자한 사람들), 그리고 보험산업이 이득을 본다. /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유가 정책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순간이 올 수밖에 없으며, 인플레이션은 시점만 모를 뿐 재발할 확률이 매우 높다.

박종훈 2: 일본의 장기불황 저페니피케이션은 서방 경제학자들은 일본 정부의 잘못된 정책이나 일본인의 특성 때문으로 해석했으나, 2010년대 이후 일본처럼 되는 현상이 유럽으로 확산 - 이는 일본의 문제가 민족적 특성이 아니라, 청년 인구 감소로 인한 것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 종이돈은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부르나, 지난 40년 동안 인플레이션이 없었던 것은 중앙은행 시스템이나 경제학 발전 때문이 아니라, 오직 세계화 때문이었다. / 인플레이션의 재림 (1) 미국 내 공장 건설 강요와 리쇼어링 (2)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막대한 돈풀기 (3) 트럼프 정부의 감세, 관세 정책 (4) 트럼프 정부의 유가 인하 전략 with 빈살만 (5) 트럼프 정부의 인플레 통한 재정적자 줄이기 전략 (6) 이상 기후 (7) 탈세계화: 세계화가 끝나 다른 나라에 마음 놓고 투자하기 어려워졌다. (8) 원자재 무기화: 원자재 가격이 들썩이고 원자재가 무기화되는 세상으로 바뀌었다. (9) 생산가능인구 줄어들며 인건비 상승 /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돈을 빌린 사람들과 인플레이션에 대비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사람들 (실물자산와 대체자산에 투자한 사람들), 그리고 보험산업이 이득을 본다. /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유가 정책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순간이 올 수밖에 없으며, 인플레이션은 시점만 모를 뿐 재발할 확률이 매우 높다. / 한국은 부동산 가격을 물가 지수에서 제외하여 통계가 심하게 왜곡되어 있다. / 능력 포트폴리오의 다양성: 현재 세상에서는 한 길만 파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능력의 포트폴리오도 다양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 경제 위기가 오면 중앙은행은 돈을 풀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신용도가 낮아 돈을 빌릴 수 없으므로, 지난 20~30년간 경제 위기 때마다 부유층과 빈곤층의 차이가 점점 / 작금의 세계 경제는 대공황 직전 상황과 유사: 주가와 집값이 반토막 났을 때 돈을 빌려 자산을 살 수 있는 사람은 부유층이었으며, 미국에서는 상위 1%가 하위 90%보다 더 많은 자산을 갖게 되어 대공황을 초래했던 것과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다. / 재테크보다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시테크'가 2030세대에게 더 필요하다. / 부동산에 돈이 쏠리면서 기업의 성공, 스타트업 등장, AI 업체 발전 등에 필요한 엔젤 투자 증가와 성공 사례(엑시트)가 부족해졌다. 이는 청년들에게 희망을 잃게 하고, 재테크에만 몰두하게 만들었다. 한국은 엔젤 투자나 스타트업 지원 측면에서 유럽보다도 못한 심각한 상황이다. / 기자 시절 중위값을 발표하려 노력했지만 계산이 매우 힘들었으며, 대략 1억에서 1억 1천만 원 사이가 정확할 것으로 추정된다. / 2008년부터 2012년 사이 금값이 6배 오르자 금광 회사들이 투자를 늘렸음에도, 2016년부터 금 생산량이 오히려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는 세계화 효과와 금광 기술 혁명이 끝났기 때문이며, 2018~2019년부터 금 생산량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 상태가 되어 돈을 찍어내는 만큼 금값이 올라갈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당시 미국 주가가 반토막 났을 때, 금값은 처음에 10~20% 떨어졌으나, 미국 정부와 연준이 돈을 풀자 금값이 먼저 6배나 올랐다. / 비트코인 가격은 미국 연준이 돈을 뿌린 만큼 올라가는 시스템이다. 나스닥과 같은 방향에 투자하고 싶다면 비트코인을 사는 것이 맞다. 비트코인이 먼저 움직이고 약 일주일 뒤 나스닥이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초개인화 시대: 혼자가 세계를 바꾸는 개인의 시대가 왔다

AI 웃긴 영상 웃참하기 챌런지

국내 최고령자 이용만 유튜브; 최고령자라는 것이 되려 장점 (104세 철학자 김형석처럼)+노태우 때 재무부장관이라는 특이한 이력+박정희 시대 비화+정주영, 이병철, 이건희, 김우중 등 재벌총수들과의 막역했던 사이+뛰어난 기억력과 정정한 모습 등 '실버 유튜버' 시장의 프로토타입으로서 본받을만하다; 손자가 유튜브 만들어서 도와주는갑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