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훈이 말하는 스테이블 코인 2: MMF, 역레포 시장 자금 씨가 말라서 미국이 단기국채 발행해도 사줄 여력이 없다; 장기국채의 경우 연준이 기준금리 내려도 장기금리 상승; 그 대안이 스테이블 코인으로, 미국의 목적은 남미, 아프리카 등 통화가 불완정한 나라에 달러의 침투율 확대해 미국채 수요 끌어내는 것; 미국 국내의 스테이블 코인 유통은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은데, 이는 미국 내 수요에 따라 테더나 서클이 미국채를 매입한다해도, 새로 돈을 찍은 국채를 매입하는 게 아니라, 기존의 MMF, 예금, 주식에서 나오기 때문 - MMF의 경우 어차피 단기국채 사주는 자금이니 주머니만 바뀌는 것이고, 은행 예금은 은행의 승수효과 약화되어 부작용이 더 크고, 주식은 주가 하락해서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큼; 미국의 지니어스 법안의 처음 목표는 송금수수료 비싼 남미가 타겟이지만 (스테이블 코인으로 하면 송금 무료), 장기적으로는 돈을 마구 찍는 나라가 모두 위험 - 이는 세계 각국의 금융정책을 무력화시킬 가능성이 큼;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 커지면, 달러화 강세 가능성도 커짐; 스테이블 코인이 전세계에 확산되는 부작용은 미국의 가장 큰 무기였던 SWIFT망이 무력화되고, 북한, 이란, 러시아 등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악용해 제재 우회할 수 있다는 것; 또, 현재 전체 국채 시장 대비 스테이블 코인 비중은 겨우 0.4%고, 2028년까지 미국 국채는 36조 달러에서 44조 달러 늘어날텐데, 스테이블 코인보다 4배 더 빨리 미국 부채 규모가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Ut4AoHNNok

 https://www.youtube.com/watch?v=vJMGZcFw-ZY

https://www.youtube.com/watch?v=ACpRowx9cng 

박종훈이 말하는 스테이블 코인 2: MMF, 역레포 시장 자금 씨가 말라서 미국이 단기국채 발행해도 사줄 여력이 없다; 장기국채의 경우 연준이 기준금리 내려도 장기금리 상승; 그 대안이 스테이블 코인으로, 미국의 목적은 남미, 아프리카 등 통화가 불완정한 나라에 달러의 침투율 확대해 미국채 수요 끌어내는 것; 미국 국내의 스테이블 코인 유통은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은데, 이는 미국 내 수요에 따라 테더나 서클이 미국채를 매입한다해도, 새로 돈을 찍은 국채를 매입하는 게 아니라, 기존의 MMF, 예금, 주식에서 나오기 때문 - MMF의 경우 어차피 단기국채 사주는 자금이니 주머니만 바뀌는 것이고, 은행 예금은 은행의 승수효과 약화되어 부작용이 더 크고, 주식은 주가 하락해서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큼; 미국의 지니어스 법안의 처음 목표는 송금수수료 비싼 남미가 타겟이지만 (스테이블 코인으로 하면 송금 무료), 장기적으로는 돈을 마구 찍는 나라가 모두 위험 - 이는 세계 각국의 금융정책을 무력화시킬 가능성이 큼;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 커지면, 달러화 강세 가능성도 커짐; 스테이블 코인이 전세계에 확산되는 부작용은 미국의 가장 큰 무기였던 SWIFT망이 무력화되고, 북한, 이란, 러시아 등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악용해 제재 우회할 수 있다는 것; 또, 현재 전체 국채 시장 대비 스테이블 코인 비중은 겨우 0.4%고, 2028년까지 미국 국채는 36조 달러에서 44조 달러 늘어날텐데, 스테이블 코인보다 4배 더 빨리 미국 부채 규모가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 원문 요지:

“역레포 시장의 자금이 씨가 말랐다 → 은행들이 국채를 사줄 여력이 없다.”

이 말은 미국의 단기 금융시장에서 유동성(자금)이 줄어들고 있어서,
미국 정부가 국채를 새로 발행하더라도 그것을 은행이나 금융기관들이 충분히 사줄 여력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 핵심 개념 설명

✅ 1. 역레포(Reverse Repo)란?

  • **미 연준(Fed)**이 시장의 돈을 일시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하는 거래입니다.

  • 은행이나 투자기관자금을 연준에 빌려주고, 그 담보로 국채를 잠시 받습니다.

  • 쉽게 말해:
    돈을 안전하게 넣어둘 단기 통장” 역할.

✅ 2. 역레포 시장의 자금이 씨가 말랐다 =?

  • 그동안 여유 자금이 많던 기관들이 역레포를 통해 연준에 돈을 맡겨왔는데,

  • 이제는 그 자금도 거의 소진되었다는 뜻입니다.

  • 즉, 시장에 더 이상 남는 현금(유동성)이 없다는 말.

✅ 3. 그래서 국채를 못 산다는 뜻은?

  • 미국 정부는 재정지출을 위해 자주 국채를 발행합니다.

  • 그런데 시장에 여유 자금이 부족하면,
    국채를 사줄 기관(은행·투자사 등)이 줄어들고,
    국채 금리가 급등하거나, 발행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종합 해석

지금은 시장의 여유 자금이 거의 바닥나서,
미국 정부가 국채를 아무리 발행해도
그걸 사줄 은행이나 금융기관들이 자금이 부족해
더 이상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할 수 있다.

 

 

역레포는 레포(Repo) 거래의 반대 개념으로, 중앙은행(예: 미국 연준)이 일반 금융기관으로부터 국채 등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즉,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세히 설명:
  • 레포(Repo) 거래:
    금융기관이 보유한 유가증권(주로 국채)을 담보로 단기 자금을 빌리는 거래입니다. 이때, 금융기관은 중앙은행으로부터 자금을 빌리고, 만기 시점에 원금과 이자를 더해 갚습니다. 
  • 역레포(Reverse Repo, 역환매조건부채권) 거래:
    레포 거래의 반대 개념으로,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금융기관으로부터 국채 등을 담보로 자금을 빌리는 거래입니다. 쉽게 말해, 금융기관이 남는 자금을 중앙은행에 예치하고 이자를 받는 형태입니다. 
  • 역할:
    역레포 거래는 시장에 유동성이 과도하게 풀렸을 때,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조절하여 금리 안정화를 도모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과도한 유동성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역레포를 통해 유동성을 흡수하여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은행 예금은 좀 과장인게 이미 미국 초단기채 sgov를 누구나 살 수 있고 4%이상 줍니다. 금리때문에 스테이블 코인 다 간다면 이미 sgov로 다 빠져야 말이 되죠. 은행은 예금자보호법이 있기 때문에 금리가 낮아도 선호하는거고 스테이블이 예치자 보호를 해줄까요? 과대해석이라 생각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