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한국, 대만의 노동자 외국인 근로자 유치 전쟁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62356101
DEEP INSIGHT
막 오른 동아시아 '이민전쟁'
'그분' 모시려 법까지 바꾼다
韓日中 '외국인 근로자' 쟁탈전
"일할 사람 없다" 아우성
한국 2035년 인력 37만명 부족
中은 합계출산율 1명 붕괴 임박
동아시아, 외국인 유치 '경쟁'
앞다퉈 비자 장벽 낮추고 "웰컴"
한국이 먼저 '유치 상한' 높이자
일본 곧바로 출입국·난민법 통과
인구 줄어드는 대만·중국도 가세
막 오른 동아시아 '이민전쟁'
'그분' 모시려 법까지 바꾼다
韓日中 '외국인 근로자' 쟁탈전
"일할 사람 없다" 아우성
한국 2035년 인력 37만명 부족
中은 합계출산율 1명 붕괴 임박
동아시아, 외국인 유치 '경쟁'
앞다퉈 비자 장벽 낮추고 "웰컴"
한국이 먼저 '유치 상한' 높이자
일본 곧바로 출입국·난민법 통과
인구 줄어드는 대만·중국도 가세


대만도 지난해 6월부터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를 늘리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편했다. 2030년까지 저숙련 외국인을 8만 명 더 유치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합계출산율 1명대 붕괴가 임박한 중국도 조만간 외국인 근로자 쟁탈전에 가세할 것이라고 분석한다. 2022년 중국의 출산율은 1.09명까지 떨어졌다. 일본과 대만에 이어 중국까지 뛰어들면 외국인 근로자 쟁탈전은 동아시아 지역 전체의 국제전으로 확산한다.

일본국제협력기구(JICA)에 따르면 일본이 2040년 경제활동을 유지하려면 675만 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필요하다. 지금보다 500만 명을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 한국 감사원은 2035년 국내 산업계에 37만 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만도 앞으로 40만 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아시아개발은행연구소에 따르면 급여를 더 많이 주는 주변국에서 일하는 아시아 신흥 10개국의 외국인 근로자는 총 464만 명이다. 아시아 최대 외국인 근로자 수출국인 방글라데시의 근로자 114만 명은 대부분 중동 국가를 선택한다. 나머지 350만 명을 놓고 한국과 일본 대만 및 머지않아 쟁탈전에 뛰어들 것이 확실한 중국이 경쟁해야 한다.
일본은 육성취업 3년, 특정기능 1호 5년까지 8년에 거쳐 건설·조선 등 11개 분야의 전문 기술을 익힌 외국인 근로자에게 특정기능 2호 자격을 더 많이 주기로 했다. 특정기능 2호 자격은 가족을 동반하고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어 사실상의 이민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는 특정기능 2호 자격을 인정받은 외국인 근로자가 20명에 불과했다. 한국이 올해 숙련 외국인 근로자(E-7-4비자) 상한을 3만5000명으로 대폭 늘린 것에 대한 대응으로 평가된다.
국제노동기구(ILO)가 아시아의 선진적인 이주관리 시스템이라고 평가할 정도로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 제도는 국제적으로 호평받고 있다. 한국은 정부가 외국인 근로자 선발부터 체류 기간 동안의 지원, 귀국까지 전 과정을 관리하기 때문이다. 일본은 민간 브로커가 기업과 외국인 근로자를 연결해 주는 대신 비싼 수수료를 뗀다. 하지만 외국인 근로자를 급격히 늘려야 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모든 과정을 도맡는 현행 제도가 맞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처럼 민간의 힘을 빌릴 뿐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 지원 등을 정부가 나눠 맡아 불법 체류자를 줄이고, 국가 이미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