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한국은 지능 강국인가…IQ 순위의 진실; 무식한 중국인, 한국인들의 지능이 세계에서 가장 높을리는 없고, IQ는 무식한 대중과 일부 무식한 학자들의 생각과 다르게 지능의 극히 일부분 (학습능력과 관련된 지능)을 측정하는 테스트일 뿐이다; 한국인들의 전반적인 독해력, 문해력, 토론 능력, 이성적 사유 능력은 (아로 기준에서) 매우 낮은 수준; 이를 전제하고 말하면, 전반적인 지식 인프라의 척도인 노벨상 top.10 국가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스웨덴, 일본, 러시아, 캐나다, 오스트리아, 스위스 순이지만 (보다 정확한 1인당 노벨상 수상자 순위는 북유럽 국가들이 석권), 학습 능력을 평가하는 IQ/PISA/Intelligence Index Ranking에서는 한국, 중국, 홍콩, 일본, 대만, 싱가포르 같은 동북아 문화권이 최상위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Nobel_laureates_by_country

Summary

[edit]



https://www.linkedin.com/pulse/most-nobel-prize-laureates-per-capita-muhammad-adnan-shoukat/

https://stats.areppim.com/stats/stats_nobelhierarchy_percapita.htm 

Nobel Prize Awards in Science per Million Nationals

1901 - 2024

Nobel Prizes
Chemistry + Physics + Physiology or Medicine
Nation ¹Number of Nobel awardsPopulation in 2024
(millions)
Nobel Index
(per million x 100)
Argentina347.26.4
Australia826.929.8
Austria129.1131.8
Belgium611.851.0
Canada1439.335.6
China51,457.90.3
Czech Republic110.89.3
Denmark105.9169.5
Egypt1111.70.9
Finland15.618.0
France3966.159.0
Germany7483.588.6
Hungary49.542.0
India11,445.00.1
Ireland25.139.1
Israel69.364.4
Italy859.913.4
Japan22124.017.7
Lebanon16.415.6
Netherlands1417.380.8
New Zealand35.059.9
Norway35.753.1
Pakistan1242.20.4
Portugal110.19.9
Russia16145.111.0
South Africa162.81.6
Spain146.62.1
Sweden1910.4183.0
Switzerland208.9223.8
Tunisia112.38.1
Turkey186.71.2
United Kingdom9269.3132.8
United States290340.485.2
Total681

Median

29.8
Average

49.9
¹ Double nationals counted twice, once for each nationality.
   National of former Czechoslovakia appears under Czechia.
   Nationals of former Soviet Union appear under Russia.

Updated: 11/29/2024 01:44:15

 


 

 https://solability.com/the-global-sustainable-competitiveness-index/intellectual-capital

The Intellectual Capital Index

Quality and availability of education in the past are an indication for today’s R&D and innovation capabilities, and today’s education performance reflect future innovation capabilities. Strength and depth of R&D activities i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lue-added technologies and services.  Educational performance indicators are therefore highly important to estimate the ability for sustained innovation and competitiveness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Intellectual capital: sustaining the innovation drive

Innovation – which in turn is the result of education – allows countries to compete in the globalised markets.
In order to create and sustain wealth, jobs and income for the population are required. Providing jobs requires producing goods and providing services that people or businesses, domestically or abroad, are willing to buy. This in turn requires products and services to be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in terms of quality and price. To maximise the domestic benefits, the value chain is ideally covered within the boundaries of a national economy – the largest share of adding value is contained in processing raw materials and/or parts to finished products.

The Intellectual Capital Index is based indicators that measure the extend of the following clusters

Intellectual Capital

State of the World – Intellectual Capital

The global average in the Intellectual Capital Index is 39 – the gap to a perfect World 61. The Difference between low-performing countries (lowest: 11) and the highest score (78) is striking, and reflects – even stronger than a GNI comparison – the North-South gap. A high score in the Intellectual Capital Index is the basis for future innovation and therefore economic success. Unfortunately, poor countries also score poor in Intellectual Capital, raising the fear that large parts of Africa will remain trapped in poverty.

On a positive note, nearly 60% of all indicators show positive development globally. However, most of the improvements seem to be originating in Europe, Far & South-East Asia, and the Americas (excluding Central America).

Global Intellectual Capital Scores

Lowest11%
Global Average39%
Global Best78%
Ideal World100%

Global Intellectual Capital Trends

Positive Trends58%
No Trend9%
Negative Trends33%

Countries with a high score in this ranking are more likely than others to develop (or sustain) successful economies through research and know-ledge driven industries, i.e. high-value added industries, and therefore achieve higher growth rates.

Intellectual Capital Index Ranking 2024

  • North-East Asian countries (South Korea, China, Japan, Singapore) lead the intellectual capital sub-index of the GSCI, reflecting their dominance in technology advancement.
  • South Korea retains the top position in innovation, significantly ahead of other nations.
  • China ranks second, highlighting its rapid technological progress and the impact of state-led investments in education.
  • Germany (4th), the UK (6th), and the US (8th) also perform strongly.
  • Scandinavian nations and Israel rank within the top 20.
  • Among emerging economies, Brazil is ranked 49th, India 62nd, and Nigeria 169th.
  • On the African continent, Morocco (57th), Tunisia (68th), and South Africa (76th) are the highest-ranked nations.
  • Most African countries, however, remain underperforming in intellectual capital, raising concerns about persistent poverty traps.

2024 Intellectual Capital Ranking

 

 

 

 https://worldpopulationreview.com/country-rankings/smartest-countries

Smartest Countries 2025

IQ (Lynn/Becker)

40

50

60

70

80

90

100

110

5 Countries with the Highest Average IQ

106.48

106.47

105.89

105.37

104.1


Country
IQ (Lynn/Becker)
Source (True/Est.)
ICI 2017 Score
ICI 2017 Grade
Japan106.48T58.9A-
Taiwan106.47T45.7B
Singapore105.89T63.6A
Hong Kong105.37T51.2B+
China104.1T47.3B
South Korea102.35T56.4A-
Belarus101.6T

Finland101.2T60.5A
Liechtenstein101.07E

Germany100.74T64.2A
Netherlands100.74T58.7A-
Estonia100.72T49.5B
Luxembourg99.87E53.8B+
Macau99.82E

Cambodia99.75T16.1D
Canada99.52T61.2A
Australia99.24T64A
Hungary99.24T50B
Switzerland99.24T61.6A
United Kingdom99.12T64.2A
Greenland98.89T

North Korea98.82E

Slovenia98.6T51.5B+
New Zealand98.57T57.3A-
Austria98.38T58.7A-
Iceland98.26T52B+
Denmark97.83T60.3A
Belgium97.49T58.7A-
United States97.43T74.9A+
Norway97.13T55B+
Sweden97T61.6A
France96.69T56.7A-
Poland96.35T45.6B
Slovakia96.32T43.6B-
Russia96.29T46.6B
Lithuania95.89T46.3B
Croatia95.75T38.5C+
Andorra95.2E

Ireland95.13T53.6B+
Czech Republic94.92T51.8B+
Latvia94.79T45.8B
Italy94.23T48B
Vanuatu93.92E

New Caledonia93.92E

Spain93.9T49.8B
Bermuda93.48T

Cyprus93.39T38.5C+
Portugal92.77T44.8B-
Israel92.43T50.1B+
Barbados91.6T

Malta91.27T40.8B-
Myanmar91.18E

Mongolia91.03T27.4C-
Bulgaria90.99T43.3B-
Greece90.77T40.1B-
Suriname90.29E

Ukraine90.07T38.3C+
Moldova89.98E31.5C
Serbia89.6T35.2C+
Vietnam89.53T25.1C-
Iraq89.28T

Uzbekistan89.01T

Kazakhstan88.89T35.1C+
Thailand88.87T29.2C-
Armenia88.82E29.6C-
Bosnia and Herzegovina88.54T25.8C-
Costa Rica88.34T32.4C
Bhutan87.94E

Chile87.89T37.8C+
Mexico87.73T30.7C
Tajikistan87.71T23.1D+
Uruguay87.59E37.9C+
Malaysia87.58T35.5C+
Brunei87.58E

Bahamas86.99T

Romania86.88T39.4C+
Turkey86.8T33.4C
Argentina86.63T40.5B-
Sri Lanka86.62T23.2D+
Mauritius86.56T31.7C
Turkmenistan85.86E

Montenegro85.78E34.6C
Azerbaijan84.81E28.6C-
Georgia84.5E31.5C
Turks and Caicos Islands84.29E

Paraguay84.04E24.5D+
Fiji83.96E

Solomon Islands83.96E

Samoa83.96E

Kiribati83.96E

Micronesia83.96E

Tonga83.96E

Marshall Islands83.96T

Cook Islands83.96E

Cuba83.9T

Bahrain83.6T29.6C-
Brazil83.38T36.2C+
Guyana83.23E

Colombia83.13T27.9C-
Venezuela82.99T26.8C-
Cayman Islands82.24E

Afghanistan82.12E

Haiti82.1T

Dominican Republic82.05T23.9D+
United Arab Emirates82.05T35.9C+
Puerto Rico81.99T

North Macedonia81.91E28.3C-
Albania81.75E23.4D+
Lebanon81.7T19.8D
Philippines81.64T26.6C-
Peru81.44T28C-
Northern Mariana Islands81.36E

Laos80.99T18.8D
Libya80.92T

Qatar80.78T31.3C
Jordan80.7T26C-
Maldives80.54E

Iran80.01T25.5C-
Pakistan80T19.6D
Grenada79.34E

Tunisia79.22E24.8D+
Kyrgyzstan79.09T27.2C-
Panama79E28.8C-
Sudan78.87T

Chad78.87E10.3D-
Seychelles78.76T

Oman78.7T27.1C-
Kuwait78.64T29.8C-
Indonesia78.49T23.7D+
Papua New Guinea78.49E

Ecuador78.26T25.3C-
Palestine77.69T

Senegal77.37E13.2D-
Comoros77.07E

Madagascar76.79E9D-
British Virgin Islands76.69E

Bolivia76.53T22.3D+
Uganda76.42T12.4D-
Saudi Arabia76.36T30.2C
Egypt76.32T21.6D+
India76.24T29.4C-
Algeria76E19.1D
Kenya75.2T19.3D
Angola75.1T

Jamaica75.08T26.7C-
Tanzania74.95T14.4D-
Syria74.41T

Bangladesh74.33T16.9D
Zimbabwe74.01T11.7D-
Burkina Faso73.8T

Saint Lucia73.68E

Mozambique72.5E10.9D-
Burundi72.09E8.8D-
Niger70.82E

Antigua and Barbuda70.48E

Saint Kitts and Nevis70.48E

Rwanda69.95E9.9D-
Benin69.71E12.8D-
Malawi69.7T10.7D-
El Salvador69.63E21.7D+
Botswana69.45T23.9D+
South Africa68.87T33C
Lesotho68.87E16.1D
Eswatini68.87E

Eritrea68.77T

Zambia68.43E18.9D
Ethiopia68.42T10.3D-
Djibouti68.41E

Nigeria67.76T13.9D-
Cameroon67.76E17.8D
Somalia67.67T

Morocco67.03T22.6D+
Namibia66.19T18.9D
Dominica66.03T

Sao Tome and Principe65.22E

DR Congo64.92T

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63.42T

Republic of the Congo62.97T

Gabon62.97E

Yemen62.86T

Central African Republic62.55E

Belize62.55E

Honduras62.16E20.2D+
Togo59.83E

Mali59.76T9.9D-
Mauritania59.76E11.6D-
South Sudan58.61T

Ghana58.16T17.4D
Ivory Coast58.16E

Guinea53.48E6.8D-
Nicaragua52.69T22.5D+
Gambia52.68T

Cape Verde52.5E

Guatemala47.72T22.8D+
Sierra Leone45.07T

Liberia45.07E

Nepal42.99T18.3D
  • Substantial research on the subject of national IQs was conducted by psychologist Richard Lynn (1930-2023), working alongside the late Tatu Vanhanen (1929-2015) or, for 2019’s The Intelligence of Nations, with David Becker.
  • Becker’s estimates are categorized by source. T = value is based upon actual test results from said country. E = value is a best-guess estimate based upon measured values of nearby countries.
  • Becker’s contributions were highly controversial. He promoted the theory that specific races and genders are genetically predisposed to be more intelligent than others, and both his methodology and his objectivity were often called into question. However, his work brought attention to the field and he is frequently (if often grudgingly) considered a pioneer in the field of national intelligence.
  • The OECD’s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is a triennial survey of 15-year-old students around the world that measures students’ ability to recall learned knowledge and apply it in new settings both in and out of school. PISA results were most recently released in 2022.
  • The Intelligence Capital Index (ICI) was created by economist Kai L. Chan and most recently updated in 2017.

 

 

https://namu.news/article/2688010

 

IQ는 개인 일부 지적 능력 수치…테스트에 따라 변동 가능
국가별 평균 IQ 신뢰 높지 않지만 동아시아에 높은 평가 성향
IQ만으로 '머리 좋은 나라' 단정 못해…PISA 등 대안 주목

IQ 테스트[바이두 화면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심재훈 기자 = 최근 일부 언론에서 국제기관의 평가 결과를 인용해 "중국이 전 세계 지능지수((Intelligence Quotient,IQ) 1위를 기록했다"고 보도하자 사실 여부를 놓고 온라인 커뮤니티나 관련 뉴스 댓글에서 논란이 일었다.

과연 국제기관들이 해마다 내놓는 평균 IQ 국가 순위를 믿을 수 있는 걸까.

도대체 어떤 근거를 바탕으로 국가별 평균 IQ 순위를 매기고 차이가 나는 걸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IQ는 측정 방식, 표본의 대표성, 그리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관에 따라 순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는 복합적인 지표다.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홍콩,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이 대체로 IQ 측정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는 교육 시스템, 문화적 가치, 인지적 훈련 효과, 경제 발전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평균 IQ 순위를 국가 간 지능의 우열을 가리는 절대적인 지표로 해석하는 것은 위험하다. IQ 테스트는 인간 지능의 일부 측면만을 측정하며, 문화적 편향과 방법론적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국가별 평균 IQ 순위는 참고 자료 정도로만 활용하는 게 좋다.

주산대회 참가한 미국계 학생들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국인학교 주산대회에 참가한 학생들이 실력을 겨루고 있다. 매년 열리는 이 대회에는 도쿄 지역의 여러 미국인 초등학교에서 120명이 참가했다. 일본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시간에 주산이 사용된다. (EPA=연합뉴스)

◇ IQ는 일부 지적 능력 수치…테스트에 따라 변동 가능

IQ는 개인의 지적 능력을 수치로 나타낸 지표다.

일반적으로 또래 집단의 평균을 100으로 정하고, 표준편차 15(혹은 16) 기준으로 상대적 위치를 산출한다. 현재 대부분의 IQ 검사는 '편차 IQ' 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같은 연령 집단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IQ 100은 그 연령대 집단의 평균임을 의미한다.

IQ의 역사는 19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의 프랜시스 골턴(Francis Galton)이 감각·운동 과제를 통해 지능을 수량화하려 시도했으나 복잡한 지능 구조를 밝히는 데 한계가 있었다.

1905년 프랑스의 알프레드 비네와 테오도르 시몽이 프랑스 정부의 의뢰로 비네-시몽 검사(Binet-Simon Test)를 개발했다. 이 검사는 아동의 정신연령 개념을 도입해,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따라갈 수 없는 아동을 선별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1912년 독일의 윌리엄 스턴이 'IQ'라는 용어를 만들었고, 정신연령을 생활연령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하는 방식(비율 IQ)을 제안했다.

1916년에는 미국의 루이스 터먼이 비네-시몽 검사를 미국 문화에 맞게 수정한 스탠퍼드-비네 검사를 출판해 미국에서 표준 지능검사로 자리 잡았다.

국제 IQ 테스트의 평균 IQ에 의한 국가 순위[국제 IQ 테스트 홈페이지 화면 캡처]

20세기 중반에는 데이비드 웩슬러가 성인용·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WISC)를 개발해 다양한 연령과 영역을 포괄하는 대표적 IQ 검사로 발전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3년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KWIS)가 국내에서 표준화됐다. 이어 1970년에는 '고대-비네 검사'가 출시됐으며 이후 웩슬러 아동용 검사(WISC) 등 다양한 IQ 검사가 국내에 도입·표준화됐다. 우리나라에서 IQ 검사는 주로 교육적 목적(특수교육 대상자 선별, 영재 판별 등)과 임상적 목적(인지장애 진단 등)으로 활용돼왔다.

우리나라의 평균 IQ는 국제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아왔다.

2002년 'IQ와 국가의 부' 연구(린 & 반하넨)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균 IQ는 106으로 세계 2위로 평가됐다. 최근에도 평균 IQ가 100~110 정도를 기록하면서 세계 상위권을 유지하는 등 머리 좋은 국가의 반열에 올라가 있다.

IQ 테스트는 인간의 지적 능력 중 일부를 비교적 신뢰성 있게 측정하지만, 인간 지능 전체를 완벽하게 반영하지는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IQ 테스트는 같은 연령대의 집단 내에서 언어, 추론 등 개인의 인지 능력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평가한다. 대체로 10세 이후에는 개인별 IQ 점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같은 사람이 여러 번 검사해도 큰 변동이 없는 편이다. 하지만 동일인이 여러 종류의 IQ 테스트를 받을 경우 점수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같은 테스트를 반복해도 환경, 컨디션 등 요인에 따라 바뀔 수 있다.

학교 끝났으니 학원으로(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2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에 학생들이 걸어가고 있다. 2023.6.21 hama@yna.co.kr

◇ 국가별 평균 IQ는 한국 등 동아시아 높은 평가 받아

중국이 전 세계 평균 IQ 1위인지를 알려면 우선 그동안 언론에 보도됐던 국가별 IQ 순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핀란드에 기반을 둔 지능 테스트 전문기관인 윅트콤(Wiqtcom)은 2024년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국가 순위에서 1위를 일본(112.30)으로 꼽았으며 헝가리(111.28), 대만(111.20), 이탈리아(110.82), 한국(110.80)이 뒤를 이었다. 세르비아, 이란, 홍콩, 핀란드, 베트남이 6~10위였다. 주요 서구 국가 중에서는 독일이 23위, 미국이 77위, 영국이 66위였다.

국제 IQ 테스트(International IQ Test)는 2025년 전 세계 IQ 1~5위 국가로 중국(107.19), 한국(106.43), 일본(106.4), 이란(106.3), 싱가포르(105.14)를 꼽았다.

2022년 OECD PISA 리포트[OECD 홈페이지 화면 캡처]

월드와이드 IQ 테스트(World Wide IQ Test)에서는 국가별 평균 IQ 점수가 싱가포르와 홍콩이 108로 최고였고 대만과 한국이 106, 일본이 105, 중국이 104, 스위스와 네덜란드, 북한이 102, 마카오와 아이슬란드, 핀란드, 캐나다가 101이었다. 독일과 영국은 100이었으며 미국은 98에 그쳤다.

세계인구리뷰(World Population Review)의 2024년 국가별 평균 IQ는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가 공동으로 107을 기록해 가장 높았고 이어 한국, 일본, 이란이 106으로 그다음이었다. 이어 싱가포르가 105, 러시아와 몽골, 아르메니아, 호주가 103으로 뒤를 이었다. 독일은 99.6, 인도는 99.1, 필리핀은 96.7이었다.

하지만 윅트콤과 월드와이드 IQ 테스트, 국제 IQ 테스트는 모두 온라인 기반의 민간 테스트 플랫폼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심리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공인 IQ 검사인 웩슬러, 스탠퍼드-비네, 레이븐스 매트릭스 등과는 다르다. 이들 기관의 테스트는 누구나 인터넷에서 쉽게 응시할 수 있고, 표본의 대표성이나 검사 환경 통제, 문화적 편향 최소화 등 과학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다.

멘사, 기네스북, 국가기관 등에서 인정하는 IQ 공식 기록은 반드시 웩슬러 등 공인 심리검사만 인정한다.

세계인구리뷰는 자체적으로 IQ 테스트를 운영하지 않고, 영국 얼스터연구소(Ulster Institute) 등에서 발표한 기존 연구자료나 온라인 테스트 결과를 인용해 국가별 IQ 순위를 정리하는 데이터 플랫폼일 뿐이다.

아울러 언론 보도에 언급됐던 기관들의 국가별 평균 IQ 순위가 다르게 나오는 데도 그만한 이유가 있다.

측정 방식의 차이뿐만 아니라 표본의 차이, 문화·언어적 편향성, 사회경제적 요인이 다르게 반영돼있기 때문이다.

각 기관은 서로 다른 IQ 테스트(문항, 난이도, 언어 등)를 사용한다. 국제 IQ 테스트는 온라인으로 표준화된 테스트를, 윅트콤은 자체 개발한 테스트를 활용한다.

IQ 테스트의 참가자 수, 연령, 국가별 대표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국제 IQ 테스트는 2024년 한 해 동안 135만 명 이상이 참여했고, 윅트콤은 109개국 데이터를 사용했다.

IQ 테스트가 특정 언어나 문화에 최적화되어 있을 경우 해당 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으며 교육 수준, 영양, 건강, 경제적 여건 등이 IQ에 영향을 미친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교육열이 높고, 국가 차원의 교육투자가 많아 높은 IQ가 나오는 경향이 있다.


◇ 동아시아 국가들 높은 평균 IQ는 높은 교육열

국제기관들의 평가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평균 IQ가 다른 나라에 대해 높다는 점이다. 이는 교육 시스템과 문화적 요인, 경제적 발전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일본, 한국, 대만, 중국 등은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교육 시스템과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인다. 학업과 인지능력에 대한 사회적 기대치가 높고, 조기교육도 보편화돼있다. 경제 수준이 높고, 영양 및 보건 환경이 우수한 점도 IQ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은 전통적으로 교육에 대한 사회적 기대치와 투자 수준이 매우 높다. 부모의 교육 수준, 양부모 가정 비율, 중위 소득 등 사회인구학적 특성도 학업 성취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실제 미국에서는 아시아계 학생들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 성취도가 백인 학생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며, 이는 꾸준한 학습 노력과 자기 통제, 동기 부여가 누적된 결과로 분석된다.


미국 내 아시아 가정은 학업에 대한 가치관이 뚜렷하고, 부모의 기대와 사회적 압력이 높다. 아시아계는 수학이나 인지 능력이 후천적 노력으로 발달할 수 있다는 믿음이 강해, 지속해 자기 계발과 경쟁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가족과 커뮤니티 내에서 학업 성취가 중요한 가치로 공유되며, 이는 높은 교육열과 성취동기로 이어진다.


◇ IQ 불신에 OECD PISA 등이 대안 거론

국가 간 비교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와 같은 문화 중립적 평가가 오히려 신뢰성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OECD의 PISA는 인지능력(읽기·수학·과학)을 평가하며 문화적 편향이 적은 국가 비교 도구로 활용돼, IQ의 대안 지표로 언론·학계에서 자주 인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장 똑똑한 국가'를 논할 때는 IQ 외에도 학업성취도(PISA 등), 노벨상 수, 인텔리전스 자본 지수 등 다양한 지표가 활용되는 추세다.


2022년 PISA는 전 세계 81개국의 만 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읽기, 과학의 성취도를 평가했는데 수학 1위는 싱가포르였으며 마카오, 대만, 홍콩, 일본, 한국 순이었다. 수학의 경우 미국은 34위, 유럽 국가들은 10~20위권이었다.

읽기의 경우도 싱가포르가 전 세계 1위였으며 아일랜드, 일본, 한국, 대만이 뒤를 이었다. 과학에서도 싱가포르가 1위였으며 일본, 카카오, 에스토니아, 한국, 대만 순이었다.

이처럼 PISA에서 싱가포르는 세 영역 모두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학업 성취도를 보였으며 한국, 일본, 대만, 홍콩, 마카오 등 동아시아와 에스토니아 등 일부 유럽 국가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