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아랍인, 처용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처용랑 망해사(處容郞望海寺)에 실려 있는 신라 헌강왕 때의 인물.

나라가 태평을 누리자 이 재위 5년(879년)에 개운포(開雲浦)[1] 바닷가로 놀이를 나갔는데, 돌아오는 길에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덮이면서 갑자기 천지가 어두워졌다. 갑작스런 변괴에 왕이 놀라 좌중에 물어보니 일관이 말하되 “이것은 동해 의 짓이므로 좋은 일을 행하여 풀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용을 위하여 절을 짓도록[2] 명한 즉, 바로 어두운 구름은 걷히고[3] 왕의 절 건축에 기분이 좋아진 동해 용왕이 일곱 아들을 데리고 나와 춤을 추었으며 그 중 하나가 왕을 따라오니 곧 그가 처용이었다.[4]
헌강왕 5년(879년) 3월에 나라 동쪽의 주와 군을 순행(巡幸)하고 있었는데,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네 사람이 왕의 수레 앞에 와서 노래부르고 춤을 추었다. 생김새가 해괴하고 옷차림과 두건이 괴상하였다. 당시 사람들은 그를 산과 바다의 정령(精靈)이라 일컬었다. <고기에 이르기를 『왕의 즉위 원년(875년)의 일이다.』라고 하였다.>

삼국사기에는 헌강왕 5년(879년)에 신라의 수도에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네 사람이 어가(御駕) 앞에서 가무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서 삼국유사와 미묘하게 다르다.[5] 왕을 따라온 처용은 달밤이면 거리에 나와 가무(歌舞)를 하였다고 하며 왕은 그를 미녀와 짝지어 주고 급간(級干) 벼슬을 주었다. 처용가를 불렀다고 한다.

2. 출신에 대한 추측[편집]

남아있는 기록의 용모에 대한 묘사, 현존하는 처용탈의 이국적인 외모를 근거로 중동 사람 혹은 이를 모델로 한 인물이라는 주장이 있다. 참고로 이 학설은 정수일 교수가 처음으로 주장했다.

실제로, 아라비아 상인이 신라에 찾아왔다는 기록도 많아서[6] 역사학계에서도 논의되고 있는 가설이다.

하지만 현존하는 문헌들에서는 처용이 외국에서 왔다는 기록을 찾아볼 수 없어서 추정 단계에 그치고 있다.
  • 페르시아(현 이란) 출신설
    처용은 페르시아인일 것이라는 주장이다. 중세 이란의 서사시 쿠시나메에 따르면 사산 왕조가 아랍 세력에 의해 몰락하면서 왕족들이 뿔뿔이 흩어졌는데 그 중 아비틴 왕자가 당나라를 거쳐 실라(신라)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처용은 아비틴 왕자의 일행 중 한 명이라는 것. # 서사시인 만큼 사실이 아닌 내용도 많지만 이런 기록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당시 신라와 이란의 교류가 있었고 관계가 가까웠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처용의 중동 출신설 중에선 가장 설득력이 있는 편이다.
  • 오만 출신설
    유시민 썰전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오만 문화부 장관과의 만찬 자리에서 장관이 신라라는 섬이 오만에 있다는 것을 근거로 처용이 오만 출신이라고 주장했다고. # 아마 오만에 있는 '마시라'라는 섬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 이상의 근거가 없어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는, 한국-오만의 친선을 위한 발언 정도에 불과하다.
  • 울산 호족 출신설
    중동 출신설은 너무 비약된 주장이라며 처용은 단지 울산 인근의 호족의 아들일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허나 울산 인근 호족의 아들이라면 당시 처용 일행의 옷차림과 생김새가 괴이하였다는 삼국사기의 기록 및 왕족을 은유하는 단어인 용의 아들이라고 서술한 삼국유사의 기록과 들어맞지 않는다. 참고로 삼국유사에 따르면 문무왕이 동해 용이 되었다고 하므로 이를 감안하면 문무왕의 제례를 받들던 후손일 가능성이 있다.
  • 비형랑 연관설
    비형이라고도 불리기도 하여 비형랑과 연관된다는 주장도 있다.[7] 이능화[8]가 쓴 조선무속고에 인용된 성신말법(聖神語法)[9]이라는 책에는 흥미로운 주장이 있는데 처용의 설화를 바리공주 설화에 접목시켜서 처용이 바로 바리공주의 남편 어비대왕이라고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설을 생각한다면 처용과 비형은 똑같이 고대 샤먼의 요소를 지니고 있는 것이 된다.[10] 비형 역시 귀신의 우두머리로 취급받으며 벽사그림으로 쓰였다. 한국의 민속에서 지푸라기로 만드는 인형인 제웅이 처용 설화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3. 현대[편집]

처용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울산에서는 해마다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처용문화제를 여는데, 처용문화제의 이름은 1991년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냈던 이어령이 제안한 이름으로, 그 이전까지는 공업도시 울산을 알리기 위해 1967년부터 울산시에서 해마다 울산공업축제를 열어 오다가 온산병이 터지며 공해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공업'이라는 단어가 공해와 연결될 수 있다는 지적이 일자 당시 문화부 장관이던 이어령이 신라 처용설화의 발상지가 울산임을 착안해서 그 이름을 처용문화제로 바꿀 것을 제안한 것이라고 한다.

이 이름에 대해 울산 개신교계 단체에서#1#2#3#4 ‘처용문화제 명칭 폐지 시민운동본부’를 조직해 "부인과 누워 있는 역신(疫神)을 보고 노래하며 춤춘 처용을 축제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은 비교육적이며[11] 특정 종교에 편향된 것"이라며 '처용문화제'라는 명칭의 폐지를 거듭 주장했다.[12][13] 반면 울산시와 울산예총 등은 “설화를 과학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처용설화는 종교와 무관하다”며 명칭 변경에 반대했다.

이에 대해 문화계와 지역 상공계 일각에서는 불필요한 명칭 논란을 없애고 울산이 한국의 ‘산업수도’가 된 것을 기리는 ‘윈윈’ 방안으로서 ‘울산공업축제’로 환원하는 처용을 이름에서 빼면 처용문화제측은 지게 되는 건데 어째서 윈윈? 안을 내놓기도 했으나 2017년에도 처용문화제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리고 처용문화제라는 이름을 지어준 이어령 본인도 만년에 개신교로 개종한 인물이지만 자신이 붙인 '처용문화제'라는 이름에 대해 별 이견을 제시한 적이 없다.

다만 처용문화제 자체는 가 봤자 별로 볼 것도 없고 재미도 없다는 평가가 대다수. 울산에서는 처용문화제 대신 울산고래축제를 울산의 상징 축제로 밀고 있다. 다만 고래 축제 역시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로 인해 고래의 인기가 높아져 2022년 한해 누적 관광객 100만명 돌파가 눈앞이 되었다고는 하지만 이 인기가 얼마나 갈지는 미지수다.

2022년 이후에는 처용문화제라는 명칭을 폐지하고 울산공업축제로 명칭을 환원하게 되었다. 때문에 개신교 단체에서 하던 움직임이 결국 성공하게 되었다는 의미가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다만 애초에 처용문화제라는 이름만 걸었지 처용과 별 관련이 있는 행사도 아니었으니 향후에 또 처용문화제라는 이름을 건 다른 축제로 부활하게 될지 어떨지도 지켜봐야 할 일이다. 무엇보다 이름을 바꾸든 말든 축제 자체가 재미없고 별 볼 것 없는 상태로 지속된다면 의미가 없기도 하고. 울산시는 일단 처용제, 처용무, 처용탈 등 축제 콘텐츠는 계속 유지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