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국민작가’ 시바 료타로 “쌀, 한국서 왔다”
김정기 교수가 쓴 일본이야기2. <쓰시마 섬 ‘적미’ 보고>..“일본쌀 원산지는 낙동강”
쓰시마를 통해 일본열도로 전해진 한반도 문물 중 중요한 것이 논농사이다. 한국인이나 일본인이나 쌀은 국민의 주식이다. 우리는 이전 이야기에서 일본인이 자랑하는 자포니카 품종의 원종이 실은 낙동강 하구에서 일군 고대 한국 쌀이라고 일깨웠다.
그러나 많은 일본인은 한반도에 대한 콤플렉스에서일까 한반도 논농사의 일본 전래를 한사코 부정한다. 그것은 ‘대륙’ 문화의 일본 전래를 인정하면서도 ‘한반도’는 아예 제쳐놓거나 그렇지 않으면 “한반도를 거쳐”로 표현하는데서 드러난다.
논농사의 경우 남방전래설도 주장하는가 하면 북방전래설을 인정하면서도 중국 양쯔강의 직래설을 주장하기도 한다. 남방전래설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일본의 이름난 민속학자 야나기타 쿠니오(柳田国男, 1875~1962)를 들 수 있다.
그는 <해상의 길>(海上の道, 1960)이라는 저술에서 일본쌀이 남방에서 왔다면서, 논농사가 남중국에서 출발해 대만, 오키나와 남부의 야에산 군도(八重山群島)의 이리오모테 섬[西表島], 이어 오키나와(沖縄)를 거치고, 다시 남부제도를 거쳐, 사쓰마(薩摩) 곧, 규슈남부 쪽으로 상륙했다는 것이다. 이것이 논농사가 남중국해를 거쳐 일본에 들어 왔다는 남방전래설이다.
동중국해를 거쳐 양쯔강에서 직접 일본으로 전래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으로서 예컨대 소설가 구로이와 지유고(黒岩重吾)를 들 수 있다. 그는 왜인들이 조선반도를 거치지 않고 직접으로 규슈 앞바다인 아리아케(有明)를 거쳐 중국을 왕래했다면서 이들을 통해 논농사가 전래되었다고 우긴다.
그는 그 근거로 중국의 후한 왕조시절 서기 170년 경 양쯔강 하류 회계군(会稽郡)에 상당한 왜인 집단이 거주했을 가능성을 든다. 오오와 이와오(大和岩雄)와 함께 쓴 <히미코와 야마타이국>(卑弥呼と邪馬台国, 1992)에서 이렇게 우기면서 그는 그 당시 이미 아리아케 (有朋)와 양쓰 강과 연결하는 항해로가 있었다는 것이다(위 책, 32).
그러나 과연 그럴까. 그가 일본에서 이름난 역사 소설가이니 상상은 그의 몫이다. 그러나 돛대를 올릴 줄 몰랐던 왜인들이 통나무 배로 험한 동중국해를, 그것도 그 옛날 야요이 시대 왕래했다고 말한들 과연 누가 믿을 수 있을까.
◇ 논농사 ‘남방전래설-양쯔강 직래설’에 대한 쓰시마의 반란
한국 쌀이든 일본쌀이든 그 원산지가 중국 양쯔강 하류, 곧 저장성(浙江省) 부근 하모도(河姆渡)가 확실하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곳은 지금부터 약 6000년 전 논농사가 시작된 고장이다. 1920년대 일본인들이 이 쌀 품종을 ‘자포니카’라고 불러 지금 학명으로 정착했지만, 이 쌀은 둥글고 길이가 짧고 찰기가 있는 단립(短粒) 쌀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알랑미[安南米]’로 알려진 찰기 없는 장립(長粒)쌀과 구별된다.
그러나 논농사의 남방전래설이나 양쯔강 직래설에 “여기요” 손들어 이의를 제기한 것은 의외로 쓰시마 섬이다. 즉, 반기를 든 것이다. 이것은 일본과 같은 상하질서가 엄격한 ‘다테(從)’ 사회에서는 차라리 반란이라고 할 만하다. 게다가 그 반란 이야기를 캐낸 사람은 놀랍게도 일본의 ‘국민 작가’ 시바료타로(司馬遼太郎)이다.
시바는 인기 연재물 <가도를 가다>(街道をゆく)13 편에서 ‘이키 쓰시마의 길’(壱岐 対馬の道)에서 이 쓰시마 반란 이야기를 논증적으로 풀어간다. 먼저 그 골자는 쓰시마 사람들이 받드는 신인 텐도사마(天道樣)에 공물로 적미[赤米(아카고메)]를 바친다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적미야말로 한반도에서 온, 오늘날 자포니카의 원종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적미의 원류가 한반도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그는 쓰시마 키사카(木坂) 출신 사가 나가도메 히사에(永留久惠)씨의 견해에 의존해 이 문제를 풀고 있다. 이제 시바의 <가도를 가다> 13 편에 좀 더 다가가 보자.
그는 “<일본서기> 신대권 하에 타카무스비노미고토(高皇産霊尊: 일본 신화에 나오는 천상국 다카마가하라(高天原)의 사령신)한 말”에 눈을 돌린다. 즉, “나는 아마츠히모로기(天津神籬) 및 아마츠이와사카(天津磐境)을 만들어 세워 진실로 우리 자손을 위해 제사를 바치리라.” 그는 ‘히모로기’와 ‘이와사카’에 주목하여 이야기를 이어간다(249~253).
[히모로기(神籬)는 단적으로 말하면 신이 강림하는 산이다. ‘히’는 령(霊)이라는 것. ‘모로’는 ‘모리(社[사당])’과 같은 뜻. 쓰시마의 사고(佐護)라고 하면 텐도산(天道山)이다. 히모로기 산을 만들고, 그것을 제사하는 공간설정을 위해 이와사카를 만든다는 위의 기술은 정경으로서는 이 눈앞의 신사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고장에서는 이 신[お宮]을 무어라 부릅니까.
텐도사마(天道樣)라고 부릅니다.
나가도메 씨는 다이쇼(大正)시대 즈음까지 텐도사마의 제례가 매우 잘 치러졌지만 지금은 쇠락했다고 말한다. 물론 사무소 같은 것은 없고 신사를 호지(護持)하고 제례를 주재하는 것은 어느 고장의 많은 사당이 그렇듯 토-야(또는 토-)라고 부르는 특정의 농가이다. 고대 제사단의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나가도메 씨는 토-야 사람들이 신전(神田)에서 신에 바치기 위해 적미[赤米(아카고메)]를 지었다고 하며, 그러나 그것도 다이쇼시대 즈음 쇠락했다고 하면서 이것은 중요한 것이라고 말한다.]
무엇이 중요한 것인가. 그것은 다이쇼 시대[1912~1926]까지 쓰시마 사람들이 적미를 신에 바쳤다는 사실이다. 시바는 쓰시마 사람들이 적미를 지어 신에게 바친 것을 나가도메 씨를 통해 캐내고는 그 적미가 어디서 왔는지를 밝혀낸다. 다시 계속해 보자.
옛날 이 열도에 벼를 가져온 것이 지금 자포니카라고 부르는 쌀(조선쌀도 물론 그럴 것이다)이 처음은 아니고 적미이었다는 설이 정설화 되고 있다. 벼의 전래에 대해서 고고학과 문화인류학이 종합하는 여러 분야의 노력을 기다리지 않으면 안 되는데 나에게는 그다지 말할 능력이 없다.
쓰시마에서 제사와 적미에 대해서 쓰시마에 사는 민속학자 시로타 기치로쿠(城田吉六)씨의 <쓰시마 적미의 마을>(対馬 赤米の村, 葦書房 刊)이 있다. 적미는 쓰시마의 옛 신사에서는 신미(神米)라고 여겨진다.
지금 일본에서는 쓰시마 남쪽 끝 쓰쓰(豆酘)에 있는 신전(神田)과 타네코시마(種子島, 나가사키 현-필자)의 케-에이(茎永)라고 하는 작은 마을의 신전밖에 없다고 한다. 다른 세계로부터 처음으로 도래한 쌀(이 경우 적미)은 신의 음식으로 신성시된 것은 당연하다고 말 할 수 있다.
이 반해 뒤에 들어와 보급된 쌀은 그렇지 않았다. 적미가 사라진 뒤에도 신성의식만은 남아 있었다. 일본에서는 세키한(赤飯: 팝밥)을 축일에 먹는데 먼 옛날 신들이 먹었던 적미의 자취라고 설명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시로타 책에 의하면 “조선반도에는 쇼와초기까지 조선미에 섞여 있는 적미가 여기저기 보인다”는 것이다. 그것은 낙동강 유역에 많다고 한다. 그 부근은 고대 미마나(任那)가 존재했던 땅이며, 또한 옛 신라가 그 세력권에 두었던 땅이기도 하다. 일본에 벼의 전래라는 과제에 있어 암시적인 느낌이 없지도 않다.
[내가 사는 가까운 곳에 정귀문(鄭貴文)이라는 친구가 살고 있다. 낙동강에 인접한 예천 사람인데 어려서 일본에 와 반세기 이상 흘러갔다. 위에서 말한 밥에 적미가 섞여 있는지 여부를 전화로 물어 보았지만 어렸기 때문에 기억하지 못한다고 한다.
내 전화 뒤에 정귀문 씨가 지인인 늙은 조선인에 물어봐주었다. 경상남도 고령 옆 거창사람인데 쇼와 9년[1934] 20대 중반에 일본에 와 지금 80세라고 한다.
“[적미가] 섞여 있었죠”라고 말하는 것이었다. 보통 쌀을 재배할 때에 야생종과 함께 섞여 온 것 같다. 적미는 열악한 환경에 강하다.
“키는 보통 벼보다 컸든 것 같고, 수염도 길고요. 겉겨는 갈색[茶色]을 드러내고 쌀알은 붉은 빛을 띠고 있고요. 아무래도 그것은 섞여 오는 것이죠. 적미를 좋아하지는 않았어요. 그것은 밥을 지을 때도 불려 지지 않기 때문에, 손해라는 것이었지요. 집집마다 적미가 섞여있어도 먹었지만 시장에서 팔 수는 없었어요. 시장에 내기 위해 논에서는 적미는 그루터기째 뽑혀버리고 말았지요.”
80세 노인의 이야기로는 흑미[黑米(쿠로고메)]도 있었던 같다. 조선어로는 흑벼[黑稻]라고 하며 이것은 맛있는 것인 듯하다. 다만 흑벼는 밥이 퍼지지 않았기 때문에 돈 있는 백성들은 제집용으로 재배했지만 보통 이하 백성들은 재배하지 않았다. 흑미에 관한 여담이다.
비교라는 것은 어려운 것이다. 자칫 메이지 이전 일본에서도 적미가 석인, 말하자면 거친 논 재배 방식을 행하고 있었던 지방이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그 여부를 알기에는 최저 120세 이상의 노인을 찾지 않으면 안 되는데 지금에는 불가능에 틀림없다.]
위의 시바의 글은 몇 가지 사실을 알려주지만 그 핵심 줄거리는 일본 쌀 자포니카 이든 자손을 많이 두기로 유명한 한국 쌀 통일벼든 그 원종은 적미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자포니카든 통일벼든 그것이 진화에 진화를 거듭해 생겨난 품종일 뿐이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쓰시마 사람들이 다이쇼 시대[1912~1926] 까지 신에게 바친 공물이 적미라는 것에서 드러난다. 물론 시바의 글에는 임나일본부와 같은 허구를 인정하는 어조가 묻어 있는 것을 무시할 순 없다. 그러나 그것은 곁가지일뿐 적미의 뿌리가 한반도 낙동강 하류의 야생종이라는 것은 달라지지 않는다. 게다가 그는 쓰시마 사람들이 받드는 텐도(天道) 신앙의 고향 역시 한반도라고 일깨운다.
◇ 김정기 교수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석사, 미국 컬럼비아대학 정치학과 대학원에서 일본 근대정치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회장, 방송위원회 위원장,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부 명예교수다.
저서로 『국회프락치사건의 재발견』(I·II), 『전후 일본정치와 매스미디어』, 『전환기의 방송정책』, 『미의 나라 조선:야나기, 아사카와 형제, 헨더슨의 도자 이야기』 『일본천황, 그는 누구인가』 등이 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