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엄격한 규율 사회와 이의 ‘달콤한 빈틈’

 https://blog.naver.com/stonzmay/223273610828

 

일본의 엄격한 규율 사회와 이의 ‘달콤한 빈틈’

https://www.kunews.ac.kr/news/articleView.html?idxno=41655

도쿄 이케부쿠로의 동쪽 상점가에 가면 형형색색의 개성 넘치는 옷을 입고 있는 사람들과 코스플레이어들이 어우러져 활기찬 분위기를 자아낸다. 일본에 처음 와 본 친구는 저렇게 화려한 옷차림을 하고 거리를 거닐 수 있다는 것 자체에 놀랐단다. 그러나 큰 도로를 건너 이케부쿠로의 서쪽으로 가 보면, 35도가 넘는 도쿄의 여름 날씨에 땀을 뻘뻘 흘리면서도 일제히 흰 셔츠에 검은 슬랙스를 챙겨 입고 퇴근하는 회사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렇듯 일본에서 엄격한 규율 사회의 면모와 무한한 개성의 면모를 함께 발견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본에서 자주 쓰이는 어구가 있다. 바로 “空気が読めない人”라는 표현이다. 간단히 “분위기를 읽지 못하는 사람”쯤으로 해석된다. 일본인이 이러한 사람들을 가장 불쾌해한다고 이야기한다. 일본인들은 사회적으로 약속된 ‘합의’에 따라 행동해 민폐(迷惑、메이와쿠)를 끼치지 않는 것을 제1의 미덕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규범을 어긴 이를 직접 지적하는 것도 꺼린다는 점. 대신 그 사람을 남몰래 ‘아웃사이더’로 단정 짓는 경우가 많기에, 일본 사회에 어우러지고자 하는 외지인은 그 암묵적 룰을 체득해 내야만 한다. 일본에서는 날씨와 연차에 관계 없이 출근을 할 때에는 완전한 양복을 입어야 한다는 불문율이 있다. 그것이 상사와 거래처에 대한 예의이고, 이를 깨는 것은 민폐라는 사고방식이 박혀 있다는 것이다. 도쿄의 샐러리맨이 모두 같은 옷을 입고 있는 이유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 한 가지를 짚고 넘어 갈 필요가 있다.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행동해야 한다”라는 제1원칙을 달리 생각해 보면, “민폐를 끼치지 않는 행위는 묵인된다”라는 의미도 된다. 일본인들은 이 ‘달콤한 빈틈’을 놓치지 않았다. 이 빈틈을 벌리자 쏟아져 나온 것들이 일본의 서브컬쳐(サブカルチャー)이다. 애니메이션, 캐릭터 산업과 코스프레 등으로 대표되는 서브컬쳐가 일본의 전통적 규율과 상이한 것처럼 보여도, 그 근간은 일본의 독특한 색채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주중에 열심히 돈을 번 샐러리맨도 주말에는 양복을 벗어 던지고, 개성을 표현하며 온전한 자신만의 취미를 즐기는 ‘소확행’의 삶. 이러한 도쿄 라이프의 즐거움도 ‘달콤한 빈틈’에서 유래하는 것일지 모른다.

=======

++

최근에 양복 대신 단정한 비즈니스 캐주얼을 착용하는 회사도 늘고 있다고는 함

단 채용 시에 피면접자는 반드시 리쿠르트슈트라는 검은 정장만을 입어야 한다는 불문율이 있는 것도 그렇고

'공적인 상황'에서 복장에 대한 규율이 여러모로 엄격한 사회인 것은 확실한 듯하다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