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운 "창조적 시선" 정리 2
원근법과 소실점, 그리고 직선. - 객관성. 서구 근대주의의 시발점.
2차 산업혁명의 원인=영국 우연론 vs 필연론
1. 장자상속제
2. 낮은 선탁가격과 세계석탄생산량 90%
3. 낮은 농업생산성 -> 높은 식량가격 -> 높은 임금 -> 기계의 도입유도
동양과 정반대.
4. 산업계몽주의.
베이컨의 영향, 편지공화국 (15세기~산업혁명시기 소멸), 17세기 중반의 그랜드투어 (영국), 잡지의 대중화 (1665년 프랑스 파리에서 시작되어, 18세기 중반 대중화) - 사제계급의 지식권력 독점 해체와 고대인들과의 투쟁 위해.
The Needham Puzzle
동양의 창조성 개념: 전통의 계승/회귀
서양: 무에서 유의 창조. 신이 7일만에 세계를 창조했듯이.
20세기 해체주의
https://blog.naver.com/strategicvision?Redirect=Log&logNo=220855148847&from=postView&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 창조성와 구성주의: 구글 앤그램뷰어 20세기초부터 급격한 속도로 증가.
- 사진의 발명 이후
1) 추상화 - 큐비즘 - 피카소
2) 인상주의 - 고흐, 고갱, 모네, 세잔, 드가
자포니즘 (우키요에의 조감도) / 재현의 대안적 가능성 1) 인물이 화면 중심 x 2) 선명한 색채와 밝은 화면 3) 뚜렷한 명안 대비 4) 조감도. 후키누키야와이. 천장과 벽 해체. 이야기와 이야기 사이 구름으로 경계 구분.
김정희의 세한도 등 동양회화는 한 화면에 2개 이상 관점 포함multiple perspectives
3) 독일 표현주의 (다리파, 청기사파, 제체시온-카시러 덕에 고흐의 명성 퍼짐. 괴테 후원자는 카를 아우구스트 대공)
4) 타틀린의 러시아 구축주의: 재료강조
5) 데스틸의 신조형주의 - 사각형에 집착. (두스부르흐, 몬드리안)
5) 구성주의: 심리학, 교육학에서 개인의 주관성 강조
6) 러스킨의 미술공예 운동 -> 프랑스 아르누보, 독일 유겐트스틸로 발전
보티첼리의 재발견
7) 음악과 미술의 결합: 클레, 칸딘스키
대상적 창조와 메타적 창조 (Meta-Kreativotat))의 구분
메차적 창조의 사례들
1) 잡스와 워즈니악 -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연주자의 관계
2) 피카소 - "위대한 예술가는 훔친다"
사물을 다양한 시점에 그려넣는 세잔의 방법도, 아프리카 전통 조각이나 가면도.
3) 카라얀: 단순히 위대한 지휘자가 아닌 시각과 청각의 편집자. 최초의 MV인 퀸의 보헤미안 랩소디 (1975) 이전인 1967년에 오페라 carmen을 비롯한 여러 편의 오페라/연주회를 뮤직비디오로 제작.
4) 대영 박물관, 파리 만국박람회
5) 지식의 분류. 베이컨과 린네의 귀납적 분류법.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의 등장과 지식인의 출현.
6) 백화점 대 편집숍 (계층적 vs 네트워크적)
7) 바우하우스: 고급예술+저급예술, 순수회화+공방공예, 실용성+추상성의 결합
회화, 공예, 조각, 건축이 에디톨로지
8) 제 1차 지식혁명: 기술과 과학의 통합
제 2차 지식혁명: 기술과 예술의 통합 (바우하우스~스티브 잡스의 애플)
9) 바그너의 음악극: 음악, 문학, 미술, 무용, 건축의 총망라. 종합예술Gesamtkunstwerk
이 개념의 최초 사용자였던 셸링: "신이 자연을 창조한 것처럼 인간도 종합예술을 창조해야 한다."
백남준 - "게임을 이길 수 없다면 규칙을 바꿔야 한다."
바그너는 이탈리아, 프랑스의 오페라와의 게임에서 승리할 새로운 '규칙'을 들고온 것.
창조는 편집이다.
편집이 가능하려면 편집의 재료가 다양해야한다. 미국이 여전히 강한 이유는 바로 이 편집의 재료가 아주 다양하기 때문이다. 잡종성은 포기하는 순간 미국의 리더십은 끝난다.
중국이 미국을 이길 수 없는 이유는 인구를 무기로 협박해도...
기준의 결정은 권력의 문제
- 본초자오선 결정은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가 있는 곳으로 미국 워싱턴 DC에서 1884년 10월 13일 결정됨
- 미국과 영국이 고수하는 야드파운드법 vs 프랑스의 미터법
- 국제법
- 다보스포럼의 4차 산업혁명 용어선점
- QS, 미슐랭
프로이센과 독일이 일본, 한국에 끼친 영향
1) 일본, 한국의 교복 문화
2) 군대 기수, 군악대, 밴드부 악습
3) 제식 강조/정신성 강조
4) 일본 문고판의 원류는 독일 Taschenbuch
5) 교양bildung이라는 단어. 일제국주의 대학의 데칸쇼 교양
교양학부의 기원. 일본 도쿄대 독일어 교양 본따서.
도쿄대 초대 총장 지낸 가토 히로유키는 1870년 메이지 왕의 개인강사 되어 독일 국가학을 전수.
Nation을 민중 (이후 다른 학자들에 의해 민족으로 번역됨), Volk를 국민으로 번역.
6) 일본, 한국의 법학, 의학.일본 의사들은 원래 영어 대신 독어를.
7) 작전참조제도와 대본영. 육군 위주의 정책들. 1889년부터 일본에서 시행된 참모본부의 (통수권의) 독립권 역시 프로이센에서 따온 것.
8) 프로이센 '기억의 도구'인 동상 -> 일본 제국주의 동상 건립에 영향
9) 일본 학제. 도쿄대는 1877년 개교했는데, 설립초기 프랑스학제 모방했으나 1880년대는 독일 대학 제도를 모방.
10) 1874년 설립된 일본 육군사관학교의 전신인 1869년 설립된 오사카병학료는 프랑스군 모델로 하였으나, 1871년 보불전쟁 이후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1882년 프로이센 스타일을 따르는 육군대학교 설립. 1884년에는 메켈소좌를 교관으로 파견.
11) 1888년 작곡된 일본 기미가요, 대한제국 애국가 모두 프로이센의 에케르트가 작곡.
12) 하우스호퍼의 라벤스러움Lebensraum -> 대동아공영권으로 발전
(오늘날의 시진핑의 일대일로나 일본의 아베노믹스를 국제투기자본이 설계한 것과 비슷.)
바우하우스의가 인류에 끼친 영향
1) 아파트 (반 데 벨데, 르코르뷔지에)
2) 애플 디자인 (발터 그로피우스와 르코르뷔지에 -> 브라운 디터 람스 -> 애플의 수석 디자이너 조너선 아이브)
3) 미니멀리즘
4) 이상의 건축무한육면각체는 바우하우스와 르코르뷔지에의 육각면체 건축 (유니테 다비타시옹 같은)에 대한 비유이고, 오감도의 까마귀는 "까마귀 같은 사람"을 뜻하는 르코르뷔지를 지칭할 가능성이 높음.
5) 르보르뷔지에 옥상정원 -> 일본의 백화점 옥상들
영국이 일본에 끼친 영향
- 이토 히로부미가 영국 은행 융자받아 1872년 10월 14일 도쿄 신바시 요코하마를 잇는 최초의 철도 건설.
- 일본 철도 협궤 : 영국 식민지 적용방식에 따라 좌측.
- 일본도로 좌측통행, 지하철 및 도보이동도 좌측으로.
좌측으로 걷는 게 사무라이 문화라는건 웃기는 것.
일본이 세계에 끼친 영향
1) 우키요에의 조감도. 후키누키야와이. 천장과 벽 해체. 이야기와 이야기 사이 구름으로 경계 구분.
-> 일본 망가의 기원
2) 아파트 조감도. 이것을 건축에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르코르뷔지에.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