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의 색깔과 행동을 변화시키는 기생충 Myrmeconema neotropicum (머메코네마 네오트로피쿰)을 통해 생각해보는 진화론의 허무맹랑함


진화충들은 생명의 기원을 진화론 하나로 단순하게 설명할 수 있다고 믿는 것 같은데, 나는 그들의 멍청함과 폐쇄성에 종종 경악을 하곤 한다. 


일례로, 머메코네마 네오트로피쿰 같이 인간의 눈으로 볼 때는 지극히 하등한 기생충이 복잡한 과정을 거쳐 자신이 숙주로 삼은 개미의 배를 레드베리의 색깔로 변환시키고, 개미의 행동을 조종해서 움직임을 느리게 만들며, 공격성을 약화시키고, 붉은 배를 부자연스럽게 보일 정도로 하늘을 향해 치켜세워, 마침내 (개미를 과일로 착각한) 새에게 먹힘을 당하고 그 안에서 유충을 낳는 과정을 도대체 어떻게 진화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단 말인가?


"기린의 목이 짧은 애들이 있고, 긴 애들이 있었는데, 긴 애들이 생존에 유리해서 긴 애들의 유전자가 널리 퍼뜨려졌고, 짧은 애들은 자연선택의 과정을 거쳐 도태되었다"는 류의 진화충들의 소설은 그럴듯하게 들리고 수긍도 가지만, 머메코네마 네오트로피쿰 정도로 하찮은 지능을 갖고 있으면서도, 고도의 계산된 행동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개체들의 존재는 당최 어떻게 설명할 건가?

 

당연히 머메코네마 네오트로피쿰의 지능이 이런 행동들을 의식적으로 할만큼 높지는 않을테니 (게다가 개미의 몸 속에서 외부세계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초능력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다), 진화론적으로 생각해보면 이 모든 과정은 반드시 기계론적 자연선택의 산물이었을 것이다.

 

즉, 머메코네마 네오트로피쿰의 선조들 중에 아주 우연찮게 개미의 몸에 잠입해서 개미의 배를 붉게 만든 개체들이 있었는데 (당연히 의식적으로 레드베리의 형태로 만들어 새에게 잡아먹힐 요령으로 그런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일부 개체들은 빨간색 뿐 아니라, 주황색, 보라색, 파란색 등 각기 다른 색깔들로 개미의 복부를 변화시켰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아주 우연찮게 개미의 행동을 느리게 만든 개체들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아주 우연찮게 개미의 공격성을 약화시킨 개체들이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아주 우연찮게 개미의 붉은 배를 부자연스럽게 보일 정도로 하늘을 향해 치켜세운 개체들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아주 우연찮게 새들에게 먹힌 개체들이 있었는데, 이들이 생존에 가장 유리한 개체가 되어 유전자를 널리 퍼뜨리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진화론에서는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을 부정하는 바, 이 모든 기막힌 행동들은 학습된 결과가 아니라, 각각의 단계에서 점진적인 자연선택이 일어나 보편화된 결과일 게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주 러프하게 예를 들면 이렇다.

 

- 1단계: 개미의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 vs 개미의 배를 파랗게 만드는 개체들

개미의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이 생존에 더 유리하다는 것이 자연선택 과정에서 증명되어 더 많이 개체수가 퍼져나갔다. 그런데 왜 하필 붉게 만드는 개체들일까? 딱히 설명은 되지 않는다.

 

- 2단계: 개미를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 중 개미를 더 느리게 조종한 개체들 vs 개미의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 중 개미를 더 빠르게 조종한 개체들

개미의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 중 개미를 더 느리게 조종한 개체들이 생존에 더 유리하다는 것이 자연선택 과정에서 증명되어 더 많이 개체수가 퍼져나갔다. 그런데 왜 하필 개미를 느리게 조종한 개체들일까? 딱히 설명은 되지 않는다.

 

- 3단계: 개미의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 중 개미를 더 느리게 조종한 개체들 중 개미의 공격성을 약화시킨 개체들 vs 개미의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 중 개미를 더 느리게 조종한 개체들 중 개미의 공격성을 유지시킨 개체들

개미를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 중 개미를 더 느리게 조종한 개체들 중 개미의 공격성을 약화시킨 개체들이 생존에 더 유리하다는 것이 자연선택 과정에서 증명되어 더 많이 개체수가 퍼져나갔다. 그런데 왜 하필 개미의 공격성을 약화시킨 개체들일까? 딱히 설명은 되지 않는다.


- 4단계: 개미의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 중 개미를 더 느리게 조종한 개체들 중 개미의 공격성을 약화시킨 개체들 중 개미의 붉은 배를 부자연스럽게 보일 정도로 하늘을 향해 치켜세운 개체들 vs 개미의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 중 개미를 더 느리게 조종한 개체들 중 개미의 공격성을 약화시킨 개체들 중 개미의 붉은 배를 드러내지 않은 개체들

개미를 배를 붉게 만드는 개체들 중 개미를 더 느리게 조종한 개체들 중 개미의 공격성을 약화시킨 개체들 중 개미의 붉은 배를 부자연스럽게 보일 정도로 하늘을 향해 치켜세운 개체들이 생존에 더 유리하다는 것이 자연선택 과정에서 증명되어 더 많이 개체수가 퍼져나갔다. 이제야 비로소 설명이 된다. 전자의 경우, 새들에게 잡아먹혀 기생충 알을 번식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행하는 과정 1, 2, 3단계에서는 그 특정한 과정들이 왜 자연선택에서 특별히 유리했는가를 명쾌하게 설명할 수가 없다.

 

물론 실제로는 이보다 베리에이션이 훨씬 더 많았겠지만, 논의의 간소화를 돕기 위해 이 정도로만 줄였다.

 

내 말의 요지는, 이런 식으로 모든 현상들을 억지로 끼워맞추기 시작하면, 과학적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이다.

 

아로가 보기에 이 모든 것을 자연선택의 산물, 우연의 산물로 치부하기에는 머메코네마 네오트로피쿰의 행동 양식은 지나치게 계획적이고, 지나치게 정교하며, 지나치게 복잡해보인다. 내가 직접 계산해본 것은 아니지만, 수학적으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경우의 수를 계산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진화충들은 좀처럼 상상력이 없는 얼간이들이기 때문에 10의 68제곱의 확률로 성립되는 현상이라도, "진화론은 매우 긴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얼핏 보기에는 설명이 어려운 현상들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고 떠들 수 있는 것이다.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긴 시간 ㅡ 그것이 진화론의 난제들을 아주 간단하게 해결시켜주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사실 어쩌면 그것은 과학자들의 무능과 상상력의 결핍을 뜻할 뿐인 것인지도 모른다.

 

아로가 보기에 머메코네마 네오트로피쿰의 행동 양식을 설명하는데에는 진화론보다 훨씬 간단하면서도 명쾌한 방법이 있다: 즉, 그것이 본디 개미의 복부를 붉게 변화시키고, 새에게 잡아먹히게 행동하도록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이것은 물론 정통과학이라기보다는, 다소 형이상학적이고 목적론적인 사고방식의 산물이다.

 

 



https://blog.naver.com/reading0365/221352447203



Ephalotes atratus 는 남미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개미 종이며, 대게는 나무 위에서 서식한다.




높은 곳에서 살다보니 특별한 능력이 있다. Gliding ant 라고도 불리는 데. 나무에서 떨어지면 수직낙하 하는게 아니라, 세쌍의 다리를 낙하산 처럼 펼치고, 나무 방향으로 몸을 틀어 나무에 안착하는 신기한 개미이다.

여왕과 일개미, 병정개미로 구분되고, 여왕과 병정개미는 유사한 머리 형태를 공유한다.

병정개미는 큰 머리로 둥지 입구를 막는데, 침입자를 막는데 효율적이다.


 

 

Myrmeconema neotropicum는 열대개미의 일종인 Cephalotes atratus 를 숙주 삼아 종족 번식을 하는 기생충이다.

암컷은 길이가 약 1000 μm이고 가장 큰 너비가 약 112 μm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2/3 정도로 작다.




이 열대개미의 생활사에 대해 알아보자.


새가 감염된 개미를 먹는 경우 기생충 Myrmeconema neotropicum의 삶이 시작된다.

기생충은 소화기관에서 소화되지 않고, 새의 배변과 함께 기생충 알이 배설된다.

새들의 영양소가 많은 배설물을 일개미들이 가져올때, 이 알들이 함께 딸려오게 되고,

유충에게 먹이면, 기생충 알은 애벌레의 위장을 지나, 배쪽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부화하여 자라기 시작한다.




개미 유충이 번데기가 될때 쯤에, 기생충은 성충이 되어 짝을 찾아 번식하게 되는데,

수컷 기생충은 짝짓기 후에 죽게되고, 암컷은 몸 안에 알이 성숙하게 된다.

감염된 어린 개미가 고치를 뚫고 나오면, 처음에는 정상 개미 처럼 검은 배를 가지지만

후에 기생충의 알이 완전히 성숙하게 되면, 배가 반투명해지고, 기생충의 붉은 알이 보이게 된다.


감염된 어린 개미는 초기에는 애벌레를 기르는 등 둥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

그러나 기생충 배아가 알로 발달함에 따라, 개미 배는 궁극적으로 밝은 빨간색으로 변하게 된다.





기생충은 개미의 행동 또한 변화시키는데, 정상 개미보다 움직임이 느려지고 공격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붉은 배를 부자연스럽게 보일 정도로 하늘로 향해 치켜세운다.

일반적으로, 열매를 먹는 새들은 딱딱한 껍질과 역겨운 맛 때문에, 이 개미를 먹지 않는데

감연된 개미의 붉은 배를 레드베리로 착각하여 먹게 되고,


 

개미를 먹은 새들은 항공운송수단이 되어 열대우림을 비행하며 미래의 식민지가 될 개미집에 기생충의 알을 퍼뜨리는 역할을 한다.

 




사진출처

Wiki author : graham wise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ephalotes_atratus_(17092626544).jpg

Wiki author : graham wise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ephalotes_atratus_(17712690972).jpg

Wiki author : josve05a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ephalotes_atratus_(18419740775).jpg

Wiki author : Grahama wise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ephalotes_atratus_(16055713482).jpg

Wiki author : eduardo estrada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ephalotes_Atratus.jpg

Flickr author : pavel kirillov - https://flic.kr/p/oUnnkw

Flickr author : Célio Moura Neto - https://flic.kr/p/9xeDbq

Flickr author : Robert Schillinger - https://flic.kr/p/9LqXfv


번역 및 정리 : 호랭이신사 님 todayhumor.com/?science_61775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