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헨드릭 하멜과 하멜 표류기, 그리고 박연 / 하멜 일행을 괴물로 여겼던 조선인들 / 하멜 일행을 측은하게 느껴 잘해주었던 승려들 / "확 일본으로 배타고 달아나는 게 어떻겠냐"며 하멜 일행에게 탈출을 종용했던 전라 좌수사 이도빈 / 메마른 내용들로 가득한 표류기의 내용들 중 이상하리만치 감정이 실려있는 부분은 아마도 조선여자와 결혼해 아이까지 있던 하멜 일행에게 정부가 떠나라고 재촉했기 때문으로 추정 됨 / 하멜 일행 중 최연소였던 아이는 네덜란드보다 조선에 산 시간이 더 길었고, 네덜란드 언어를 다 까먹어서 네덜란드 귀국 후 다시 네덜란드어를 공부해야했다 / 조선에게 네덜란드를 일본의 속국으로 묘사하고, 네덜란드에게 조선과의 무역을 하면 관계를 끊겠다고 하여, 중계무역에서의 실리를 계속 취하려고 했던 에도막부 / 극한직업이었던, 막장인새들의 집결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 하멜보다 30여년 앞서 조선에 와서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고, 벼슬도 받으며, 완전히 정착했던 박연 - 하멜 표류기에서는 오로지 사무적인 얘기만 나눈 것처럼 되어 있다. 그러나 윤행임이 지은 <석재고(碩齋稿)>에 따르면 벨테브레이가 하멜 일행을 처음으로 만난 뒤 숙소에 돌아와 '소매가 다 젖도록 울었다'고 한다. 하멜로서는 표류하고 나서 얼마 안 지나서 만난 '이역만리에 사는 네덜란드 사람' 정도였겠지만 벨테브레이로서는 수십 년 만에 만난 동포였으니 감회가 남달랐을 것으로 보인다. / 박연은 이역만리에서 몇 남지 않은 동료를 잃고 영영 고향을 볼 수 없게 된 그리움은 컸던 모양인지, 하멜표류기에 따르면 인조에게 일본으로 갈 기회를 여러 번 요청했으나 거절당해 결국 포기했다고 한다.

매우 넓은 영토지만, 왕 귀족 평민 가릴 것 없이 큰 집이 별로 없고, 무역에 몰빵했던 인더스 문명; 오늘날의 역사학계의 정설로는 아리안족이 인더스문명을 멸망시킨 것이 아니라, 인더스문명은 기후변화로 자멸했다; 고고학적으로, 아리안족과 전쟁을 했던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아리안족이 인더스문명을 장악했고, 이들이 오늘날의 백인들의 조상이 되었다는 영국식/히틀러식 백인우월주의는 서구 제국주의를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했을 뿐이다

300~400년 전으로만 가도 한국인들끼리 말이 안 통한다; 다만 언어의 맥락적인 특성을 고려했을 때, 몇개월 정도 같이 지내면 조선시대, 고려시대 사람과 현대 한국인들은 쉽게 대화할 수 있게 될 것; 실크로드 기록에 언어가 안통해 장사를 못했다는 구절은 나오지 않는다 / 고려청자보다 백자가 굽는 온도부터 다르고, 더 만들기가 힘들다 / 고려청자는 사실 파란색이 아니라 비색 / 고려청자의 한자어 청은 회교 (이슬람교) 할 때의 회회청 / 푸른색은 아프가니스탄 청금색이 원료라 매우 희소가치가 높고 비싸다 - 고대 이집트, 이슬람을 통해 전파된 코발트 블루 / 개성사람 탄압하고, 불교를 억눌렀던 조선; 삼강행실도를 보면 정몽주는 담벼락 아래 떨어져 죽었다 / '이단'을 만든 조선시대 성리학 / 도봉서원 터를 파보면 불교 사찰로 가득

이씨 성을 가진 조선시대 유학자들만 그득한 한국의 퇴행적인 지폐 / 유물과 파라오들로 채워진 이집트 지폐 / 소설가, 예술가가 많이 등장하는 스웨덴의 지폐 / 한국의 성씨와 족보문화를 시작하고, 오늘날의 표준말을 만든 고려 왕건은 10만원 지폐에, 강감찬은 5만원 지폐에 적합하다 / 원주민을 미개하게 묘사한 아포칼립토와 인디아나 존스 / 풍뎅이 같이 생긴 쇠똥구리를 신성한 존재가 아닌 혐오스런 존재로 표현하고, 미라를 공포의 존재로 만들어 고대 이집트 역사를 왜곡했던 미이라 / 무슬림을 왜곡한 킹덤 오브 헤븐 / 기황후의 역사 왜곡 / 몽골의 유목민의 정착민과 결합하여 제국을 만든 역사의 선모델이었던 거대한 거란 제국을 한국사는 오랑캐로 폄하하고 있다 / 남녀차별 없이 상속해주고, 재혼도 빈번했으며, 왕의 동성애에도 어느정도 관용적이었던 개방적인 고려사회 - 한국은 90년대 민법에서 동성동본 혼인이 금지되었고, 상속법에서 장남 2, 차남 1, 차녀 1 비율로 상속받게 하는 등 (그마저도 결혼한 차녀에게는 0.25만 주었다) 오늘날 한국인들이 미개하다 여기는 무슬림 사회의 성차별적 인식과 별 다를 바 없었다 / '장가간다' (장인의 집에 간다)는 고려시대의 문화, '시집간다'는 조선시대의 문화 / 신사임당은 남편이 '장가'간 탓에 친정에서 편하게 지낸 여성이고, 허난설헌은 시집가서 고생한 케이스 / 한국 문화의 강점이 콘텐츠에 있는 만큼, 러시아나 기타 다른 나라의 화폐처럼, 한국 지폐도 한글이나 음악을 상징화한 형상을 넣으면 좋을 듯; 다만 이것은 '라떼 세대'들이 죽고 난 뒤에야 가능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