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와 임마누엘 칸트, 현대과학의 인과율 / 현대과학의 한계는 목적의 인과를 배제하고 물질의 인과에만 집중한다는 것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그리고 현대과학인과율(因果律) 개념은 겉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철학적 전제와 세계관이 매우 다릅니다.
이들은 각각 형이상학적, 초월론적, 경험과학적 관점에서 인과를 바라봅니다.


🔷 1.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율: 형이상학적·목적론적 인과율

아리스토텔레스는 네 가지 인과(four causes) 개념을 통해 인과를 포괄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인과 종류설명예시 (조각상)
질료인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대리석
형상인무엇이 되려고 하는가 (형태, 본질)인간의 형상
작용인누가 또는 무엇이 만들었는가조각가
목적인왜 만들어졌는가 (목적, 목적론)미적 감상을 위해

👉 그는 목적론적 인과율을 중시했고, 자연물조차 일정한 목적(telos)을 향해 나아간다고 봤습니다.
예: 씨앗은 본성상 나무가 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 핵심: 인과란 단순한 물리적 연결이 아니라, 사물의 본성적 목적까지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 2. 칸트의 인과율: 현상계 안에서의 인식 조건

칸트는 아리스토텔레스처럼 존재 자체의 본성에서 인과를 찾지 않고,
우리 인식 주체가 세계를 구성하는 방식에서 인과를 설명했습니다.

  • 인과율은 자연의 본질이 아니라, 인간 인식의 범주 중 하나.

  • **경험 세계(현상계)**에서 사건이 인과적 질서로 파악되는 것은
    우리가 그렇게 인식할 수밖에 없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

예를 들어: "하늘이 흐리면 비가 온다"는 식의 인과성은 우리 인식 구조의 필연성이지,
**물자체(사물 자체)**의 속성은 아니다.

🎯 핵심: 인과율은 ‘사물 자체’의 법칙이 아니라, ‘현상을 인식하는 방식’에 내재한 구조이다.


🔷 3. 현대과학의 인과율: 경험적·수학적·확률적 인과율

현대 과학은 아리스토텔레스처럼 목적이나 본질을 다루지 않고, 칸트처럼 선험적 인식 구조도 인정하지 않습니다.
대신, 경험적 데이터수학적 모델을 바탕으로 인과적 설명을 합니다.

현대 과학의 인과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특징설명
작용인 위주질료·형상·목적 인과는 배제하고, **물리적 작용(원인-결과)**만 다룸
예측 가능성원인과 결과가 수학적으로 표현되어 실험과 예측이 가능해야 함
확률성양자역학 이후, 결과는 확률적으로만 예측 가능함 (ex. 입자의 위치)
통계적 인과완벽한 결정론 대신 인과적 상관관계통계적 설명에 기반

🎯 핵심: 인과는 수학적 모델링과 예측 가능성에 의거한 경험적 법칙성이다.
목적도, 본질도, 선험적 범주도 배제된다.


📊 비교 요약표

항목아리스토텔레스칸트현대과학
인과의 범위질료, 형상, 작용, 목적작용인 중심 (인식 범주)작용인 중심 (물리적 원인)
목적론 인정OXX
인과율의 근거사물의 본성과 목적인간 인식 구조경험적 관찰과 수학적 모델
자유와의 관계목적론 안에서 조화자유는 현상 밖(물자체)자유는 잘 다루지 않음 (자유 의지는 철학/신경과학 영역)
양자역학 대응해당 없음해당 없음결정론 → 확률론적 인과로 수정됨

✅ 정리 요약

  • 아리스토텔레스: 인과는 목적과 본질을 포함하는 형이상학적 설명 체계이다.

  • 칸트: 인과는 자연의 본질이 아니라, 우리가 세상을 경험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하는 범주이다.

  • 현대 과학: 인과는 경험적 관찰을 기반으로 한 수학적 법칙, 주로 물리적 작용인 중심이며, 확률적 해석까지 포함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