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투기자본과 이라크, 그리고 사담 후세인 2: 이라크를 지배했던 하심 왕가와 누리 알 사이드 총리는 친영, 친서방 노선을 추구했다; 영국/프랑스의 패배 및 미국/소련/이집트의 승리로 끝난 제2차 중동전쟁 발발 2년 뒤인 1958년, 이라크 군부대 장교였던 압둘카림 카심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붕괴시키고 하심 가문의 파이살 2세를 살해한다 (영국 영토였던 이라크를 빼앗기 위해 미국 록펠러-CIA가 개입한 것일 개연성이 크다); 카심이 1959년 즈음부터 소련에 붙으려고 하자 (그 전까지 이라크는 미국과 소련 사이의 완충지대buffer state였음), 1963년 CIA는 쿠데타를 통해 그를 암살시킨다; 이후 BP/벡텔 등 록펠러계 기업들이 이라크 정권에서 암약하고, CIA는 1968년 다시 한번 쿠데타를 일으켜 사담 후세인 일당에게 권력을 몰아준다; 당대 미국 정가의 기류를 보면, 린드 B. 존슨과 리처드 닉슨 정권은 반공을 표방했던 바트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손자이자 CIA 고위 간부를 지낸 Archibald Roosevelt가 그 연락책이었다; 1959년에 일어난 압둘카림 암살 미수사건을 후세인의 업적으로 포장한 이라크의 1980년 프로파간다 영화 Al-ayyam al-tawila는 뜬금없게도 007 제임스 본드 시리즈를 제작한 Terence Young가 감독을 맡았다;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미국과 CIA는 후세인에게는 인공위성 기술을 제공하고, 이란에게는 이스라엘을 통해 무기를 사들여 자금을 제공하는 등 (이란-콘트라 사건 당시 이란 팔레비 왕조와 이스라엘은 사이가 좋았다) 양면작전을 펼쳤다; 사담의 이라크는 미국 외에도 서유럽, 이집트에서 화학 무기를 수입했다; 1980년의 이란 이라크 전쟁은 보통의 중동전쟁과 다르게 유가를 올린 게 아니라 하락시켰는데, 표면적인 설명은 이란과 이라크가 재정난에 석유를 헐값에 팔아 원유 가격이 안정되었다는 것이지만 (그 덕을 한국의 전두환 정권도 본다), 실은 이라크의 석유 수출 중단에도 OPEC이 여분의 석유를 보관했기에 가능했고, 무엇보다도 1979년 소련을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과의 전쟁에 끌어들인 CIA가 소련으로 하여금 전쟁을 지속시키기 위한 유인책으로서 저유가를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1980년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몰래 개입해서 질질 끌게 만들었던 (그럼으로써 레이건 당선에 기여했던), 데이비드 록펠러의 CIA 연락책, Miles Copeland는 1980년대 중반에도 바트당이 CIA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CIA는 소련 편에 붙었던 이집트의 나세르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고 그는 밝혔다); 1990년 7월에는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 일주일 전에 아랍어가 유창한 여성인 주쿠웨이트 미국대사가 후세인과 면담하는 자리에서 "미국은 아랍의 분쟁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미국 석유회사들의 이익을 위해) 중동의 유가가 높아지기를 바란다"고 말하면서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을 유도한다; 미군은 사실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이전부터 이라크의 침공을 대비한 훈련을 하는 중이었다; 9.11 11년 전인 1990년 9월 11일, 조지 H.W. 부시는 그 유명한 '신세계질서' 연설을 한다; 국제투기자본의 후세인 제거 및 이라크 전쟁의 목적 (1) 아라비아에 미군 주둔시키기 (2) 테러리즘을 '가상 적'으로 하는 세계질서의 창조 및 자신들의 정체 위장 (3) 미 군수산업체와 공화당의 이익 증가 (4) 중동 위기를 통한 유가 조정 (주로 고유가를 통한 석유회사 이익 창출)
.
국제투기자본과 이라크, 그리고 사담 후세인 2: 이라크를 지배했던 하심 왕가와 누리 알 사이드 총리는 친영, 친서방 노선을 추구했다; 영국/프랑스의 패배 및 미국/소련/이집트의 승리로 끝난 제2차 중동전쟁 발발 2년 뒤인 1958년, 이라크 군부대 장교였던 압둘카림 카심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붕괴시키고 하심 가문의 파이살 2세를 살해한다 (영국 영토였던 이라크를 빼앗기 위해 미국 록펠러-CIA가 개입한 것일 개연성이 크다); 카심이 1959년 즈음부터 소련에 붙으려고 하자 (그 전까지 이라크는 미국과 소련 사이의 완충지대buffer state였음), 1963년 CIA는 쿠데타를 통해 그를 암살시킨다; 이후 BP/벡텔 등 록펠러계 기업들이 이라크 정권에서 암약하고, CIA는 1968년 다시 한번 쿠데타를 일으켜 사담 후세인 일당에게 권력을 몰아준다; 당대 미국 정가의 기류를 보면, 린드 B. 존슨과 리처드 닉슨 정권은 반공을 표방했던 바트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손자이자 CIA 고위 간부를 지낸 Archibald Roosevelt가 그 연락책이었다; 1959년에 일어난 압둘카림 암살 미수사건을 후세인의 업적으로 포장한 이라크의 1980년 프로파간다 영화 Al-ayyam al-tawila는 뜬금없게도 007 제임스 본드 시리즈를 제작한 Terence Young가 감독을 맡았다;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미국과 CIA는 후세인에게는 인공위성 기술을 제공하고, 이란에게는 이스라엘을 통해 무기를 사들여 자금을 제공하는 등 (이란-콘트라 사건 당시 이란 팔레비 왕조와 이스라엘은 사이가 좋았다) 양면작전을 펼쳤다; 사담의 이라크는 미국 외에도 서유럽, 이집트에서 화학 무기를 수입했다; 1980년의 이란 이라크 전쟁은 보통의 중동전쟁과 다르게 유가를 올린 게 아니라 하락시켰는데, 표면적인 설명은 이란과 이라크가 재정난에 석유를 헐값에 팔아 원유 가격이 안정되었다는 것이지만 (그 덕을 한국의 전두환 정권도 본다), 실은 이라크의 석유 수출 중단에도 OPEC이 여분의 석유를 보관했기에 가능했고, 무엇보다도 1979년 소련을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과의 전쟁에 끌어들인 CIA가 소련으로 하여금 전쟁을 지속시키기 위한 유인책으로서 저유가를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1980년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몰래 개입해서 질질 끌게 만들었던 (그럼으로써 레이건 당선에 기여했던), 데이비드 록펠러의 CIA 연락책, Miles Copeland는 1980년대 중반에도 바트당이 CIA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CIA는 소련 편에 붙었던 이집트의 나세르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고 그는 밝혔다); 1990년 7월에는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 일주일 전에 아랍어가 유창한 여성인 주쿠웨이트 미국대사가 후세인과 면담하는 자리에서 "미국은 아랍의 분쟁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미국 석유회사들의 이익을 위해) 중동의 유가가 높아지기를 바란다"고 말하면서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을 유도한다; 미군은 사실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이전부터 이라크의 침공을 대비한 훈련을 하는 중이었다; 9.11 11년 전인 1990년 9월 11일, 조지 H.W. 부시는 그 유명한 '신세계질서' 연설을 한다; 국제투기자본의 후세인 제거 및 이라크 전쟁의 목적 (1) 아라비아에 미군 주둔시키기 (2) 테러리즘을 '가상 적'으로 하는 세계질서의 창조 및 자신들의 정체 위장 (3) 미 군수산업체와 공화당의 이익 증가 (4) 중동 위기를 통한 유가 조정 (주로 고유가를 통한 석유회사 이익 창출)
https://www.youtube.com/watch?v=asYy-8a4OQ8
하지만 이후 영국군에게 포로로 잡혀, 아랍 대봉기 당시 전향하여, 파이살 1세 휘하에서 싸웠다. 이후에는 잠시동안 아라비아의 로렌스로 유명한 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의 운전사가 되었다. 이후에는 파이살 1세휘하에서 있었던 다른 사람들처럼, 새로운 정치 엘리트가 되었다.
이 조약은 명목상 이라크 내정에 대한 영국의 개입을 어느 정도 줄였지만, 이 조약은 이라크가 영국의 경제적 또는 군사적 이해관계와 충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졌다. 이 협정은 위임통치령이 1932년에 막을 내림에 따라 명목상으로 이라크 왕국의 독립으로 이어졌다. 당시 이라크는 라시드 알리 알 가일라니와 같은 반 영국, 민족주의를 외치는 정치인들과 국민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누리는 반대로 영국의 이라크에 더욱 개입을 유리하게 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래서 국민들의 지지가 매우 낮았다.
친영국 정책 때문에 적이 너무 많았던 누리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인물이었고 한번은 라시드 알리 알 가일라니의 쿠데타 때문에 탈출, 두번째는 압둘 카림 카심의 쿠데타 때문에 이라크를 탈출해야 했다.[4] 총리 재직 내내 여러 실책으로 매우 인기가 없었다. 친영국적인 그의 정책은 이라크의 변화된 사회 상황에 적응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라크 빈곤과 사회적 불의가 만연했고 누리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부유층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탄압의 길을 택한 정권의 상징이 되었다. 전국 각지, 특히 이라크 남부의 도심 지대를 중심으로 많은 시위가 일어났고, 이 때마다 계엄령을 선포하여 폭압적으로 진압했지만 갈수록 누리의 권력은 약화되었다. 1957년 2월에는 누리 정권에 대항하는 야권이 국가연합전선을 설립했고, 군부에서도 자유 장교단 최고위원회가 결성되어 누리 정권에 반대하였다.
누리와 이라크 왕실은 같은 하심 가문에 속한 요르단과 이라크-요르단 아랍 연방[5]을 결성했고 누리는 이 새로운 연방에 초대 총리로 취임했다.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이라크 왕정과 누리의 삶과 함께 연방은 붕괴되어 버린다.
로사리오 피사니 프랑스군 대위(파이살 1세 뒤), 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 영국군 대령, 미확인 (파이살 1세의 노예로 추정), 타신 카드리 대위.)[3] 심지어 이때 영국은 기름까지 뺏어갔다.[4] 하지만 이때는 실패하여 처형당했다.[5] 이는 반서방 공화정 국가인 이집트와 시리아가 아랍 연합 공화국을 결성한 것에 대한 반동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https://www.upi.com/Defense-News/2003/04/10/Exclusive-Saddam-key-in-early-CIA-plot/65571050017416/
U.S. forces in Baghdad might now be searching high and low for Iraqi dictator Saddam Hussein, but in the past Saddam was seen by U.S. intelligence services as a bulwark of anti-communism and they used him as their instrument for more than 40 years, according to former U.S. intelligence diplomats and intelligence officials.
United Press International has interviewed almost a dozen former U.S. diplomats, British scholars and former U.S. intelligence officials to piece together the following account. The CIA declined to comment on the report.
While many have thought that Saddam first became involved with U.S. intelligence agencies at the start of the September 1980 Iran-Iraq war, his first contacts with U.S. officials date back to 1959, when he was part of a CIA-authorized six-man squad tasked with assassinating then Iraqi Prime Minister Gen. Abd al-Karim Qasim.
In July 1958, Qasim had overthrown the Iraqi monarchy in what one former U.S. diplomat, who asked not to be identified, described as "a horrible orgy of bloodshed."
According to current and former U.S. officials, who spoke on condition of anonymity, Iraq was then regarded as a key buffer and strategic asset in the Cold War with the Soviet Union. For example, in the mid-1950s, Iraq was quick to join the anti-Soviet Baghdad Pact which was to defend the region and whose members included Turkey, Britain, Iran and Pakistan.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Qasim's bloody and conspiratorial regime until his sudden decision to withdraw from the pact in 1959, an act that "freaked everybody out" according to a former senior U.S. State Department official.
Washington watched in marked dismay as Qasim began to buy arms from the Soviet Union and put his own domestic communists into ministry positions of "real power," according to this official. The domestic instability of the country prompted CIA Director Allan Dulles to say publicly that Iraq was "the most dangerous spot in the world."
In the mid-1980s, Miles Copeland, a veteran CIA operative, told UPI the CIA had enjoyed "close ties" with Qasim's ruling Baath Party, just as it had close connections with the intelligence service of Egyptian leader Gamel Abd Nassar. In a recent public statement, Roger Morris, a former National Security Council staffer in the 1970s, confirmed this claim, saying that the CIA had chosen the authoritarian and anti-communist Baath Party "as its instrument."
According to another former senior State Department official, Saddam, while only in his early 20s, became a part of a U.S. plot to get rid of Qasim. According to this source, Saddam was installed in an apartment in Baghdad on al-Rashid Street directly opposite Qasim's office in Iraq's Ministry of Defense, to observe Qasim's movements.
Adel Darwish, Middle East expert and author of "Unholy Babylon," said the move was done "with full knowledge of the CIA," and that Saddam's CIA handler was an Iraqi dentist working for CIA and Egyptian intelligence. U.S. officials separately confirmed Darwish's account.
Darwish said that Saddam's paymaster was Capt. Abdel Maquid Farid, the assistant military attaché at the Egyptian Embassy who paid for the apartment from his own personal account. Three former senior U.S. officials have confirmed that this is accurate.
The assassination was set for Oct. 7, 1959, but it was completely botched. Accounts differ. One former CIA official said that the 22-year-old Saddam lost his nerve and began firing too soon, killing Qasim's driver and only wounding Qasim in the shoulder and arm. Darwish told UPI that one of the assassins had bullets that did not fit his gun and that another had a hand grenade that got stuck in the lining of his coat.
"It bordered on farce," a former senior U.S. intelligence official said. But Qasim, hiding on the floor of his car, escaped death, and Saddam, whose calf had been grazed by a fellow would-be assassin, escaped to Tikrit, thanks to CIA and Egyptian intelligence agents, several U.S. government officials said.
Saddam then crossed into Syria and was transferred by Egyptian intelligence agents to Beirut, according to Darwish and former senior CIA officials. While Saddam was in Beirut, the CIA paid for Saddam's apartment and put him through a brief training course, former CIA officials said. The agency then helped him get to Cairo, they said.
One former U.S. government official, who knew Saddam at the time, said that even then Saddam "was known as having no class. He was a thug -- a cutthroat."
In Cairo, Saddam was installed in an apartment in the upper class neighborhood of Dukki and spent his time playing dominos in the Indiana Café, watched over by CIA and Egyptian intelligence operatives, according to Darwish and former U.S. intelligence officials.
One former senior U.S. government official said: "In Cairo, I often went to Groppie Café at Emad Eldine Pasha Street, which was very posh, very upper class. Saddam would not have fit in there. The Indiana was your basic dive."
But during this time Saddam was making frequent visits to the American Embassy where CIA specialists such as Miles Copeland and CIA station chief Jim Eichelberger were in residence and knew Saddam, former U.S. intelligence officials said.
Saddam's U.S. handlers even pushed Saddam to get his Egyptian handlers to raise his monthly allowance, a gesture not appreciated by Egyptian officials since they knew of Saddam's American connection, according to Darwish. His assertion was confirmed by former U.S. diplomat in Egypt at the time.
In February 1963 Qasim was killed in a Baath Party coup. Morris claimed recently that the CIA was behind the coup, which was sanctioned by President John F. Kennedy, but a former very senior CIA official strongly denied this.
"We were absolutely stunned. We had guys running around asking what the hell had happened," this official said.
But the agency quickly moved into action. Noting that the Baath Party was hunting down Iraq's communist, the CIA provided the submachine gun-toting Iraqi National Guardsmen with lists of suspected communists who were then jailed, interrogated, and summarily gunned down, according to former U.S. intelligence officials with intimate knowledge of the executions.
Many suspected communists were killed outright, these sources said. Darwish told UPI that the mass killings, presided over by Saddam, took place at Qasr al-Nehayat, literally, the Palace of the End.
A former senior U.S. State Department official told UPI: "We were frankly glad to be rid of them. You ask that they get a fair trial? You have to get kidding. This was serious business."
A former senior CIA official said: "It was a bit like the mysterious killings of Iran's communists just after Ayatollah Khomeini came to power in 1979. All 4,000 of his communists suddenly got killed."
British scholar Con Coughlin, author of "Saddam: King of Terror," quotes Jim Critchfield, then a senior Middle East agency official, as saying the killing of Qasim and the communists was regarded "as a great victory." A former long-time covert U.S. intelligence operative and friend of Critchfield said: "Jim was an old Middle East hand. He wasn't sorry to see the communists go at all. Hey, we were playing for keeps."
Saddam, in the meantime, became head of al-Jihaz a-Khas, the secret intelligence apparatus of the Baath Party.
The CIA/Defense Intelligence Agency relation with Saddam intensified after the start of the Iran-Iraq war in September of 1980. During the war, the CIA regularly sent a team to Saddam to deliver battlefield intelligence obtained from Saudi AWACS surveillance aircraft to aid the effectiveness of Iraq's armed forces, according to a former DIA official, part of a U.S. interagency intelligence group.
This former official said that he personally had signed off on a document that shared U.S. satellite intelligence with both Iraq and Iran in an attempt to produce a military stalemate. "When I signed it, I thought I was losing my mind," the former official told UPI.
A former CIA official said that Saddam had assigned a top team of three senior officers from the Estikhbarat, Iraq's military intelligence, to meet with the Americans.
According to Darwish, the CIA and DIA provided military assistance to Saddam's ferocious February 1988 assault on Iranian positions in the al-Fao peninsula by blinding Iranian radars for three days.
The Saddam-U.S. intelligence alliance of convenience came to an end at 2 a.m. Aug. 2, 1990, when 100,000 Iraqi troops, backed by 300 tanks, invaded its neighbor, Kuwait. America's one-time ally had become its bitterest enemy.
https://en.wikipedia.org/wiki/Al-ayyam_al-tawila
Al-ayyam al-tawila (Arabic: الأيام الطويلة, romanized: al-ʾAyyām aṭ-Ṭawwīla, lit. 'The Long Days') is a 1980 6-hour long biographical account of Saddam Hussein's attempted assassination of Abd al-Karim Qasim in 1959, although some sources also list a running time of 150 minutes. It was filmed in 1980 and allegedly edited by Terence Young, who also directed three James Bond films.
The film starred Hussein's cousin Saddam Kamal as Saddam and was directed by Tewfik Saleh, who also wrote the screenplay.
External links
- Al-ayyam al-tawila at IMDb
- The Long Days on YouTube (French subtitles, 125 minutes)
- The Long Days on YouTube (no subtitles, 100-minute version)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