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싱크탱크도 "트럼프 관세 오류 심각…다시 계산하면 한국 10%" / 컨슈머 마켓(소비시장)이 미국이 전세계 1위 인데 2위부터 10위 다 합한것 보다 미국 소비시장이 더 큼 / 미국에 공장지어서 돌릴려면 각종 기계설비 원재료 부품 등을 한국에서 미국에 있는 공장에다가 보내야되니 그게 대미수출로 잡힌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89

 

미국 공화당을 지지하는 보수 성향의 싱크탱크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 책정에 쓰인 미 무역대표부(USTR)의 계산 공식에 심각한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기업연구소(AEI)의 지적을 받아들여 다시 계산하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은 25%가 아닌 10%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 관세에 대한 연설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6일(현지시간) 미국 인터넷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AEI의 케빈 코린스와 스탠 뷰거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식은 경제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 그것은 또한 오류에 근거해 있다"라는 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이들은 USTR이 상호관세 계산에 사용한 매개 변수에 오류가 있다고 주장했다.

상호관세 발표 당시 USTR가 공개한 공식은 사실상 상대국의 대미 무역수지(분자)를 대미 수입액(분모)으로 나눈 것이다. 그런데 이때 USTR이 사용한 관세에 대한 수입 가격 탄력성은 0.25였다. AEI 측은 실제로는 이 숫자가 0.25가 아닌 0.945로 1에 가깝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사용한 관세 계산 공식은 외국에서 부과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관세를 4배로 부풀리는 오류를 범한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신재민 기자

AEI의 논리대로 다시 계산하면 국가별 상호관세는 트럼프의 2일 발표보다 훨씬 줄어든다. 예를 들어 미국으로부터 가장 높은 상호관세율(50%)을 적용받은 남아프리카의 소국 레소토의 관세는 다시 계산하면 13.2%로 줄어든다. 또 46%의 관세율이 책정된 베트남의 경우, 다시 계산하면 12.2%라고 이들은 주장했다.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면 한국의 상호 관세율도 기존 25%에서 10%로 줄었다.

AEI 측은 "트럼프의 오류를 바로잡으면 어느 국가도 관세율은 14%를 넘지 않는다"면서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 모든 국가에 대한 관세율은 트럼프 행정부가 하한선으로 제시한 10%가 된다"고 지적했다.


미국기업연구소(AEI)의 케빈 코린스와 스탠 뷰거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식은 경제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 그것은 또한 오류에 근거해 있다"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AEI 홈페이지

AEI는 이와 관련, 백악관에 논평을 요청했지만, 답변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AEI 측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공식은 경제 이론이나 무역법에 근거를 두지 않고 있다"면서 "그것(공식)이 미국 무역 정책의 건전한 기초가 되려면 관료들이 신중하게 계산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특정 국가와의 무역 적자는 관세·비관세 무역 장벽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국제 자본 흐름·공급망·비교 우위 등에 의해서도 결정된다"고 덧붙였다.


알베르토 카바요 교수도 '관세에 대한 수입 가격 탄력성'은 1에 가깝다고 밝혔다. X(옛 트위터)

USTR이 공식 도출에 참고한 탄력성 관련 연구를 한 알베르토 카바요 하버드대 비즈니스 스쿨 교수도 상호관세 발표 뒤 X(옛 트위터)에 "USTR이 내 연구 결과를 적절하게 사용했는지 확실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카바요 교수는 "관세에 대한 수입 가격 탄력성은 1에 가깝다"면서 "0.25 대신 그 숫자(0.945)를 사용했다면 상호 관세는 약 4배 적게 나왔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AEI의 주장과 같다.


케빈 코린스 선임연구원. AEI 홈페이지

트럼프 관세전쟁
최신 기사

트럼프 억만장자 친구들도 "관세, 너무 공격적"…머스크 동생 "영구 세금”
2025.04.08 11:18


통상본부장 "철강·車 관세 방미중 협의…미 LNG 수입 논의"
2025.04.08 10:57


“애플, 관세 부담으로…인도서 더 많은 아이폰 美에 공급”
2025.04.08 06:16

WP "결정시점도 발표 직전"

외신들은 상호관세 계산법을 고른 사람이 바로 트럼프 대통령이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상무부, 경제자문위원회,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국가별 관세 공식에 대한 선택지를 만들었으며 비교적 정교한 접근 방식이 개발됐었다고 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선택한 건 그 중 가장 단순한 계산법이었다. 상호 관세를 각국 무역 적자와 대미 수출 총액을 나눠 계산하는 지나치게 단순한 접근 때문에 주먹구구식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결정 시점도 발표 직전이었다고 한다. 지난 1일 늦은 시간까지 심의가 진행됐으며, 트럼프는 2일 오후 1시 최종 계획을 결정했다. 이는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관세 정책을 발표하기 불과 3시간 전이었다고 WP가 덧붙였다.


스탠 뷰거 선임연구원. AEI 홈페이지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89

 

 

 

https://www.youtube.com/watch?v=Qdy3MD62V0I

 @Iminlove579
2 days ago
처음에는 트럼프 정부에서 일하는 경제학자들, 경제부처 관료들이 정한 수치가 있었다고 합니다. 국가간의 관계와 무역관계, 실질적인 관세율 등을 고려해서 정한 수치가 있었습니다. 근데 트럼프 및 트럼프가 정말 친밀하게 생각하는 인물들에 의해 지금처럼 일방적인 수치의 관세가 정해진겁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애초에 협박용 관세이고, 자기들이 원하는 것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미국내 공장을 짓는 것이겠고... 예를 들어 틱톡, 파나마 라던지 유럽의 기술주 세금 및 벌금, 한국으로부터는 역시 방위비나 조선 및 반도체에 대한 유리한 협정 및 소고기 정도 있겠죠. 이런 것들을 뜯어내기 위한 목적인 겁니다. 그래서 중국은 지고 들어가는 모양세는 싫으니 바로 보복관세 때린거고 유럽도 자국 내에 미국 우호 정서가 약해진 모양입니다. 그동안 이민 문제, 유럽의 정치문제를 건드렸으니 말이죠. 독일에서 테슬라 자동차 판매 하락을 보면 알 수 있지 않습니까? 정치인들은 바로 표계산 들어가는 종족인데 협상을 바로 해주겠습니까. 일단 치고받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습니다.

@jdit212
2 days ago (edited)
트럼프가 지금 갑질하는 이유:
컨슈머 마켓(소비시장)이 미국이 전세계 1위 인데 2위부터 10위 다 합한것 보다 미국 소비시장이 더 큼. 이제부턴 멤버십fee 또는 입장료 내고 들어와서 팔라 이런 입장임 ㅋ
어차피 룰은 시대마다 변하잖아요? 그리고 중국은 뭐 룰 지키나요 한국도 동맹이나 가치를 추구했나요 이익을 우선시했지 세상이 지금 변하고 있습니다 현명하게 대응하고 또 살아나갈 방법을 찿아야죠 😅



@Prometheus-w7f
2 days ago
미국에 공장 짓느라 대미수출이 급증했던건데 그걸 가지고 상호관세를 때린거니까 우리나라는 미국한테 뒤통수를 진짜 쎄게 맞은꼴이네요


@KUMA-j7x
2 days ago
 @young1736 ​​⁠미국에 공장지어서 돌릴려면 각종 기계설비 원재료 부품 등을 한국에서 미국에 있는 공장에다가 보내야되니 그게 대미수출로 잡힌다는 얘기입니다


@KUMA-j7x
2 days ago (edited)
 @young1736 예를들어 현대차가 미국에다가 공장지어서 자동차를 만든다고하면 현대차가 사용하는 자동차 부품 (대개 한국에 있는 현대차 벤더기업이라고 불리는 곳에서 만드는)을 미국에 있는 현대차 공장에 ‘수출‘ 해야겠죠?

 

 

 https://www.youtube.com/watch?v=FQSMqNVOsP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