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제국주의의 역사: 18세기에 미국은 프리메이슨의 노예, 19세기는 백인 노예 지주계급의 노예, 20세기는 다국적 기업의 노예였던 나라 / “영토 팽창은 하나님이 미국인에게 강제한 의무.” (미국 국회 대변인 R. C. Winthrop, 1846) / “어린이 50만 명을 죽였지만, 국익을 위해서는 가치 있는 일이었다.” (Madeleine Albright, 2006) / 영 경험론에서 파생된 미국식 실용주의 - 실용주의가 개인주의로 갈 때는 에머슨, 휘트먼처럼 가지만, 제국주의로 갈 때는 끔찍해진다

 https://www.youtube.com/watch?v=zGTmsGFk76o

 

 

  • Evening Star, Jan. 18, 1925
-‘European Union’, The Saturday Evening Post, Feb. 15 1930
  • Fouillée A. (1898), ‘L'Individualisme: et le sentiment social en Angleterre’, Revue des Deux Mondes 149/4, https://www.revuedesdeuxmondes.fr/
  • ‘Atlantic Charter’, https://en.wikipedia.org/wiki/
  • George, S & Sabelli, F. (1994), Crédits sans frontières, La religion séculière de la Banque mondiale, France: La Découverte
-Roosevelt E. (1946), As He Saw It, USA: Duell, Sloan and Pearce, https://archive.org/ -‘The Sinews of Peace’(Mar. 5 1946). International Churchill Society. https://winstonchurchill.org/ -Paine T. (1776), Common Sense, USA: W. & T. Bradford. CH III. https://www.gutenberg.org/ -Wilson J. (2007), ‘Ch. 11. Comparis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with that of Great Britain’. Collected works of James Wilson 1, USA: Liberty Fund, Inc -Riggs F. W. (1997). ‘Presidentialism versus Parliamentarism: Implications for Representativeness and Legitimacy’.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18/3 -Nelson, D. D. (2008). Bad for Democracy: How the Presidency Undermines the Power of the People. US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Trautsch, J. M. (2013). ‘The Causes of the War of 1812: 200 Years of Debate’. Journal of Military History. 77/1
  • Zinn H. (2000), ‘Aggressive Liberalism’, Howard Zinn on War, USA: Seven Stories Press, https://thirdworldtraveler.com/Zinn/
  • O'Grady, J. (2008 ed.), ‘Canadian and American Values’, Interviews with Northrop Frye. Canada : University of Toronto Press.
-Chomsky N. (2007), Hegemony or Survival, USA: Henry Holt and Company -Pratt, J. W. (1927). ‘The Origin of Manifest Destiny’,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32/4 -O'Sullivan J. (1845), ‘Annexation’, United States Magazine and Democratic Review 17/1, pp. 5-10, https://web.archive.org/web/. -‘John Lewis O’Sullivan‘, Cato Institute, https://www.libertarianism.org/
  • ‘U.S. Grant, Memoir on the Mexican War’, America: A Narrative History. Ch. 14. https://wwnorton.com/college/history/
  •  
  •  
  •  
  • 민족과 역사, 지역 문화에 맞추어 체제를 선택하는 것이 정치 윤리의 원칙이지요. 한국인들도 고민할 때가 되었지요. 19세기에 제시한 많은 정치 체제 중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습니다. 1) 지자체 대표가 국가 수장을 윤번제로 맡는 스위스형 연방 체제, 2) 지역 의회가 국회를 대신하는 초연방 체제 (어째서 지방의회+국회 2개가 독립적으로 있어야 하나??) 3) 직업-계층 별 동종 조합이 국가와 군대를 운영하는 사회 조합체제 혹은, 기업을 직원이 소유하는 기업 책임 정치제도 4) 불신임권이 국민에게 있는 선제후 체제 혹은, 불신임권 하의 조선 같은 의정부 책임 체제 5) 직접 민주주의 (현재로는 블록체인 행정부와 위키페디아 스타일의 국민 직접 입법 체제가 연구 중에 있음) 6) 민족 도덕률에 근거한 가부장 혹은 왕정 체제 (종교성이 강한 나라에서 걸맞음) 등이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wsYyBV9z7Y

  • Popper, K. (1962). Conjectures and Refutations, USA: Basic Books
  • Inglehart R. & Norris P. (2004), ‘Sacred And Secular: Religion And Politics Worldwide’, Foreign affairs 83/6,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 ‘How religious commitment varies by country among people of all ages’, Pew Research Center, Jun. 13, 2018. https://www.pewresearch.org/religion/
  • Lausanne Covenant, Lausanne Movement. https://lausanne.org/content/
  • ‘Iraq war illegal, says Annan’. BBC News. Sep. 16, 2004; ‘Opposition to the Iraq War’, https://en.wikipedia.org/wiki/
  • ‘Gallup International Iraq Poll 2003’ (PDF)
  • Madeleine Albright Interview, 60 Minutes, May 12 1996
  • ‘Madeleine Albright Opens Up’, Time, Apr. 27, 2006
  • ‘Madeleine Albright Extended Intreview’, Religion & Ethics News Weekly, May 19, 2006
  • Higgs, R. (2006), Depression, War, and Cold War: Studies in Political Economy. USA: Oxford University Press.
  • ‘Downing Street memo’, https://en.wikipedia.org/wiki/
  • ‘Stratfor founder and CEO George Friedman about Europe, Ukraine and US military power’, UA Position, April 5, 2015
  • O'Sullivan J. (1845), ‘Annexation’, United States Magazine and Democratic Review 17/1, pp. 5-10, https://web.archive.org/web/.
  • James W. (1921), Precis de Pchycologie (1890), France: M. Riveres

 


@박재묵-t1u
1 year ago
사담 후세인  시절 ㅡ 전쟁이 났을 때 한국에 있는 이라크 대사가 tv에서  호소하던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그 당시 서울대 물리학학과에서  공부하던 이란 친구가 있었어요. 저는 복학생이라서 저보고 형 형 하던 친구인데 ㅡ 이 친구에게 물었을  때 이 친구 의견이었습니다.
  1. 이란의 팔레비 왕 시절 팔레비가 친미 정책을 쓰며 박정희씨처럼 급 산업화 정책을 썼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이란은 자원도 많고 인구도 많아서 이란이 한국만큼 산업화되면 그 당시 쏘련과 미국이 제어할 수 없는 힘을 갖게 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쏘련과 미국이 서로 뜻이 맞았고 미국이 팔레비를 내쫓았고
 2. 호메이니가  정권를 잡게 된 것이라구요. 그리고는 이란의 힘을 빼려고 이라크 후세인에게  중동의 패자를 만들어 준다며 충동질해서 이란을 공격하게 한 것이라구요.
3. 거의 7년 동안 쯤인지  전쟁을 통해  이란과 이라크가 둘 다 힘이 빠진 이후  후세인에게 야 이란이 쉽게 굴복이 되지 않으니 이제 전쟁은 그만하고  대신 쿠웨이트를 보상으로 줄테니 갖으라는 것이엉ㅆ다고 합니다. 그리고 후세인이는 쿠웨이트를 접수했지요.          

4. 그러자  미국이 후세인이는 남의 나라 쿠웨이트를 침공한 나쁜놈이라고 매도하면서 이라크를 박살낸 것이고  후세인이는 황당해서 눈알만 꿈벅거리고 있다고 했어요. 아무튼 그 당시 후세인이의 눈을  꿈벅거리는 tv의 화면이 눈에 선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