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일본의 엄격한 규율 사회와 이의 ‘달콤한 빈틈’

일본 대학 서열

일본의 부촌들

5대 방송국이 신문사를 끼고 여론을 입맛대로 조리하는 일본 매스컴

커피가 많아지면 문화강국이 된다?

2010년대 이후 미국의 통화 기조 및 유가 흐름: 약달러 (플라자 합의, 환율조작국 지정)에서 강달러 (리쇼어링, 내수 시장 중시)로; 미국의 대대적인 셰일가스 생산 (그 결과, 미국의 OPEC에 대한 '저유가' 압박이 덜해짐) + 중국발 수요로 국제 유가는 급등; 미국의 강달러와 고유가로 다른 나라들은 이중고; 2023년의 한국은 고물가(고유가), 고환율(강달러), 고금리 3고(高)의 시대 = 그 결과 성장둔화, 실질 소득 감소, 부채 부담 증가

질문에 완벽하게 답변하는 영어 학습 앱: Speak / 한국인, 일본인이 영어를 못하는 이유는 고립어+언어를 시험처럼 목표도달적인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 그러나 언어학습은 과정지향적이어야 한다

트럼프에게 토사구팽당하고, 가짜뉴스 한 방에 2000억 벌금 폭탄 받고 파산한 전 뉴욕시장 줄리아니 / 도널드 트럼프의 개새끼같은 인성을 알 수 있는 일화

집에서 가족과 대화를 하려는 미국인들 vs 집에서 혼자만의 시간(=프라이버시)을 찾는 한국인들 / 가족과의 시간을 보내기 위해 높은 연봉을 포기하는 미국인들 vs 가족과의 시간보다는 돈과 일이 우선인 한국인들

2020년 코로나 시기 빈살만의 원유 증산 및 유가 하락 치킨게임은 (원유 감산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푸틴과의 전쟁이었을까, 아니면 (국제투기자본론적 음모론의 관점에 입각해서 생각해보면) 록펠러 가문이 (원유 가격 하락 및 수요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셰일가스에 대한 수요 감소로 못 버티는) 미국의 중소 규모 셰일가스 업체들 씨를 말리고, 자신들이 셰일가스 시장을 독점하기 위한 기획이었을까? 실제로 빈살만과 푸틴의 합의 이후 유가는 고공행진하였고, 대체로 90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사우디는 1973년 이전에는 로스차일드의 식민지와 다름 없었고, 그 이후에는 록펠러의 지령에 따라 움직이는 식민지였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일례로, 사우디가 번 미국 달러 (외화)는 반드시 록펠러 가문 JP모건체이스에 예치되어야 하는 것이 1974년 이후의 불문율이다; 이것이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관점에서 사물을 다른 각도에서 조망하는 것이며, 또한 보다 유기적인 관점에서 세계를 관찰하는 것이다

2010년대 국제투기자본이 G2시대를 열기 위해 OPEC에서 석유 결제의 위안화 비중을 늘려주고 (중국에게 지분 일부를 떼어주고), 그 대신 미국 본토에서는 셰일가스 혁명을 일으켜 손해분을 상쇄하게 했다; OPEC의 석유 결제 비중에서 달러화가 줄어드니 미 행정부는 달러의 기축통화/미국의 세계패권 유지 위해 강달러 기조 이어가는 것; 도널드 트럼프든 조 바이든이든 강달러 기조에는 변함이 없다; 이는 미국의 강달러 기조가 국제투기자본이 개입하는 초당적인 문제이고, 전술이 아닌 전략 차원의 문제임을 의미; 셰일가스 덕에 석유 순수출국 된 美는 2019년부터 사우디와의 관계를 재정립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국제투기자본이 ‘러시아-중국-사우디-이란’을 축으로 한 권위주의 진영과 ‘미국-캐나다-유럽연합(EU)-일본-호주’ 등을 축으로 한 자유주의 진영이 대립하는 ‘신(新)냉전’ 시대를 열고 있는 것; 2010년대 후반 이후 세계 각 국의 전례없는 군비 증강은 주시해야 할 흐름

미개한 일본인들의 황실 숭배 - 알아서 기는 '손타쿠(忖度)' 문화

일본 사채업의 역사 by 김항 연세대 교수

코로나 셧다운이라는 자충수로 경제불황에 빠진 중국은 과거의 일본 전철을 밟을까? / 일본 = 저성장 + 부동산 버블 붕괴 + 디플레이션 + 저출산, 고령화의 대명사 / 일본의 '잃어버린 30년'과 같은 디플레이션형 장기불황은 부동산 폭락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 같다 / 폴 크루그먼: 중국 정부가 내수 경제의 어려움을 타파하기 위해 군사적 모험주의로 나아갈 수 있다

일본의 저축률 추이 / 일본의 국가부채가 GDP대비 230%로 세계 1위 임에도 경제가 굳건한 이유: 대부분의 빚이 내채 (외채는 12.8%에 불과) / 중국의 3배에 달하는 일본의 해외 자산 규모